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52116352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14-12-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맹아생성기(1690-1764)
1. 미국 이민의 시작과 그 초기의 실태
2. 신문 출현 이전의 언론o출판실태
3. 보스턴에서 처음으로 신문 출현
4. 보스턴 이외 도시들에서도 신문 출현
5. 생성 초기 신문들의 여러 가지 양태
제2장 독립투쟁기(1765-1782)
1. 영국으로부터 독립투쟁의 시작과 승리
2. 각종 세법에 대한 미국신문들의 반대
3. 보스턴 지역 신문들의 독립투쟁과 수난
4. 뉴욕의 독립당계와 친영계 신문들의 실태
5. 필라델피아 신문들의 양분과 대결
6. 그 밖의 주요 지역 신문들의 사정
7. 독립투쟁기 신문들의 주요 양상
제3장 제1차 정론기(1783-1800)
1. 독립전쟁 직후의 시대적 상황
2. 제1차 정론기의 개막과 대표적 정론신문들
3. 새 수도 필라델피아 정론신문들의 대결
4. 보스턴의 정론신문들 간의 대결
5. 남부와 서부 지방 신문들의 실태
6. 제1차 정론기 신문들의 여러 주요 양상
제4장 제2차 정론기(1801-1832)
1. 제2차 정론기의 시대적 상황
2. 신문들 간의 정쟁과 암흑기의 도래
3. 각 도시별o지역별 신문들의 실태
4. 제2차 정론기 신문들의 주요 양상들
제5장 페니신문기(1833-1860)
1. 페니신문기의 시대적 상황
2. 1센트짜리 페니신문들의 출현과 성장
3. 신문계를 계속 지배한 정론신문들의 실태
4. 서부로 신문들의 계속적 확장과 그 실태
5. 페니신문기 신문들에서의 주요 현상
제6장 남북전쟁기(1861-1871)
1. 남북전쟁과 그 재건기의 시대적 배경
2. 남북전쟁 당시 북부 신문들의 사정
3. 남북전쟁 당시 남부 신문들의 사정
4. 종전 이후 재건기의 신문실태
5. 남북전쟁과 그 재건기 신문들의 발전상
제7장 독립신문기(1872-1891)
1. 독립신문기 미국의 시대적 상황
2. 정론신문의 쇠퇴와 독립신문기의 개막
3. 퓰리처의 「뉴욕 월드」와 대중신문의 표방
4. 뉴욕 이외 주요 지역의 신문개황
5. 독립신문기 신문들의 주요 현상들
제8장 황색신문기(1892-1913)
1. 황색신문기의 시대적 상황
2. 황색저널리즘의 발흥과 쇠퇴
3. 각종 신문들의 증가와 비약적 성장
4. 황색신문기 신문들의 주요 특징
제9장 인수합병기(1914-1940)
1. 신문들의 인수합병기의 시대적 상황
2.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신문들의 실태
3. 신문들 간의 인수합병과 체인화 촉진
4. 현대적 타블로이드신문들의 유행
5. 경제대공황과 신문들의 고난
6. 인수합병기 신문의 각 부문별 주요 양상
제10장 대외전쟁기(1941-1960)
1. 제2차 세계대전부터 1960년까지 시대적 상황
2. 제2차 세계대전과 미국신문들의 동태
3. 1940년대 신문들의 주요 동태와 양상
4. 1950년대 신문들의 주요 양태와 변화
부록
o미국신문왕 조셉 퓰리처, 그의 생애와 공적
o주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국에서 '신문'이라는 근대적 뉴스 매체가 출현하기 이전,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전근대적 신문 현상들이 신문의 기능을 대행하면서 뉴스에 대한 미국주민들의 굶주림과 갈망을 달래 주었다. 그러다가 1690년 9월 25일 드디어 미국에서도 처음으로 신문이 탄생했는데, 이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벤자민 해리스가 창간한 「퍼블릭 오커렌시스 보스 포린 앤드 도메스틱」(Publick Occurrences Both Forreign and Domestick)이라는 신문이었다.
"제1장 맹아생성기(1690-1764)" 중에서
이와 같이 신문들도 연방파와 공화파로 나뉘어 논쟁을 벌이면서 정론지시대로 들어가게 된 것은 물론 신문들이 자발적으로 나선 면도 있으나, 또 한편으로는 정치인들이 신문을 논쟁의 수단으로 이용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즉 독립투쟁시기에 신문이 강력한 선전매체의 하나로서 독립혁명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자, 이러한 신문의 힘을 인식하게 된 정치지도자들이 신문을 자신들의 주장의 선전매체와 대중조작, 여론형성 등의 도구로 이용하려 했다.
"제3장 제1차 정론기(1789-1800)" 중에서
1872년경부터 뉴욕의 주요 신문들이 정파성으로부터 탈피한 독립신문임을 표방하면서 '독립신문시대'를 선도해 나갔다. 이러한 가운데 1883년 조셉 퓰리처가 뉴욕에 나타나서 경영난에 허덕이던 「뉴욕 월드」지를 매입한 다음, 편집 스타일과 지면을 혁신했다. 그러면서 '독립신문'임을 표방한 뉴욕의 다른 신문들과는 달리, 「뉴욕 월드」지는 '대중의 신문'임을 표방하고 나섰다. 당시까지도 미국신문들은 정치인이나 정당의 기관지, 또는 발행인의 사유물로 생각해서, 신문을 자신들의 정견이나 의견 등의 발표장으로 여겼으나, 「뉴욕 월드」는 정치나 정파성으로부터의 '독립신문'임은 물론이고, 한 걸음 더 나가서, "대중의, 대중에 의한, 대중을 위한 신문"으로 만들겠다는 뜻에서였다.
제7장 독립신문기(1872-1891)"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