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언론학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

한국언론학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

차배근, 박정규, 김영희, 박선희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000원 -10% 1300원 22,100원 >

책 이미지

한국언론학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언론학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인
· ISBN : 9788952128904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9-10-14

책 소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가 기획, 출간하는 '커뮤니케이션학 총서' 제2권. 한국언론학의 선구자라 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김동성과 김현준의 생애와 학문을 깊게 들여다보았다.

목차

머리말

제1편 한국 최초의 신문학개론서 『신문학』의 저자 김동성(金東成)
제1장 김동성의 저서 『신문학』: 주요 내용과 체재 및 언론학사적 의의
가. 서양에서 신문학 연구·교육의 시작과 발전
나. 한국에서 신문에 관한 학문적 관심과 신문학의 도입
다. 한국 최초의 신문학개론서, 김동성의 『신문학』

제2장 김동성의 생애: 언론계 이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뚜렷한 족적 남겨
가. 김동성에 관한 그간의 소개와 연구 실태
나. 김동성의 가문과 젊은 시절
다. 귀국 후 일제강점기에 김동성의 활동
라. 광복 이후 김동성의 활약상
마. 맺음말: 김동성은 언론뿐 아니라 여러 분야의 선구자

제2편 한국 최초의 신문학박사 김현준(金賢準)
제1장 김현준의 학문과 업적: 박사학위논문과 주요 논문을 중심으로
가. 김현준의 박사학위논문 주제와 주요 내용
나. 귀국 후에는 논문 등을 통해 독일의 이론신문학 소개
다. 한국 신문학의 선구자로서 김현준의 업적과 공로

제2장 김현준의 생애: 한국 최초 신문학박사였으나 순탄치 않았던 삶
가. 김현준에 관한 그간의 단편적 소개와 오류
나. 김현준의 출신 배경과 한국에서의 학창 시절
다. 독일에 유학, 라이프치히대학에서 신문학 박사학위 취득
라. 귀국 후 일제강점기에서의 언론·학술활동
마. 1945년 광복 이후 1949년 사망 전까지의 주요 활동

부록
A. 김동성 저 『신문학』 (영인본)
B-1. 김현준의 박사학위논문 (영인본)
B-2. 김현준의 박사학위논문 (번역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차배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켄트주립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과를 졸업해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커뮤니케이션학개론』, 『사회통계방법』, 『설득커뮤니케이션이론』,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사회과학연구방법』(공저), 『한국신문학사』(공저), 『중국전근대언론사』, 『중국조선민족언론사』(공저), 『개화기 일본유학생들의 언론출판활동연구』, 『우리 신문 100년』(공저),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Ⅰ: 1952-1961』, 『중국근대언론발달사: 1815-1945』, 『미국신문발달사: 1690-1960』,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공저), 『한국언론학선구자: 김동성과 김현준』(공저), 『조선시대 ‘조보’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책임연구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냈다.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과 역사연구회 회장, 「언론정보연구」(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발행등재학술지)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언론인 박권상과 한국 현대 언론』(2019),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2015)(2016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한국사회의 미디어 출현과 수용 : 1880∼1980』(2009)(2010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한국언론학 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2019, 공저), 『한국 언론학연구 60년 성과와 전망』(2019, 공저), 『통일·미디어·커뮤니케이션』(2016, 공저), 『???ラジオ?記憶』(2015, 공저), 『한국 신문의 사회문화사』(2013, 공저), 『한국 현대 언론인 열전』(2011, 공저),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2011, 공저) 등이 있다. 2010년 한국언론학회 학술상(희관 저술상), 2014년 한국언론학회 봄철 학술대회 우수발표논문상, 2019년 한국언론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학술영예상(논문부문, 언론학 기초분야 최다 논문게재)을 받았다.
펼치기
박정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 졸업(언론학박사)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전 교수
펼치기
박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 졸업(언론학박사) 2019년 현재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서양에서는 17세기부터 시작하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이르러는 대학에 ‘신문학과’를 설치하여 신문학을 본격적으로 연구 · 교육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부터 신문학에 관한 연구와 교육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에서 신문학(journalism)을 공부하고 귀국해서 「동아일보」 기자를 역임한 김동성(金東成)이 1924년 『신문학』(新聞學)이라는 개론서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출판하여 미국의 신문학을 소개했으며, 1927년에는 김현준(金賢準)이 한국인 최초로 독일에서 신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이듬해 귀국해서 독일의 신문학을 소개했다.


김동성은 1890년 4월 25일 개성에서 부호 상인의 아들로 출생했다. 1906년 윤치호 등이 개성에 한영서원(韓英書院)을 설립하자, 김동성은 이 서원에 다니다가 1908년 중국 쑤저우(蘇州)에 있는 기독교 계통의 동우대학(東吳大學)으로 유학을 가서 1년 동안 수학했다. 그리고 1909년 미국으로 건너가 아칸소(Arkansas)주 헨드릭스대학(Hendrix College)에서 공부하다가 1912 오하이오(Ohio)주 콜럼버스(Columbus) 소재 오하이오주립대학(Ohio State College)으로 전학하여 신문학(journalism)을 공부했는데, 그는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신문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공부한 선각자였다.


김동성의 『신문학』은 우리나라에서 신문학 연구의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는데, 직접적인 영향 때문이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1924년 6월 10일 김동성의 『신문학』이 나온 이후 신문학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예컨대 1924년 11월 19일에는 각 신문사 사회부 기자들이 ‘철필구락부’라는 또 하나의 언론단체를 결성하여, 무명회와 보조를 맞추면서 회원들의 이익을 도모하는 한편, 신문 · 잡지 등에 관한 문제들을 상의하고 연구하면서 언론 자유의 수호에도 앞장섰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0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