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자
· ISBN : 978899772415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9-1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4
서문 13
들어가며 22
웰빙을 위한 수업 테라피
01 수업은 45분, 휴식은 15분
규칙적인 휴식시간이 자발성과 창의성을 높인다 41
02 움직이는 학교
수업 중에 몸을 움직일 수 있는 활동을 포함시켜라 49
03 재충전을 위한 시간 확보
일과 공부에서 벗어나는 시간을 가져라 63
04 학습공간은 최대한 단순하게
교실 벽을 전시공간으로 쓰지 말라 71
05 쾌적한 학습환경
공기, 소음, 조명, 난방을 쾌적하게 유지하라 79
06 자연을 가까이하기
교실 안, 교정, 학교 주변을 활용하여 자연과 친해지게 하라 85
07 마음챙김
평온한 분위기 속에서 규칙적으로 마음챙김 활동을 하라 91
소속감을 높이는 수업 테라피
08 학생지원팀
학생과 교사를 지원할 전문가팀을 조직하라 104
09 교사와 학생 간의 친밀감 쌓기
점심시간, 휴식시간을 적극 활용하라 109
10 학기 초는 최대한 여유 있게
수업보다 적응에 중점을 두라 115
11 성취의 기쁨을 함께 즐기기
서로의 노력을 칭찬하는 시간을 갖자 123
12 공동의 목표 만들기
함께 결정하고, 각자의 역할을 의논하라 129
13 키바 프로그램
학교 내 괴롭힘, 따돌림을 방지하라 137
14 짝 제도
서로 다른 학년끼리 유대감을 높여라 142
자율성을 키우는 수업 테라피
15 처음부터 자유 허용하기
학급활동이나 프로젝트의 첫 단계부터 자유를 주어라 151
16 수업 중 여유시간 두기
개별지도와 피드백은 수업 중 여유시간을 통해 진행하라 157
17 교육과정을 흥미와 연결하기
학생의 흥미와 열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라 165
18 공동으로 계획하기
교사와 학생이 협력하여 학습방향을 결정하라 170
19 나와 내 도시 프로그램
실제 현실과 연계하라 178
20 책임 부여하기
자신의 선택과 계획에 대해 스스로 돌아보고 책임지게 하라 186
숙달을 위한 수업 테라피
21 교과서 중심 수업
필수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의 수업을 운영하라 198
22 보조자료의 적절한 활용
수업의 가치를 높이는 외부 자료는 적극 활용하라 206
23 기술과 장비는 도구로 사용
갖추고 활용하는 데 연연할 필요는 없다 212
24 음악 활용
수업에 생명력을 불어넣어라 218
25 실천을 통한 배움
무대 위의 현자가 아닌 코치이자 조력자가 되어라 223
26 자신의 학습 증명하기
학생 스스로 학습성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평가를 계획하라 232
27 성적에 대한 의견
학생이 받게 될 성적을 사전에 알려주고 의견을 청취하라 239
사고관점을 위한 수업 테라피
28 몰입의 경험 선사하기
경쟁을 최소화하되 최선을 다하게 하라 250
29 대범한 교사 되기
교사 스스로 전문가라는 자부심을 가져라 254
30 동료교사와의 협업
습관처럼, 일상적으로 협업하라 260
31 전문가 초청하기
동료교사와 학부모를 교실로 초대하라 265
32 방학기간
휴식과 재충전의 시기로 사용하라 269
33 즐거운 교실
수업의 목표는 즐거움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274
참고 문헌 278
찾아보기 283
감사의 글 286
리뷰
책속에서
나는 교육제도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식하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교육제도는 식물이나 나무처럼 복잡한 문화적 유기체여서, 모국의 흙과 기후에서만 잘 자라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팀 워커 역시 이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 대신에 더 행복하고 즐거운 학교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몇 가지 실천적 조치들을 제시한다. 이 책에 나오는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더 행복하고 즐거운 학교를 만들 수 있다면, 종국에는 핀란드처럼 가르칠 수 있게 될 것이다.
_ 파시 살베리의 서문 중에서
첫해에 보통 하루 12시간을 일하면서 내가 요한나의 친구보다 훨씬 나은 교사일 거라고 자부했다. 그러나 그해가 끝나갈 무렵 내가 몹시 모자란 교사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일과 삶의 균형이 완전히 깨져서 몸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했고, 스트레스와 불안이 가득했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가르치는 일이 더는 즐겁지 않고 만족감을 못 느끼는 내 상태가 학생들에게까지 전염되는 것 같다는 사실이었다. 그 어린아이들도 비참해 보일 때가 많았다.
_ <들어가기> 중에서
처음에 나는 핀란드식 휴식이 주는 진정한 가치가 ‘자유로운 놀이’에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게 보지 않는다. 핀란드식 휴식의 근본적인 장점은 아이들의 뇌에 새로운 활력을 줌으로써 집중력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맥길대학교의 심리학·행동신경과학·음악학 교수인 대니얼 레비틴(Daniel Levitin)은 일정한 휴식을 통해 뇌가 쉴 수 있는 시간을 주면 생산성과 창의성이 높아진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