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212892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한국 미디어의 글로벌화와 아시아 정체성
제1장 한류와 아시아 정체성
제2장 아시아 정체성과 미디어 수용의 이론적 논의들
1. 아시아 정체성의 문화현상적 논의
2. 아시아 공동체 운동의 역사
3. 아시아 공동체의 이상과 현실
4. 아시아 정체성과 포스트구조주의
5. 아시아 정체성, 저항성과 혼종성의 경계
제2부 아시아 정체성과 미디어의 이데올로기
제3장 한국 역사드라마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아시아 수용자
1. 서론
2. 한국 역사드라마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3. 한국 역사드라마와 동아시아 수용자
4. 소결
제4장 서유럽에서의 케이팝 수용과 반인종주의
1. 서론
2. 케이팝 수용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이슈들
3. 케이팝과 영국 청소년 문화
4. 소셜 미디어와 네트워킹
5. 사회 변화와 음악적 정체성
6. 소결
제5장 걸그룹, 아시아 여성성의 이데올로기와 케이팝 팬덤
1. 서론
2. 걸그룹의 장르적 원형과 페미니즘 논쟁
3. 걸그룹의 수용과 일본 청소년의 문화 정체성
4. 소결
제3부 포스트사회주의 변화와 한류의 소프트 파워
제6장 동유럽의 한류와 코리안 드림
1. 서론
2. 동유럽의 한국 미디어 수용과 사회 재건 의식
3. 동유럽의 한류 수용
4. 소결
제7장 북한의 한류와 사회 변화
1. 서론
2. 북한 연구의 이데올로기적 한계
3. 북한 청소년의 한국 미디어 시청
4. 소결
제4부 문명 충돌과 종교 갈등 그리고 한류
제8장 인도네시아의 한류와 종교 문화 갈등
1. 서론
2.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정치사회적 배경과 급진화
3. 인도네시아 청소년의 케이팝 수용
4. 소결
제9장 프랑스의 소프트 테러와 한류의 소프트 파워
1. 서론
2. 프랑스 청소년 문화와 한류 팬덤
3. 소결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21세기 다양성의 시대를 맞으면서 아시아는 저항을 넘어 하나의 대안으로 등장하게 되었으며, 비록 관념이나 판타지로서의 성격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나 일상성의 체험과 실천을 통해 아시아적 정체성은 새롭고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중략) 여기에는 전형적인 이데올로기적 문제와 문화 갈등의 문제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지만, 일상 속에서 이것이 극복되고 새롭게 해독되는 과정을 추적하려 했다.
한류의 부상은 일상의 장에서 아시아 정체성 형성에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한다. 초국적 민족주의를 근거로 한 집단 공동체 의식이 상상적이고 권력을 토대로 형성되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더라도, 아시아 지역에서 한류를 통해 미디어가 교류하면서 형성되는 아시아적 정체성의 담론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시아 미디어 수용자들이 각국 사회 내부의 동인과 개인의 일상성 속에서 한국 드라마를 수용하면서 느끼는 아시아적 정체성이 들뢰즈적 의미의 집단 환상이라고 해도, 이것이 아시아적 연대감을 형성하는 데 현실적으로 기여한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특히 일본과 중국의 수용자들은 한국 드라마 시청을 계기로 한국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