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베 시대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

박철희, 송지연, 오승희, 이기태, 이정환, 이주경, 이창민, 임은정, 조아라, 최은미, 한의석, 황세희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000원 -0% 0원
1,850원
35,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베 시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52120366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8-12-10

책 소개

과거사에 편중된 우리들의 일본에 대한 선택적인 이해를 넘어서서 아베 시대를 맞이한 일본의 정치, 외교, 경제, 사회문화 각 방면의 변화와 실상을 우리의 등신대(等身大)의 모습으로 파악해보아야 하는 중요한 이유다.

목차

머리말

서론 아베 시대의 일본,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나?
박철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제1장 관저주도의 신보수화 개혁정치
이주경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제2장 헌법 개정 시도를 통한 보통국가화 추구
한의석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제3장 지역경제 구조개혁을 위한 지방창생정책
이정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조교수
제4장 지역규모 문제 공헌을 통한 적극적 글로벌 외교
이기태 통일연구원 국제협력연구실 부연구위원
제5장 전쟁 가능한 일본을 향한 안보정책 전환
황세희 재단법인 여시재 대외협력팀장 연구위원
제6장 강한 일본을 위한 아시아의 타자화
오승희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연구교수
제7장 디플레이션 탈출을 겨냥한 아베노믹스
이창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융합일본지역학부 부교수
제8장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성장전략 재편:
정책이념, 제도변화와 정치주도정책 거버넌스
윤대엽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국가안전융합학부 조교수
제9장 TPP 추진을 통한 지역경제안보 이익 확보
최은미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제10장 원자력으로의 회귀와 에너지시장 자유화
임은정 리츠메이칸대학 국제관계학부 조교수
제11장 경제회생과 노동력 부족 극복을 위한 노동정책
송지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부교수
제12장 지역재생과 소비 확대를 겨냥한 관광입국정책
조아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 1998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 조교수, 외교안보연구원 조교수를 역임하고, 컬럼비아대, 게이오대, 고베대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이 외에도 외교부 자체평가위원,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한일포럼 대표간사, 2012~2016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 2017년 현대일본학회 회장, 2016~2018년 서울대 국제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代議士のつくられ方(일본의 국회의원이 만들어지는 법)』(문예춘추, 2000), 『자민당정권과 전후체제의 변용』(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공저로는 Japan’s Strategic Thought toward Asia(Palgrave Macmillan, 2007), Changing Power Relations in Northeast Asia(Routledge, 2011), U.S. Leadership, History, and Bilater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일본 대외전략의 변화』(동아시아재단, 2014), 『일본 민주당정권의 성공과 실패』(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반도』(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한일관계 50년 비교사적 이해』(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등이 있다. 2005년 일본연구 및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제1회 나카소네 야스히로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박철희의 다른 책 >
조아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관광으로 읽는 홋카이도』(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가 있으며, Post-tsunami Recovery and Reconstruction: Rovernanc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Great EastJapan Earthquake (Disasters, 2014), 「일본의 고령자 거주문제와 주거정책: Aging in Place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2013), 「다크투어리즘과 관광경험의 진정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2012), 「재해 재건과 창조적 관광정책」, 『일본비평』(2012)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이다. 일본 호세이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自民?一?優位?制における自民?の政策?更メカニズム」(2011)를 연구했고, 주요 저서로 『자민당 정권의 정책 변경 메커니즘』(아연출판부, 2014)이 있다. 「中央?地方マルチレベル(Multi-level)からみた自民?の政策と組織運?」, 『日本?究』(2016), 「자민당의 정책변경과 중앙-지방조직의 상호작용」, 『일본연구논총』(2016), 「일본 정치개혁 이후 자민당의 정책변경 분석」, 『21세기정치학회』(2016), 「일본 참의원 선거와 정당의 집표전략」, 『현대정치연구』(2015)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임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리츠메이칸대학 국제관계학부 조교수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에서 국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일본 파워엘리트에 대한 정책』(공저, 선인, 2016), 『에너지혁명과 일본인의 생활세계』(공저, 박문사, 2014)가 있으며, 「한중일 원자력 협력과 한국의 역할」, 『입법과 정책』(2017),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Back End of the Nuclear Fuel Cycle in the Asia-Pacific?” Energy Policy(2016), “Japan’s Nuclear Trilemma,” Journal of Energy Security(2016)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한의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The Politics of the Growth of Regional Inequality in Japan”을 연구했으며, 주요 저서로 『전후 일본 패러다임의 연속과 단절』(공저, 청아출판사, 2017), 『한국의 민주주의 어디로 가고 있는가』(공저, 푸른길, 2017) 등이 있으며, 「21세기 일본의 국가안보전략」, 『국제정치논총』(2017), 「일본 정치의 변화와 정당-유권자 연계」, 『한국정치학회보』(2014)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조교수다.