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장에서 바라 본 동일본대지진

현장에서 바라 본 동일본대지진

(3.11 이후의 일본 사회)

서동주, 임채성, 조아라, 박지환, 사카자키 모토히코, 이호상 (지은이), 한영혜 (엮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2013-03-11
  |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9,000원 -0% 0원 950원 1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장에서 바라 본 동일본대지진

책 정보

· 제목 : 현장에서 바라 본 동일본대지진 (3.11 이후의 일본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46055339
· 쪽수 : 272쪽

책 소개

SNU일본연구총서 4권으로서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현지조사팀이 2012년 초 도호쿠 지방을 현지조사 한 내용을 바탕으로 3·11 이후의 일본 사회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고 있다. 원전 사고 등 초유의 사건이 터진 재해의 현장에서 바라본 모습은 어떠한가?

목차

서문

제1장 동일본대지진과 도호쿠 3개 현의 산업구조 전환 | 임채성
1. 대지진의 비교사적 고찰
2. 동일본대지진 이전 도호쿠 3개 현의 경제규모와 산업구조
3. 대지진의 발생과 경제적 충격
4. 대지진 이후 산업구조의 전환과 한신대지진의 경험
5. 도호쿠 지방 산업의 미래상

제2장 동일본대지진 복구를 위한 미야기 현 지역개발전략 구상 | 이호상
1. 재해복구와 지역개발의 과제
2. 도호쿠 지방의 지역별 피해 양상
3. 미야기 현의 인구 및 상권 변화
4. 미야기 현 도시시스템 변화와 복구 거점 지역 선정
5. 피재지 재건을 위한 지역개발전략

제3장 재해 부흥의 공간적 쟁점 | 조아라
1. 재해 부흥의 공간적 과제
2. 재난연구: 방재를 넘어 부흥으로
3. 일본 정부의 재해 부흥 방침
4. 동일본대지진 피해지 부흥의 현실
5. 재해 부흥의 공간적 쟁점
6. 재해 부흥의 현실과 과제

제4장 재해 재건을 위한 창조적 관광정책 | 조아라
1. 동일본대지진과 관광 부흥
2. 재해와 관광개발
3. 1990년대 이후 주요 재해와 관광정책
4. 동일본대지진과 관광 부흥
5. 창조적 관광 부흥의 가능성

제5장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의 사회운동 | 박지환
1. 정치의 재발견
2. 소셜 미디어와 사회운동
3. ‘아마추어의 반란’의 정치적 성격
4. ‘아마추어의 반란’의 탈원전 데모
5. 탈원전 운동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전망

제6장 동일본대지진과 상징천황의 위안 효과 | 서동주
1. 헤이세이의 ‘옥음방송’
2. 연출된 ‘파격’과 위안의 효과
3. ‘부재(不在)의 논리’와 재해 내셔널리즘
4. ‘무해한 군주’의 위안 정치
5. ‘끝없는 비일상’의 현재성

현지조사일지 거대복합재해가 일본 사회와 피재지에 남긴 과제 | 이호상
1. 재후(災後) 일본 사회의 과제
2. 센다이 지역경제의 변화
3. 게센누마의 상처와 희망
4. 반복되는 쓰나미의 역사
5. 돌아가야 할 고향, 후쿠시마

