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도 힌두신화와 문화

인도 힌두신화와 문화

류경희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인도 힌두신화와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도 힌두신화와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52117649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6-01-30

책 소개

신화의 인간실존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함께 고려하는 연구를 인도 힌두신화 연구를 통해 제시한다. 주로 신화의 보편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신화연구에서 벗어나, 힌두신화를 신화의 보편적 측면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힌두 사상과 사회.문화의 맥락에서 해석한다.

목차

머리말

서문: 신화학과 인도신화연구 ─ 기존연구를 넘어서

1장 신화와 신화연구, 그리고 문화 - 23
1. 신화의 특성 - 23
2. 신화학과 신화연구사 - 25
3. 신화, 문화이해의 주요 도구 - 33
2장 인도 힌두신화와 문화의 이해 - 36
1. 인도신화의 특성과 기존연구 동향 - 36
2. 이 책의 목표 - 40

I부: 인도 힌두 신화자료와 신화체계
1장 인도의 신화개념, 이띠하사와 뿌라나 - 49
2장 힌두 신화텍스트와 신화체계의 전개 - 53
1. 전기 힌두 신화텍스트 - 53
1) 첫 『베다』인 『리그베다』의 다신론체계 - 55
2) 『브라흐마나』의 의례중심 체계 - 58
3) 『우빠니샤드』의 일원론체계와 해탈전통의 등장 - 60
2. 후기 힌두 신화텍스트 - 63
1) 일원론적 다신교의 등장과 후기 힌두문헌 - 63
2) 인도의 2대 서사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따』 - 65
3) 힌두신화의 보고 『뿌라나』 - 76
3장 인도 힌두신화의 주제와 신화체계 - 79
1. 힌두신화의 주제 - 79
1) 두 서사시의 주제 - 79
2) 『뿌라나』의 주제 - 82
2. 힌두신화체계와 주제분류 - 85

II부: 인도 힌두신화와 세계관
1장 힌두신화의 신체계, 일원론적 다신론 - 93
1. 세계신화에 나타나는 신체계 - 93
2. 힌두교의 신체계, 일원론적(일신교적) 다신론 - 94
3. 힌두신화 속의 일신교적 다신론 - 98
4. 힌두신화의 주요 신들 - 101
5. 힌두의례 - 127
2장 우주창조와 순환적 우주관 - 131
1. 신화적 우주창조론과 그 유형 - 131
2. 힌두 우주창조 신화의 우주론 - 134
1) 1단계 창조 - 135
2) 2단계 창조 - 139
3. 힌두 우주창조 신화의 특성 - 143
4. 창조신화에 나타나는 순환적 우주관과 네 유가 - 147
3장 우주와 사회의 윤리규범, 다르마 - 153
1. 다르마의 의미 - 153
2. 우주통합과 유지의 법칙 - 154
3. 사회적?윤리적 규범이자 의무 - 158
1) 『라마야나』와 『마하바라따』의 다르마 - 159
2) 『바가바드기따』의 다르마 - 173
4장 인도사회의 윤리규범, 바르나아슈라마 다르마 - 189
1. 바르나(카스트) 다르마 - 189
1) 바르나와 그 기원신화 - 189
2) 바르나의 의무 - 192
3) 바르나의 토대에 대한 논쟁 - 194
2. 아슈라마(삶의 네 단계) 다르마 - 196
1) 인도사회의 삶의 네 가치와 단계 - 196
2) 신화 속의 삶의 네 단계 - 200
3. 바르나아슈라마 다르마의 사회적 배경과 의미 - 205
5장 데바와 아수라 투쟁신화와 힌두사상의 선과 악 개념 - 209
1. 데바와 아수라 투쟁신화 - 209
2. 데바와 아수라 - 211
3. 데바와 아수라 투쟁의 상징적 의미 - 213
1) 우주에 존재하는 상반되는 두 힘의 충돌 - 213
2) 다르마와 아다르마의 투쟁 - 221
3) 종교 및 종파 간의 갈등 - 225
4. 교활한 데바와 선한 아수라 - 228
5. 힌두사상의 선과 악 개념 - 235
1) 데바와 아수라의 구분이 반드시 선과 악의 구분은 아니다 - 235
2) 선악의 구분 기준으로서의 다르마와 상대적 의미의 선악 개념 - 238
6장 인간과 삶에 대한 신화적 이해 - 246
1. 업과 윤회 - 246
1) 두르바 이야기 - 247
2) 바라따의 환생 이야기 - 250
2. 인간의 본질과 업과 윤회 - 253
3. 업과 운명 - 256
4. 업보로서의 저주의 실현 - 259
7장 죽음과 사후에 대한 신화적 이해 - 266
1. 세계신화의 죽음 기원 이야기 - 266
2. 인도신화의 죽음 창조 이야기 - 269
3. 힌두신화에 나타나는 인도인들의 죽음 인식 - 272
4. 힌두신화의 사후세계 - 275
8장 삶의 궁극적 목표, 해탈과 수행자 - 280
1. 수행자 소우바리 이야기 - 280
2. 인도인들의 삶의 목표, 해탈 - 284
3. 해탈을 위한 수행과 수행자의 삶 - 285
4. 수행을 방해하는 신들과 여성 - 291
5. 수행자와 구루 - 295
9장 해탈에 이르는 세 길 - 298

