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정병설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1,300원
24,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000원 -10% 1300원 22,100원 >

책 이미지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52117731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6-08-15

책 소개

세계사적인 매체혁명의 시대를 맞아 전근대 한국 매체의 역사를 살펴본 작업으로, 구체적인 대상은 조선시대 소설이다. 제1부에서는 조선시대 소설유통의 전체상을 배경과 역사로 나누어 살폈으며, 제2부에서는 제1부에서 다룬 자료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설명을 보충했다.

목차

머리말 5
주요 자료 컬러 사진 15

제1부 소설유통의 역사

제1장 연구의 목적과 방법 34
연구목적 34
연구방법 39

제2장 소설유통의 배경 45
인구 46
문해율 46
종잇값과 책값 53
유통과 시장 60
정치적.제도적 배경 68
<설공찬전>과 저자 처벌 69
&<명기집략>과 서적유통 처벌 76
천주교 박해와 교리서 85
조선에 서점이 존재하지 않은 이유 89

제3장 소설사와 유통 95
고전소설 유통의 마지막 모습 95
필사소설 96
세책소설 98
출판소설 103
소설의 총량과 의미 110
소설사와 소설유통 111
조선 전기, 소설과 한글의 만남 111
17세기, 소설의 성장 117
18세기, 세책과 방각 121
19세기, 쇠퇴기 129

제4장 조선시대 서적과 소설유통의 특징 135

제2부 유통과 소설서지학

제1장 필사소설 146
궁궐 146
부가(富家) 169
평가(平家) 185
외국 188

제2장 세책소설 199
세책집 성격 논쟁 199
세책집과 세책목록 216
필사처 또는 세책집 216
세책목록 218
세책소설 자료 225

제3장 출판소설 241
출판과 소설 241
상업출판의 탄생 249
경판방각소설 263
완판방각소설 287
활자본 소설 298

주 307
주요 참고문헌 321
찾아보기 325

저자소개

정병설 ()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문과 교수. 한글소설을 중심으로 주로 조선시대의 주변부 문화를 탐구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동학, 특히 해월 최시형의 사상에 눈을 떴고, 바로 이어진 1년간의 베를린 안식년 체류에서 동학의 시각으로 독일 사회를 바라보면서 민주주의에 이르렀다. 이 책은 한국 사회가 어떻게 하면 시민이 주인되는 진정한 민주주의에 이를 수 있을지 그 길을 고민한 결과물이다. 지은 책으로 국문학자의 시선으로 우리 땅 곳곳의 숨은 역사와 문학을 탐구한 『나의 문학 답사 일지』, 조선시대 소설의 향유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사도세자의 죽음을 입체적으로 해석한 『권력과 인간―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음담에 나타난 저층 문화의 성격을 밝힌 『조선의 음담패설―기이재상담 읽기』, 그림과 소설의 관계를 연구한 『구운몽도―그림으로 읽는 구운몽』, 기생의 삶과 문학을 다룬 『나는 기생이다―소수록 읽기』 등이 있으며, 『한중록』 『구운몽』 『춘향전』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국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에는 일본인이 필사한 십여 종의 한국소설이 있는데, 19세기 말 조선에 건너와서 한국소설을 베낀 하시모토 아키미(橋本彰美)가 남긴 자료다. 그의 소설로 <동선기(洞仙記)>, <심청가겸오륜가(沈清歌兼五倫歌)>, <중산망월전(中山望月傳)>, <별주부전(鼈主簿傳)>, <별춘향전(別春香傳)>, <흥보전(興甫傳)>, <유생전(劉生傳)>, <진대방전(陳大方傳)>,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박씨전(朴氏傳)>, <민시령전(閔시령傳)>, <이진사전(李進士傳)>, <옥단춘전(玉丹春傳)> 등이 있다. <흥보전>은 계축년 ‘김횡귈’ 책 본을 받아서 정유년에 베꼈다고 했다. 하시모토의 생몰년을 생각할 때 정유년은 1897년이며, 계축년은 1853년 이전이 될 수밖에 없는데, 이때는 신재효가 판소리 사설을 정리하기 이전이다. 판소리 사설 초기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2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