부록 2012년 도호쿠 지방 현지조사보고 | 이호상, 사카자키 모토히코
Abstract

저자소개

서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교수. 일본 쓰쿠바대학에서 근대 일본 사회주의 문학의 식민지주의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조교수를 거쳐 2016년부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 재직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일본 근현대문학과 사상이며, 최근에는 냉전기 전후 일본의 문화적 상상력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공저서 『일본자본주의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역서 『전후 일본의 사상공간』 등을 출간했고, 「핵전쟁 시대의 전향소설-나카노 시게하루의 「프로크라스티네이션」(1963)을 중심으로」, 「일본 고도성장기 ‘핵=원자력’ 인식과 ‘피폭’의 기억」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임채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도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배재대학교 일본학과 조교수를 거쳐 2010년부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동아시아의 전시경제 전개와 인프라 형성 그리고 성장 등에 관한 연구이며, 최근에는 한·중·일 3국의 노사 관계, 노동 위생, 임금 구조에 주목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2007년에 일본의 정치경제학·경제사학회 학회상을 단독 수상했다. 저서로 『전시경제와 철도운영: ‘식민지’ 조선에서 ‘분단’ 한국으로의 역사적 경로를 찾는다戰時經濟と鐵道運營: 「植民地」 朝鮮から 「分斷」韓國への歷史的經路を探る』(東京大學出版會, 2005)가 있으며, 「戰爭の衝擊と國鐵の人的運用」(『歷史と經濟』 209, 2010), “The Pandemic of the Spanish Influenza in Colonial Korea”(Korea Journal, 51(4), 2011), “The Development of Labor Hygiene in Colonial Korea, 1910-1945: The Health Conditions of Korean National Railways (KNR) Employees"(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4(1), 2011)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조아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관광으로 읽는 홋카이도』(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가 있으며, Post-tsunami Recovery and Reconstruction: Rovernanc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Great EastJapan Earthquake (Disasters, 2014), 「일본의 고령자 거주문제와 주거정책: Aging in Place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2013), 「다크투어리즘과 관광경험의 진정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2012), 「재해 재건과 창조적 관광정책」, 『일본비평』(2012)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부교수. 문화인류학 전공.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 캠퍼스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와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에서 각각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직했다. 일본의 중등교육제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의 사회운동, 도시 하층 지역에서의 사회운동, 청년의 지방 이주・정주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엮은 책으로는 『일본 생활세계의 동요와 공공적 실천』, 『현대문화인류학』 등이 있으며, 역서로 『도시인류학』(공역), 『문화인류학으로 보는 동아시아』가 있다.
펼치기
박지환의 다른 책 >
사카자키 모토히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보조원
펼치기
이호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펼치기
한영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동일본대지진으로 발생한 ‘상정하지 못한[想定外]’ 쓰나미와 원전 사고는 수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낳았을 뿐 아니라, 피재지 주민의 삶의 터전과 생활세계가 언제 복원될 수 있을지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들었다. 그 때문에 복원되고 새롭게 탄생할 삶의 터전에 대한 희망을 일궈내는 것도 간단치 않다. 피재지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일본 전체의 장래를 선도’하고, ‘아시아 각국의 모델’이 될 수 있는 ‘선진적인 지역’으로 거듭나는 것이 자신들의 무너진 생활세계를 복원하는 것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헤아리기가 어렵다. 피재민의 생활세계 차원에서는 부흥 과정에서 실현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요구와 바람이 존재한다. 동일본대지진 부흥 과정에서 ‘일본 재생’, ‘일본 부흥’의 그랜드 디자인과 생활세계 차원의 다양한 요구를 놓고 다양한 주체들이 관여하여 이뤄지는 정치 과정이 전개될 것이다.


충격이 가장 컸던 현이 미야기 현이었다. 매스컴에서는 방사능으로 인해 후쿠시마 현을 크게 다루었지만 실제 충격은 미야기 현에서 오히려 컸다. 과연 미야기 현이 어떠한 이유로 가장 큰 충격을 입었던 것일까? 지진으로 인한 피해보다 쓰나미로 인한 침수 피해가 더 큰 것이 동일본대지진의 특징이었는데, 미야기 현은 3개 현 중 침수면적이 가장 넓어 561km²(여의도 67배)에 달했으며 연안부 평야 지역에 위치한 이시노마키, 센다이, 나토리(名取), 이와누마(岩沼), 히가시마쓰시마(東松島) 등이 피해를 보았다(?土地理院, 2011). 특히 미야기 현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조업의 비중이 가장 작았지만, 이들 중 많은 수가 연안부 공업단지에 있었기 때문에 그로 인한 피해가 가장 컸다.


피재지 복구와 재정비의 단계를 지나 부흥의 단계로 접어들어 지역이 예전의 모습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가설 주택에서 생활하는 피재지의 주민들이 감내하기에는 너무나 긴 시간이며, 특히 고령자가 체감하는 복구기간은 더욱 길게 느껴진다. 따라서 이재민들이 ‘피난’이 아니라 ‘이주’를 해서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새로운 삶의 터전을 우선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