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항해시대의 국가지도자 이순신

대항해시대의 국가지도자 이순신

김병섭 (엮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2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80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항해시대의 국가지도자 이순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항해시대의 국가지도자 이순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52116383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5-08-30

책 소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국가리더십연구총서 1권. 서울대학교 국가리더십연구센터가 '글로벌 시대에 한국의 국가 리더십은 무엇인가?'라는 주제의 첫 번째 인물로 이순신을 선정하여 학술토론을 하였다.

목차

머리말 iv

제1부
왜 이순신인가?

제1장 대항해시대의 국가지도자 이순신 / 김병섭
1. 열강의 분쟁과 한반도의 아픈 역사 3
1) 중국방공식별구역 확대와 한반도 긴장 3
2) 한반도 분할의 역사 5
3) 임진왜란과 한반도 분할 시도 8
2. 대항해시대의 개막과 동아시아의 질서 재편 22
1) 대항해시대의 개막 22
2) 세계 최대 은 수요국, 명 27
3) 함포로 열리는 대항해시대 29
4) 대항해시대로 일어서는 일본 32
3. 대항해시대의 가능성을 살리지 못한 조선 36
1) 대항해시대와 소중화(小中華) 조선 37
2) 은 제련기술과 조선의 경제정책 42
3) 함포기술과 조선의 국방정책 54
4. 대항해시대에 펼쳐진 이순신의 리더십 66
1) 대항해시대, 한반도의 비극을 막았다 66
2) 대항해시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68
3) 대항해시대의 사명을 수행하는 리더십을 보였다 71


제2부
임진왜란 전야의 일본과 명, 그리고 조선

제2장 임진왜란 전야의 일본: 임진왜란 전야의 일본 사회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단 / 구태훈
1. 머리말 81
2. 16세기 일본 사회 83
1) 에너지가 충만했던 난세 83
2) 부국강병 85
3) 병농분리 87
4) 화승총의 전래와 전술의 변화 88
3. 도요토미의 통일 정책 90
1) 전투 금지령과 도요토미 군단 91
2) 토지조사[地] 93
3) 도수령(刀狩令) 95
4. 도요토미 군단의 전력 98
1) 수군: 해적을 중심으로 편성된 군대 98
2) 군역과 병참 시스템 101
3) 전쟁의 방식을 바꾼 경제력 102
4) 총력전에 효과적인 직분제 사회 105
5. 조선 침략 카운트다운 108
1) 침략 원인 108
2) 침략 외교 109
3) 전쟁 준비 110
4) 동원령 112
6. 일본군이 이순신에게 패한 결정적인 요인 113

제3장 임진왜란 전야의 명나라: 임진왜란과 중국-명군의
조선 참전이 남긴 제 문제에 대한 고찰 / 한명기
1. 머리말 117
2. 14세기 후반~16세기 후반 명사(明史) 개관 119
3. 임진왜란 발생 배경과 초전(初戰)의 전개 양상 124
1) 대항해시대의 여파와 일본 굴기(起) 124
2) 육전의 연전연패, 수군과 의병의 ‘현상 유지’ 127
4. 명군의 참전과 강화협상 130
1) 명군의 참전 배경과 경과 130
2) 벽제 전투 패전과 명군 지휘부의 강화(講和) 집착 133
3) 이종성의 탈주와 강화협상의 파탄 137
5. 정유재란과 명군 140
6. 명군 참전이 남긴 영향 143
1) 국가 회복의 기반 마련, 내정간섭과 주권 침해 143
2) 극심한 민폐의 자행 145
3) 쇄도하는 상인들과 은(銀), 상호 접촉, ‘조선개조계획’ 147
7. 맺음말 149

제4장 임진왜란 전야의 조선: 임진왜란 직전의 국내 정세와
한일 관계 / 한문종
1. 머리말 153
2. 임진왜란 직전의 국내 정세 154
3.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의 변질과 위사(僞使) 158
4. 일본의 침략에 대한 대비책 164
5. 임진왜란 초기의 패배 원인 169


제3부
임진왜란과 조선의 승리

제5장 임진왜란의 전개와 해전 승리 1: 임진왜란 초기의 전황과
조선 수군의 승리 요인 / 제장명
1. 머리말 175
2. 임진년의 전황과 주요 해전의 전개 176
1) 임진왜란의 발발과 초기의 전황 176
2) 임진년 주요 해전의 전개 과정 180
3. 조선 수군의 승리 요인 190
1) 전선과 무기 체계의 우수성 190
2) 이순신의 전략 사상과 수군 전술 197
3) 이순신 인맥의 활약 202
4) 상황에 부합한 리더십의 발휘 207
4. 맺음말 213

제6장 임진왜란의 전개와 해전 승리 2: 임진·정유왜란에 있어서
일본 수군의 동향과 전략 / 기타지마 만지
1. 왜란 초기의 해전 219
1) 최초의 전투: 옥포해전, 합포해전, 적진포해전 219
2) 거북선의 등장: 사천해전, 당포해전, 당항포해전, 율포해전 222
3) 왜란 초기 일본군의 수군 경시 풍조 227
2. 한산도해전과 일본군의 전략 변경 230
1) 한산도해전(1592년 7월 8일) 230
2) 안골포해전(1592년 7월 10일) 234
3) 일본군의 전략 변경 234
4) 부산포해전(1952년 9월 1일) 236
5) 일본 내에서의 조선(造船)과 비전투 승선원 징집 237
3. 일명 강화교섭기: 계속되는 수군의 대치 239
1) 웅천해전(1593년 2월 10일~3월 6일) 239
2) 제2차 당항포해전(1953년 3월 4~6일) 240
3) 장문포해전, 영등포해전 240
4) 왜란 당시 조선 병선의 성능: 시마즈 가문의 기록 243
4. 명량해전: 구루시마 미치후사의 전사 244
1) 명량해전 244
2) 구루시마 미치후사의 전사: 구루시마 가문의 기록 245


