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학연의 : 리더십을 말하다 - 중

대학연의 : 리더십을 말하다 - 중

진덕수 (지은이), 김병섭 (엮은이), 정재훈, 오항녕, 정호훈, 김광일 (옮긴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0,000원 -0% 0원
3,000원
57,000원 >
60,000원 -0% 0원
0원
6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54,000원 -10% 2700원 45,900원 >

책 이미지

대학연의 : 리더십을 말하다 - 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학연의 : 리더십을 말하다 - 중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52117328
· 쪽수 : 874쪽
· 출판일 : 2018-07-15

책 소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국가리더십연구총서 3권. 조선시대 국왕의 경연자료로 채택되었던 <대학연의>를 저본으로 삼아 중국의 사고전서본과 비교 교감함으로써 원문을 충실히 완역하였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격물치지의 요체 2[格物致知之要二] ―인재를 분별함[辨人材]
권15
성현이 사람을 살피는 방법[聖賢觀人之法]
권16
제왕이 사람을 알아보는 일[帝王知人之事]
권17
간웅이 나라를 훔치는 술수[姦雄竊國之術]
권18
간사한 자가 임금을 속이는 실상 1[邪罔上之情一] ―간신(姦臣)
권19
권20
권21
간사한 자가 임금을 속이는 실상 2[邪罔上之情二] ―참신(讒臣)
권22
권23
권24
간사한 자가 임금을 속이는 실상 3[邪罔上之情三] ―말로 아첨하여 총애를 받는 신하[佞幸之臣]
간사한 자가 임금을 속이는 실상 4[邪罔上之情四] ―재물을 긁어모으는 신하[聚斂之臣]

격물치지의 요체 3[格物致知之要三] ―정치의 요체를 살핌[審治體]
권25
덕치와 형정의 선후 구분[德刑先後之分]
권26
의리를 중히 여기고 이익을 가볍게 여기는 분별[義利重輕之別]

격물치지의 요체 4[格物致知之要四] ―백성의 실정을 살핌[察民情]
권27
백성이 지지하거나 등지는 이유[生靈嚮背之由]
농촌의 슬픔과 기쁨의 실제[田里戚休之實]

성의・정심의 요체 1[誠意正心之要一] ― 경외함을 높임[崇敬畏]
권28
자신의 몸을 닦는 공경[修己之敬]
하늘을 섬기는 공경[事天之敬]
권29
재이를 겪을 때 행하는 공경[遇災之敬]
백성을 대하는 공경[臨民之敬]
일과 연관된 공경[治事之敬]
조존 성찰의 공효[操存省察之功]
권30
규경 잠계의 도움[規警箴戒之助]

성의・정심의 요체 2[誠意正心之要二] ― 안일과 욕심을 경계함[戒逸欲]
권31
안일과 욕심을 경계함[逸欲之戒]
권32
술에 빠지는 것을 경계함[沉湎之戒]
권33
황음에 대해 경계함[荒淫之戒]
권34
편안하고 즐겁게 노는 것에 대해 경계함[盤遊之戒]
사치를 경계함[奢侈之戒]

수신의 요체 1[修身之要一] ― 언행을 삼감[謹言行], 위의를 바르게 함[正威儀]
권35
언행을 삼감[謹言行]
위의를 바르게 함[正威儀]

