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차배근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0% 0원
1,80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6,000원 -10% 1800원 30,600원 >

책 이미지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52118363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7-08-15

책 소개

‘커뮤니케이션학사’는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세기 초반부터 서양의 신문학,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커뮤니케이션학 등을 차례로 수용해서 신문학 · 신문방송학 · 언론학 · 언론정보학 · 미디어학 · 언론정보영상학 · 광고홍보학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연구·교육해 왔다.

목차

머리말 5


제1장 서론: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성립·발전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수사학의 생성·발달 15
1. 설득에 관한 관심과 수사학의 탄생 15
2. 로마 시대와 중세기에서 수사학의 발달과 쇠퇴 29
3. 문예부흥 시대의 도래와 수사학의 부흥·발달 32
4. 미국에서도 수사학 연구·교육과 스피치학으로 발전 37

신문·잡지에 관한 연구·교육의 시작과 신문학의 성립 41
1. 서양에서 신문의 기원과 초기의 각종 신문들 41
2. 주요 국가들에서 신문·잡지 등에 관한 연구 시작 58
3. 미국에서 저널리즘학의 성립과 발전 81

신문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발전 104
1.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104
2. 저널리즘학계의 반성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발전 131
3. 스피치학도 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으로 재정립 138
4. 컴학으로 매스컴학과 스피치컴학 통합·발전 142
5.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실태와 현황 147


제2장 한국에서 신문에 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의 시작

근대신문의 출현과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의 대두 163
1. 근대신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의 시작 163
2. 유길준의 “신문에 관한 해설문”170
3. 「한성순보」의 출현과 그 영향 177
4. 유길준, 『서유견문』에서 또 신문론 전개 184
5. 「한성순보」 정간 후 다시 「한성주보」 발간 195

최초의 민간지 「독립신문」과 신문에 대한 인식의 제고 202
1. 창간사에서 밝힌 「독립신문」의 기본방침 202
2. 논설을 통해 신문의 주요 기능 설명 206
3. 신문에 대한 백성들의 인식에 미친 효능 208
4. 「독립신문」에 대한 정부의 탄압과 폐간 210

민간신문 시대의 개막과 신문에 관한 연구의 발전 213
1. 「독립신문」 창간 이후 민간신문 속출 213
2. 민간신문들의 계속 출현과 백가쟁명 216
3. 언론단체의 등장과 신문에 관한 토론 218




제3장 일제강점기 신문학에 관한 연구·교육 실태

1905-1919년: 민족지의 소멸과 신문학 연구의 침체 223

1920-1929년: 민족지의 소생과 함께 신문학 연구도 부활 224
1. 일제 통치 아래서도 언론 연구 꽃피워 224
2. 한국 최초 신문학 저서 『신문학』 간행 227
3. 신문학 박사 김현준의 독일신문학 소개 240
4. 전문학교에 최초로 신문학 관계 과목 개설 249

1930-1945년: 신문학 연구의 계속적 활기와 된서리 258
1. 각종 언론전문지의 발행과 논문 발표 258
2. 종합지에도 신문학 관계 학술논문 다수 발표 268
3. 1930년대에도 신문학 관계 저서 잇달아 출간 270
4. 신문학과 설치의 제안과 좌절 274
5. 1940년대 전반 일제 말기 신문학 연구의 고사 281


제4장 광복 후 신문학의 발전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

1945-1949년: 광복과 신문학 교육·연구의 재개 285
1. ‘신문과학연구소’부터 설립 285
2. 기자양성기관 조선신문학원의 설립 291
3. 「신문평론」의 창간과 신문학 연구 촉진 302

1950년대: 대학에서 신문학 교육과 연구의 시작 308
1. 대학에 신문학 강좌와 신문학과 개설 308
2. 서울신문학원(조선신문학원)도 기자양성교육 계속 316
3. 신문학 학술단체 ‘한국신문학회’의 창립 318
4. 신문학 관계 저서들에 나타난 주요 내용 321
5. 신문학 관계 논문들에 나타난 주요 동향 332

1960년대: 매스컴학으로 신문학의 확대·발전 336
1. 대학들이 다투어 신문학 관련 학과 설치 336
2. 기존의 신문학과와 서울신문학원의 사정 343
3. 대학원에서도 신문학 전공 석사과정 교육 시작 347
4. 신문학 관련 연구소의 설립과 연구활동 351
5. 한국신문학회의 사정과 각종 학술활동 360
6. 신문학 내지 매스컴학 교육·연구의 주요 동향 368


제5장 매스컴학에서 다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발전

1970년대: 매스컴학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 387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계속된 증가 387



2. 외국 석·박사 젊은 학자들의 대거 참여 393
3. 한국신문학회에서 각종 학술활동의 활발한 전개 402
4. 197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08

1980년대: 정보화 사회의 대두와 커뮤니케이션학의 부상 427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와 교수진의 급증 427
2. 한국신문학회는 ‘한국언론학회’로 변모?발전 435
3. 198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42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다양·다원화 446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기하급수적 증가446
2. 단일 학회 시대에서 여러 학회 시대로 변모·발전 457
3.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65

참고문헌 470
찾아보기 493
Abstract 501

저자소개

차배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 강원도 횡성 출생. 서울대 사범대 국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켄트주립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3년 서울대 신문대학원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언론정보학과 교수, 언론정보연구소장, 출판문화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언론학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을 기울여 한국 언론학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7년에는 녹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2000~01년 한국언론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서울대 명예교수이다. 그동안 우수학술도서와 전공생 필독서로 인정받은 단독저서 18종, 공저·공편 13종 등 총 30여 종이 넘는 책을 펴냈다. 주요 저서로는 우리나라에 커뮤니케이션학을 소개한 『커뮤니케이션학 개론』(상하, 1976),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방법을 소개한 『사회통계 방법』(1977)과 『사회과학 연구 방법』(1979),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효과에 관한 대표적 이론을 소개한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1986) 등이 있다. 이들 중, 『커뮤니케이션학 개론』과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은 2019년 한국언론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회원들이 뽑은 우수 저술로 선정되어 학술명예상을 수상하였다. 은퇴 후 저술한 『우리나라 전통 신문 조선시대 조보 연구 : 조선왕조실록사료를 바탕으로』가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선정되기도 했으며, 2022년 1월부터 월간 『춤』에 「낭형당 만필」을 연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이 하나의 독립 학문으로 정립된 것은, 대부분의 다른 학문들과 마찬가지로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였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인류가 사회를 이루고 살기 시작한 때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서양에서 ‘잡지’라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은 17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으나, ‘신문’은 로마공화국 시대인 기원전 59년경부터 출현했다. 그러나 이들에 관한 연구와 교육이 시작된 것은 17세기부터였는데, 이때부터 근대적 인쇄신문과 함께 잡지 · 인쇄서적 · 팸플릿 등이 대량 출현하여 사회에 여러 가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그에 대한 사회적 · 정치적 · 학문적 관심도 대두했기 때문이다.


1950년대부터 종래의 저널리즘학과 스피치학이 각각 그 연구영역을 모든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것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이들을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저널리즘학은 매스커뮤니케이션학으로, 스피치학은 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 ·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이들 두 학문분야가 서로 겹치게 되면서 1960년대부터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통합해서 발전해 나가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8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