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52116529
· 쪽수 : 722쪽
· 출판일 : 2014-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v
Ⅰ. 국내 영어교육학 연구의 조망
제1장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 특성과 경향 | 권오량 3
Ⅱ. 제2언어습득·학습 연구
제2장 제2언어습득 연구 방법 및 연구 주제의 최근 동향 | 마지현 35
제3장 외국어습득 적정 시기 연구의 최근 동향 | 한혜령 55
제4장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연구 20년사 | 김태영 81
제5장 제2언어 읽기 책략 연구의 흐름과 전망 | 조정순 107
제6장 심리언어학 연구 방법론을 통해 본 제2언어습득 | 조희연 131
제7장 작업기억과 제2언어 문장이해 | 백순도·김은아 155
제8장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서의 영어 문장 읽기 과정 연구 동향 | 고현숙 177
제9장 사회문화이론과 제2언어교육: 개념적 탐구 | 김성우 191
Ⅲ. 제2언어 교수 연구
제10장 교수-학습을 통한 제2언어습득 연구 동향 | 이진화 221
제11장 입력빈도와 입력분포의 유형이 제2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 | 이상기 247
제12장 쓰기에서의 교사 피드백 효과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장지연 275
제13장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영어교육 | 황필아 303
제14장 한국의 예비 영어교사 교육 연구 동향 | 안경자 329
제15장 코퍼스와 교사 교육 | 박광현 355
Ⅳ. 제2언어 분석 연구
제16장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 연구 50년사 | 정상섭 373
제17장 학습자 코퍼스 연구의 최근 동향 | 오선영 401
제18장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상호작용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 동향 | 박유정 439
제19장 쓰기 지도 담화 연구 | 박인화 471
제20장 비판적 담화분석의 영어교육학적 활용 | 이문우 493
Ⅴ. 제2언어 평가 연구
제21장 주요 공인 영어 표준화 시험 국내연구 20년사 | 김정현 521
제22장 언어 평가의 준거 설정 | 신상근 545
제23장 문항반응이론과 언어 평가 | 최익규 573
제24장 영어 능숙도 평가에서의 통합형 과업 활용 | 소영순 599
제25장 제2언어 듣기 평가에서 노트의 역할 | 송민영 623
Ⅵ. 영어교육학 연구 지평의 확장
제26장 영어교육학 연구 지평의 확장을 위한 탐색과 전망 | 권오량 651
용어목록 667
찾아보기(영어) 685
찾아보기(한국어) 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