주요 등장인물
찾아보기
발간사

저자소개

진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지금의 푸젠성[福建省]인 건녕부(建寧府) 포성(浦城) 출신이다. 영종(寧宗) 때인 1199년에 진사(進士)가 됐고, 1205년에 현직 관료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시험인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 합격했다. 1225년 이후 이종(理宗)의 총애를 받아 중서사인(中書舍人), 예부시랑(禮部侍郞) 등에 임명됐지만, 재상 사미원(史彌遠)의 탄핵으로 파직됐다. 벼슬자리를 떠나 있으면서 ‘황제의 다움을 닦고 다스림을 보필하기 위해’ 『대학연의』를 집필했다. 사미원 사망 후 1234년에 다시 정계에 복귀하여 황제에게 『대학연의』를 바쳤고, 호부상서(戶部尙書)를 거쳐 한림학사지제고(翰林學士知制誥)가 됐으나, 다음 해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오르고 1년이 채 되지 않은 58세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조선 전기에는 『대학연의』가 널리 읽혔고 조선 후기에는 그의 다른 저작인 『심경』이 선비들의 필독서로 각광받았다. 그 밖의 저서로는 『당서고의(唐書考疑)』 『독서기(讀書記)』 『문장정종(文章正宗)』 『서산갑을고(西山甲乙稿)』 『서산문집(西山文集)』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섭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원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대통령 직속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투명성포럼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있으며 국가리더십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편견과 오류 줄이기: 조사연구의 논리와 기법』, 『정책수단론』, 『휴먼조직론』, 『장관리더십』 등이 있다.
펼치기
오항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주대학교 사학과(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권평화연구원 이사이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태동고전연구소, 한국사상사연구소 연구원, 연변대학교와 튀빙겐대학교 방문교수, 한국고전번역원 이사를 지냈다. 저서로 《역사의 오류를 읽는 방법》, 《사실을 만난 기억》, 《역사학 1교시, 사실과 해석》,《 실록이란 무엇인가》,《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조선의 힘》,《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조선초기성리학과 역사학》 등이 있고, 역서로《 사통(史通)》,《 국역 영종대왕실록청의궤(英宗大王實錄廳儀軌)》, 《문곡집(文谷集)》, 《존재집(存齋集)》 등이 있다. 그 외 논문 5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정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7세기 北人系 南人 學者의 政治思想》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이다. 저서로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조선의 《소학》: 주석과 번역》, 《교화와형벌: 조선의 범죄대책과 《경민편》》이 있고, 역서로 《선각》, 《대학연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정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인문학연구원을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조선전기 유교 정치사상 연구》,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조선의 국왕과 의례》, 《조선 국왕의 상징》 등이 있고, 역서로 《동사(東史)》, 《용헌집(容軒集)》, 《동호문답(東湖問答)》, 《대학연의(大學衍義)》 등이 있다. 그외 논문 40여 편이 있다.
펼치기
김광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푸단대학(復旦大學) 박사. 현재 ‘중국 고대 문헌의 형성과 전승’이라는 관점에서 중국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군서치요 연구」, 「사라진 중국책, 중국에서 살아남다」, 「“도광양회” 이데올로기의 출생과 성장」, 「제환공은 왜 조말을 살려두었나」, 「송양공을 위한 변명」 등의 논문이 있으며, 『대학연의(하)』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고요가 순(舜)에게 모(謨, 계책)를 진달하면서, 지인(知人)과 안민(安民)을 요체로 삼았습니다. 우(禹)는 생각하기에, 이 두 가지는 비록 요임금이라도 오히려 어렵게 여겼다고 하였습니다. 대개 지인은 지혜의 문제이고, 안민은 인정(仁政)에 대한 일입니다. 사람을 알면 관원이 자기에게 맞는 직무를 갖게 되고, 백성을 편하게 하면 백성들이 그 은혜를 잊지 않습니다. 지혜와 인정을 합하여 두 가지를 겸하여 다하면 아무리 간사한 소인이라도 두려워할 것이 없습니다.


문후(文侯)가 재상을 택하는 방법을 물었는데, 이극이 이 다섯 가지를 말하였습니다. 대개 평소에 함부로 친하지 않으니 친한 사람은 반드시 현명할 것이고, 부유할 때 함부로 주지 않으니 주는 것이 정당할 것이며, 높은 벼슬에 올랐을 때 함부로 천거하지 않으니 천거되는 사람이 반드시 선할 것이고, 궁벽해도 의롭지 않은 일은 하지 않고 가난해도 의롭지 않은 재물을 취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다섯 가지를 겸하는 것은 군자가 아니면 할 수 없기 때문에 대신이나 재상의 직임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이극의 이 말 또한 사람을 살피는 요체를 얻은 데 가깝습니다.


대개 송경은 정직의 도리로 임금을 섬겼으며 여러 번 황제의 뜻을 거슬렀으므로 한 번 배척하고 다시 등용하지 않았는데, 이때까지도 여전히 화가 남아 있었습니다. 이임보가 현명한 이를 질투하고 능력 있는 이를 싫어한 것을 황제가 모르지 않았는데 종신토록 임용한 까닭은, 송경은 구차하게 영합하지 않았지만 이임보는 구차하게 영합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군주가 일단 동조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이의를 가진 사람을 싫어하는 마음을 갖게 되면, 사사로운 의도가 작동하여 현부(賢否)가 어지러워집니다. 그래서 아무리 영명한 자질을 가졌더라도 결국 현종처럼 사리에 어두워져 오류를 저지르는 잘못에 빠지게 되니, 어찌 경계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