제4부
이순신의 리더십

제7장 실용적 리더십: 역사에서 그 원리를 찾는다 / 송 복
1. 머리말 253
2. 임진왜란의 현재성 255
3. 류성룡의 리더십 257
1) 통찰(洞察)의 리더십 257
2) 지감(知鑑)의 리더십 258
3) 준비의 리더십 259
4) 방법의 리더십 260
5) 유연(柔軟) 리더십 261
6) 권력 탈이념화의 리더십 262
7) 물러남의 리더십 264

제8장 이순신의 승리 리더십 / 임원빈
1. 이순신 생애 개관: 이순신, 그는 누구인가? 267
2. 임진왜란을 대비한 전쟁 준비 271
1) 조선 수군의 전쟁 준비 271
2) 조선 조정의 전쟁 준비 273
3) 이순신의 전쟁 준비: 유비무환형 리더십 274
3. 이순신의 승리 리더십 275
1) 실력형 리더십: 이순신의 실력을 확인할 수 있는 6가지 병법 276
2) 변화 혁신형 리더십 288
3) 수평 소통형 리더십 291
4) 가치 지향형 리더십 295
5) 인격 감화형 리더십 298
4. 맺음말: 위대한 리더 이순신 300


제5부
이순신 리더십의 원천

제9장 이순신 리더십의 원천 / 김종대
1. 머리말 305
2. 명량해전 전후사 307
3. 이순신의 리더십과 그 뿌리의 탐색 309
1) 나라 사랑하는 마음으로 충만한 삶 309
2) 정성일념의 삶 312
3) 정의로운 삶 316
4) 자력의 삶 318
5) 기타 319
4. 이순신 리더십의 원천 329
1) 리더십의 4가지 원천 329
2) 4가지 가치의 발휘 정도 330
3) 4가지 가치의 중층구조 331
4) 4가지 가치의 합일 331
5) 4가지 가치의 검증 332
5. 맺음말 333

제10장 대항해시대에 동아시아의 천명을 따랐던 ‘정돈된 인격자’ / 임채원
1. 물의 나라[水國]에서 수기치인의 길을 열다 335
1) 1595년, 이순신 ‘하늘의 소리’를 듣다 335
2) 정해(靜海)에서 성의정심의 변모 338
2. 조선의 고전적 리더십으로서 『성학집요』 345
1) 16세기 조선의 수기치인 345
2) 『성학집요』의 방법론 348
3. 『성학집요』로 본 이순신의 리더십 350
1) 이순신의 ‘수기(修己)’ 350
2) 이순신의 ‘정가(正家)’ 357
3) 이순신의 ‘위정(爲政)’ 359
4) 이순신의 수기치인 362
4. 글로벌 시대에 ‘천명’의 민주화 366
1) 16세기에 이순신은 성웅(聖雄)이었는가? 366
2) 동아시아 천명의 보편주의 370

찾아보기 376
발간사 391

저자소개

김병섭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원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대통령 직속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투명성포럼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있으며 국가리더십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편견과 오류 줄이기: 조사연구의 논리와 기법』, 『정책수단론』, 『휴먼조직론』, 『장관리더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항해시대는 대포로 무장한 선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 선박을 앞세워 16세기에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세계 무역을 주도했다. 그 뒤를 이어 등장한 네덜란드와 영국도 이 과학기술이 뒷받침되고 나서야 비로소 세계적인 무역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아마도 서양 제국주의는 이 기술이 없었다면 세상에 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포르투갈이나 일본은 이러한 시대변화에 부응하여 해금(解禁)을 풀어 줄 것을 끊임없이 요구하였고, 때로는 이를 무시하면서 불법무역을 추진하여 결국 합법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에 반해 조선은 어느 나라보다 먼저 찾아온 대항해시대 주역의 기회를, 그동안의 명과의 돈독한 관계를 이용 적극적으로 설명하여 살려 나가지 못하고, 오히려 무역을 전면 금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 집행하고 말았다. 은 생산기술의 개발로 이제 700냥은 물론 그 이상의 은도 조공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면, 명나라도 이익이 되었을 것이고 조선에도 큰 이익이 되었을 터인데, 조선의 국가지도자들은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굴기의 기회를 금지정책으로 날려 버리고 말았다.
이렇게 16세기 조선 정국을 운영하였던 지도자들은 대항해시대의 결제 수단과 주요 거래 품목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지향적이고 성리학 중심적인 국정 방향을 수립함으로써 세계사적인 대항해시대의 흐름을 타지 못했고, 그래서 나라가 굴기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었던 것이다.


400년 전의 임진왜란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그것이 지금 우리에게 어떤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가? 과거사로서 역사적 교훈이나 시사성을 갖는 이야기로서가 아니라 아직도 작용하는 실제(practice)로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 그 ‘실제’가 어떻게 작용해서 오늘날 우리의 현재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 현재의 방향과 진로를 설정해 주는가?
그 4세기 동안 우리는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바뀌었고, 탈산업사회, 지식기반사회로 발돋움하고 있다. 그 4세기 동안에 우리는 가장 가난하고 가장 약했던 나라에서 세계 10대 경제 대국으로 도약했고, 군사력 또한 10대 강국의 하나로 자랑할 만큼 강해졌다. 모든 것이 임진왜란을 깡그리 잊어도 될 만큼 파천황(破天荒)의 변화를 겪었다. 그럼에도 임진왜란은 아직까지 우리에게 ‘작용하는 현실’이 되어 있고, 그 전쟁을 치러 낸 인물의 리더십은 현재 우리에게 그대로 작동하는 리더십이 되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