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주립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현대 일본의 분권개혁과 민관협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이 있으며, 「인구감소와 지속가능한 지방만들기: 지방소멸을 둘러싼 논점」, 『일본공간』(2017), 「전후일본 정치경제시스템과 구조개혁론」, 『일본연구논총』(2016), 「1997년 외환위기와 일본」, 『동서연구』(2016), 「아베노믹스와 소비세 인상 연기의 정치과정」, 『국제정치논총』(2016)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송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주요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는 정치적 갈등, 경제시스템의 변화, 사회복지정책 대응 등을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자본주의 모델의 조정 및 세계화와 탈세계화 흐름 속에서 출현하고 있는 양극화, 대중주의(populism), 반이민주의 등의 정치적 지형을 비교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있다. 대표 저서로 Inequality in the Workplace: Labor Market Reform in Japan and Korea(Cornell University Press, 2014)가 있고, 동아시아 정치, 비교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 노동시장, 복지정책, 이민정책, 국제개발협력 등을 분석한 다수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오승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외교정책, 중일관계, 동아시아 국제관계다. 대표 저서로 『동아시아 인정투쟁: 패전국 일본, 분단국 중국, 식민지 한국의 국교정상화』(2023)가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 「일본의 MZ세대가 바라보는 세계와 한국: 나다움, 가치소비, 공감연결』(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 도쿄대학교 경제학 박사 논저: 『지금 다시, 일본 정독』, 『주저앉는 일본, 부활하는 일본』(공저), 『복합 대전환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찾아서』(공저)
펼치기
최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미시간대학, 일본 와세다대학 방문연구원, 외교부 연구원 및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을 역임했다. ASAN 국제정세전망, 국방대 안보현안분석 등 국내외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국가정체성을 통해 본 한일갈등 인식의 차이 연구」, 『아세아연구』(2018), 「갈등과 협력의 한일관계: 20년의 변화와 성찰(1998~2017)」, 『평화연구』(2018), 「일본 TPP 추진의 정치경제: 일본의 국가정체성과 지역구상의 관점에서」, 『동아연구』(2018), 「한일간 역사교과서 문제에 대한 한국 시민사회의 대응 분석」, 『아시아연구』(2011), “Memory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International Area Review(2010)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황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동대학원 정치학 대학원을 거쳐 게이오대학교 법학연구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해양정책연구재단, 사사카와평화재단, 재단법인 여시재를 거쳐 현재 국회의원 이광재의 보좌관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베 시대의 일본 국가전략이 강한 일본의 부활을 상정하고 있지만, 한 정권의 국가전략이 과연 장기적인 국가의 쇠락을 방지하는 데 얼마나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아베 내각의 집요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사회학적 경향과 구조는 역전이 불가능하며, 경제의 국제화로 인한 취약성의 증대도 한 정부나 정치인들이 넘어설 수 없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늘 불안정하고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다.


아베 시대 정책결정의 특징적 변화는 다음의 세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관료 및 족의원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기존의 심의회 체제에서 벗어나 ○○본부, ○○회의 등의 명칭으로 설치되는 정책심의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책회의는 수상의 사적자문회의가 확장된 형식으로 외부 전문의원 구성이 자유롭고 관할 성청을 대변하는 관료의 조직적 대응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과거 나카소네 정권의 제2차 임시행정조사회, 고이즈미 정권의 경제재정자문회의 등 수상의 사적자문회의와 유사하다.


아베의 정치적 이념과 지향점은 그의 저서인 『아름다운 나라로(美しい?へ)』에 잘 나타나 있다. 아베는 보수라는 것이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생각하는 자세라고 규정하면서, 일본의 오랜 역사 속에서 이어진 전통이 왜 지켜져왔는지에 대한 사려 깊은 인식이 보수의 정신이라고 주장한다. 아베는 또한 군국주의 시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려는 인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1932년, 33년의 신문에 ‘단호히 싸우라’는 글귀가 두드러진다. 열강이 아프리카, 아시아의 식민지를 기득권화하는 중에 언론을 포함한 민의의 다수가 군부를 지지한 것은 아닌가”라고 하면서 역사라는 것이 선악으로 단순하게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