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724130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12-06
책 소개
목차
서문 6
제1장 도입 19
21세기를 위한 자세 21
21세기 학습 연구의 토대 29
평가의 근본적 변화 46
성취기준과 스킬 48
제2장 21세기 스킬의 종합 55
사고 스킬 60
행동 스킬 64
삶의 스킬 69
결론 및 패러다임 73
제3장 21세기 평가의 기본원칙 77
가치 있는 변화 79
좋은 평가의 기본원칙 81
최종 결과에서 시작하기 84
21세기의 국가공통핵심성취기준 86
21세기 평가의 기본원칙 89
평가전략의 통합 93
21세기 평가에 따르는 어려움 96
제4장 21세기 평가의 전략 99
연속선상에 있는 스킬과 지식 평가하기 102
참학습과 대안적 평가 103
21세기 평가전략들 107
21세기 평가의 3가지 측면 119
제5장 사고 스킬 평가 121
비판적 사고 122
문제해결 133
창의성 140
메타인지 158
마지막 고려사항 170
제6장 행동 스킬 평가 173
의사소통 174
협업 193
디지털 리터러시 207
비주얼 리터러시 223
기술 리터러시 229
마지막 고려사항 244
제7장 삶의 스킬 평가 247
시민・시민의식 스킬 249
글로벌 이해 256
리더십과 책임감 268
대학 및 직업세계·직장에서의 스킬 275
마지막 고려사항 285
제8장 다목적 평가 287
프로젝트 수업 288
포트폴리오 305
제9장 21세기형 평가로의 전환 321
실행 322
리더십 324
정책 325
초점 바꾸기 330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로 시작하기 334
부록 339
부록A: 21세기 루브릭 340
부록B: 21세기 교안 365
부록C: 질의 및 응답 371
참고문헌 384
찾아보기 394
책속에서
시대가 복잡한 만큼 현재 교육계에는 팽팽한 의견 대립을 보이는 문제들이 많다. 학교교육이 전적으로 문해력과 수리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대학 및 직업세계 준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핵심 스킬 및 지식의 튼튼한 기초 없이 대학 및 직업세계를 준비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리고 그런 기초에는 21세기 스킬, 즉 비판적 사고와 성공을 위한 행동, 이것들을 글로벌 사회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능력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경쟁해야 하는 오늘날의 학생들을 위해 학교는 관련성 있고 도전적인 과제를 통해 실제 세상과의 연계성을 제공해야 한다. _ 서문
‘핵심 지식’과 ‘21세기 스킬’은 서로 상반되는 것이 아니다. 21세기 스킬은 내용지식(content knowledge)을 대체하는 게 아니라 보완해준다. 의미 있는 내용이 질 좋은 교수 및 타당한 평가와 결합하면 학습기회를 확대하는 출발점이 된다. 21세기 스킬을 교육과정 전 영역에 통합하는 것은 이 시대 교육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서는 실생활과 관련된 학습에 걸맞는 평가가 병행되어야 한다.
_ 서문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교육 내용과 방법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단순한 내용지식이 아닌 복합적인 사고를 가르쳐야 하며, 지식 전달이 아니라 학생의 참여를 통해 지식을 쌓아가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평가의 변화도 수반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선다형과 완성형 시험에 의존하는 것에서 참학습(authentic learning, 삶 속의 문제를 다루는 실제적인 학습-옮긴이)에 대한 대안적 평가에 더 비중을 두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일 년에 한 번 전국적으로 문해력 및 수리력 시험을 치르는 대규모 평가방식에서 벗어나 고등사고력, 창의성, 협업, 디지털 스킬, 글로벌 이해를 평가하는 다중적·지역적 평가 모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_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