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52118363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7-08-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제1장 서론: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성립·발전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수사학의 생성·발달 15
1. 설득에 관한 관심과 수사학의 탄생 15
2. 로마 시대와 중세기에서 수사학의 발달과 쇠퇴 29
3. 문예부흥 시대의 도래와 수사학의 부흥·발달 32
4. 미국에서도 수사학 연구·교육과 스피치학으로 발전 37
신문·잡지에 관한 연구·교육의 시작과 신문학의 성립 41
1. 서양에서 신문의 기원과 초기의 각종 신문들 41
2. 주요 국가들에서 신문·잡지 등에 관한 연구 시작 58
3. 미국에서 저널리즘학의 성립과 발전 81
신문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발전 104
1.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104
2. 저널리즘학계의 반성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발전 131
3. 스피치학도 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으로 재정립 138
4. 컴학으로 매스컴학과 스피치컴학 통합·발전 142
5.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실태와 현황 147
제2장 한국에서 신문에 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의 시작
근대신문의 출현과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의 대두 163
1. 근대신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의 시작 163
2. 유길준의 “신문에 관한 해설문”170
3. 「한성순보」의 출현과 그 영향 177
4. 유길준, 『서유견문』에서 또 신문론 전개 184
5. 「한성순보」 정간 후 다시 「한성주보」 발간 195
최초의 민간지 「독립신문」과 신문에 대한 인식의 제고 202
1. 창간사에서 밝힌 「독립신문」의 기본방침 202
2. 논설을 통해 신문의 주요 기능 설명 206
3. 신문에 대한 백성들의 인식에 미친 효능 208
4. 「독립신문」에 대한 정부의 탄압과 폐간 210
민간신문 시대의 개막과 신문에 관한 연구의 발전 213
1. 「독립신문」 창간 이후 민간신문 속출 213
2. 민간신문들의 계속 출현과 백가쟁명 216
3. 언론단체의 등장과 신문에 관한 토론 218
제3장 일제강점기 신문학에 관한 연구·교육 실태
1905-1919년: 민족지의 소멸과 신문학 연구의 침체 223
1920-1929년: 민족지의 소생과 함께 신문학 연구도 부활 224
1. 일제 통치 아래서도 언론 연구 꽃피워 224
2. 한국 최초 신문학 저서 『신문학』 간행 227
3. 신문학 박사 김현준의 독일신문학 소개 240
4. 전문학교에 최초로 신문학 관계 과목 개설 249
1930-1945년: 신문학 연구의 계속적 활기와 된서리 258
1. 각종 언론전문지의 발행과 논문 발표 258
2. 종합지에도 신문학 관계 학술논문 다수 발표 268
3. 1930년대에도 신문학 관계 저서 잇달아 출간 270
4. 신문학과 설치의 제안과 좌절 274
5. 1940년대 전반 일제 말기 신문학 연구의 고사 281
제4장 광복 후 신문학의 발전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
1945-1949년: 광복과 신문학 교육·연구의 재개 285
1. ‘신문과학연구소’부터 설립 285
2. 기자양성기관 조선신문학원의 설립 291
3. 「신문평론」의 창간과 신문학 연구 촉진 302
1950년대: 대학에서 신문학 교육과 연구의 시작 308
1. 대학에 신문학 강좌와 신문학과 개설 308
2. 서울신문학원(조선신문학원)도 기자양성교육 계속 316
3. 신문학 학술단체 ‘한국신문학회’의 창립 318
4. 신문학 관계 저서들에 나타난 주요 내용 321
5. 신문학 관계 논문들에 나타난 주요 동향 332
1960년대: 매스컴학으로 신문학의 확대·발전 336
1. 대학들이 다투어 신문학 관련 학과 설치 336
2. 기존의 신문학과와 서울신문학원의 사정 343
3. 대학원에서도 신문학 전공 석사과정 교육 시작 347
4. 신문학 관련 연구소의 설립과 연구활동 351
5. 한국신문학회의 사정과 각종 학술활동 360
6. 신문학 내지 매스컴학 교육·연구의 주요 동향 368
제5장 매스컴학에서 다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발전
1970년대: 매스컴학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 387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계속된 증가 387
2. 외국 석·박사 젊은 학자들의 대거 참여 393
3. 한국신문학회에서 각종 학술활동의 활발한 전개 402
4. 197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08
1980년대: 정보화 사회의 대두와 커뮤니케이션학의 부상 427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와 교수진의 급증 427
2. 한국신문학회는 ‘한국언론학회’로 변모?발전 435
3. 198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42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다양·다원화 446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기하급수적 증가446
2. 단일 학회 시대에서 여러 학회 시대로 변모·발전 457
3.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65
참고문헌 470
찾아보기 493
Abstract 501
저자소개
책속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이 하나의 독립 학문으로 정립된 것은, 대부분의 다른 학문들과 마찬가지로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였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인류가 사회를 이루고 살기 시작한 때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서양에서 ‘잡지’라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은 17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으나, ‘신문’은 로마공화국 시대인 기원전 59년경부터 출현했다. 그러나 이들에 관한 연구와 교육이 시작된 것은 17세기부터였는데, 이때부터 근대적 인쇄신문과 함께 잡지 · 인쇄서적 · 팸플릿 등이 대량 출현하여 사회에 여러 가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그에 대한 사회적 · 정치적 · 학문적 관심도 대두했기 때문이다.
1950년대부터 종래의 저널리즘학과 스피치학이 각각 그 연구영역을 모든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것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이들을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저널리즘학은 매스커뮤니케이션학으로, 스피치학은 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 ·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이들 두 학문분야가 서로 겹치게 되면서 1960년대부터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통합해서 발전해 나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