III부: 문화 속에 살아 있는 신화
1장 신화, 문화이해의 통로 - 311
2장 카스트, 신화적 이상과 현실의 그늘 - 315
1. 카스트와의 대면, 그리고 물음 - 315
2. 인도의 신분제, 카스트 - 316
3. 카스트를 정당화하는 신화적,종교적 원리들 - 322
1) 카스트 기원의 신성화와 기원신화에 반영된 사회관 - 322
2) 정과 부정 구분 관념과 업과 윤회이론 - 328
4. 카스트제도의 전개와 변화 - 330
3장 힌두교의 박띠와 정서 - 337
1. 박띠와 종교정서 - 337
2. 박띠의 의미와 본질: 에고가 제거된 사랑 - 341
3. 박띠의 기원과 전개 - 343
4. 박띠의 종류, 단계, 그리고 실천방법 - 347
5. 『바가바따 뿌라나』에 나타나는 박띠와 정서 - 351
1) 증오와 두려움의 감정 - 353
2) 연인의 열정적 사랑의 감정 - 355
6. 박띠에서 정서의 종교적 기능 - 360
4장 인도 여신신화와 여성정체성 - 364
1. 힌두 여신신화의 이중적 여성상 - 364
2. 『라마야나』의 시따, 가부장적 여성상의 전형 - 366
1) 시따의 생애 - 366
2) 인도인들의 영원한 여성, 시따 - 371
3) 여성의 다르마, 빠띠브라따 - 374
4) 시따와 『마하바라따』의 다마얀띠 - 377
3. 『데비마하뜸야』의 두르가(깔리), 독립적 여성상 - 388
1) 『데비마하뜸야』의 중요성과 내용 - 388
2) 두르가와 깔리, 모신이자 여전사 - 389
3) 독립적 여신에 대한 여성주의적 해석 - 399
4. 이중적 여성정체성의 인도문화적 의미 - 402
5장 과부화장제 사띠와 신화의 사회적 기능 - 406
1. 18세의 과부, 루쁘 깐와르의 사띠 - 406
2. 사띠의 역사적 배경 - 409
3. 사띠의 신화적 배경 - 410
1) 쉬바 신과 그의 아내 사띠 이야기 - 410
2) 베다바띠 이야기 - 412
4. 여성, 정결하지 않은 존재 그리고 사띠 - 415
5. 자발적 사띠의 ‘자발성’은 진정한 자발성인가? - 418
6장 독립적 여신신앙의 신화와 실제 - 422
1. 여신과 여성 - 422
2. 독립적 여신신앙과 여성 - 424
1) 독립적 여신, 두르가와 깔리신앙 - 424
2) 여신의 강력함에 대한 인식과 여성성의 연관성 - 434
3) 여신숭배의 목적 - 444
3. 독립적 여신신앙과 인도여성의 지위 - 448
7장 인도의 축제와 신화 - 455
1. 인도의 축제, 신화적 사건의 재연 - 455
2. 꿈브멜라 축제와 신화 - 458
1) 꿈브멜라 축제 - 458
2) 강가의 기원신화와 신성성 - 461
3) 우유대양을 저어 불멸의 생명수를 얻는 신화와 꿈브멜라 축제 - 470
3. 강가, 생명력,정화력,구원의 원천 - 474
4. 축제와 삶 - 478

결론

에필로그: 신화는 여전히 유효하다 - 515
참고문헌 - 519
찾아보기 - 525
Abstract - 549

저자소개

류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종교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와 서강대학교 등에서 오랫동안 강의해왔다. 현재는 저술 작업과 대학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강연과 특강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도의 종교와 종교문화』, 『인도신화의 계보』, 『요가, 초월을 향한 지향』, 『인도여성: 신화와 현실』(공저) 외 다수가 있고 역서로는 W. D. 오플래허티의 『다른 사람들의 신화』, J. G. 아라푸라의 『불안과 평정으로서의 종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힌두신화와 관련하여 놀랍게 생각되는 두 가지는, 다양하고 복잡하면서도 어떤 통일성이 있다는 점과 그 생명력이 3,000년 이상의 긴 역사를 거치며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점이다. 힌두신화의 이런 다양성과 통일성의 공존, 그리고 지속성은 인도문화와 종교가 갖는 특성이기도 하다. 무코빠디아이는, 고대 이래로 힌두교와 힌두신화는 여러 단계를 거쳤지만 큰 변화 없이 전통을 유지해 왔다고 지적한다. 무엇보다 힌두신화는 살아 있는 신화로서 인도인들의 의식과 삶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인 힌두 신화집인 『라마야나』, 『마하바라따』, 『뿌라나』의 이야기들은 지금도 인도의 다양성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사회적·문화적 기능을 훌륭히 하고 있다.


전쟁에 참여해 싸워야 할 것인가, 참여하지 말아야 할 것인가? 『바가바드기따』가 서두에서 던지는 이 화두는 『바가바드기따』가 집성될 당시의 종교적·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당시 인도에서는 해탈(목샤)을 추구하는 고대 힌두교의 일부 전통과 불교와 자이나교 등의 탈속적 종교이념 및 윤리가 융성하면서, 삶과 사회의 유지가 위협받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의 통합과 유지를 위해 다르마(우주와 사회의 질서법칙 및 규범이자 그것을 지킬 의무)를 강조할 필요가 있었다. 즉 『기따』는 삶 초월(목샤)과 삶 참여(다르마) 사이의 갈등을 풀 수 있는, 대안적 종교이념과 윤리를 제시하려 했다. 따라서 아르주나의 갈등은 당시 인도사회가 직면했던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이 갈등은 『기따』에서 계속 논의되는 주제인 ‘행위해야 할 것인가, 행위하지 말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며 ‘삶에 참여할 것인가? 삶을 초탈(월)할 것인가?’에 대한 갈등을 보여준다.


힌두전통은 종교적 목표인 목샤와 사회적 가치인 다르마 사이의 긴장을 해결하고 두 가치를 균형 있게 추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려 애써 왔다. 이러한 노력이 반영되어 있는 가치체계 중 하나가 힌두전통이 오랫동안 제시해 온 인간이 삶에서 추구해야 할 네 가지 가치다. 다르마는 여러 의미를 지니지만 윤리문제와 관련될 때는 도덕적 가치체계이자 규범으로 제시되어 왔고, 네 가치 가운데 아르타와 까마는 물론 목샤까지도 공공선인 다르마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추구되도록 권장되어 왔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2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