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텔레비전 문화연구

텔레비전 문화연구

원용진, 전규찬, 주창윤, 마동훈, 박근서, 김훈순, 박동숙, 윤선희, 이수연, 이종수, 홍석경 (지은이), 황인성 (엮은이)
한나래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텔레비전 문화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텔레비전 문화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85367813
· 쪽수 : 446쪽
· 출판일 : 1999-11-06

책 소개

필자들은 인천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인 편저자를 포함하여 14명의 신문방송학 관련 학자들. 너무 가까이 있기에 학문의 대상으로는 심도있게 연구되지 못한 텔레비전 문화를 전문학자들의 눈으로 진지하게 바라봤다. - 동아일보 김형찬기자

목차

미디어와 문화연구

1. 글로벌 텔레비전과 문화연구/ 마동훈
2. 텔레비전, 미디어, 문화 정책/ 전규찬
3. 흩어진 이미지들의 파편들/ 박근서
4. 텔레비전 영상 저널리즘과 소외 집단/황인성
5. 담론적 접근으로 풀어 본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원용진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평

1. 뉴스 영상 구성의 정형성과 관습/ 이종수
2. 텔레비전 장치와 재연의 재현양식/ 홍석경
3. 로맨틱 시트콤의 장르 관습과 미학/ 주창윤
4. 텔레비전 담론의 이해/ 이수연
5. 토크쇼와 미디어 논쟁/ 김응숙
6. 텔레비전에 재현된 대중 음악과 청소년 문화/ 윤선희
7. 텔레비전 드라마와 신문 텍스트 담론/김훈순

텔레비전 스타 및 작가 연구

1. 텔레비전과 스타 시스템/ 김호석
2. 텔레비전 드라마 여성 작가 연구/ 김훈순, 박동숙

저자소개

원용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문화연대, 경기민언련 공동 대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언론정보학회장, 한국영상문화학회장 등을 지냈다. 책으로는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텔레비전 비평론》, 《광고 문화비평》, 《PD 저널리즘》(공저), 《현대 대중문화의 형성》(공저), 《서드 라이프》(공저), 《미디어 숲속에서 나를 돌아보다》(공저),《동아시아의 종전기념일》(공저),《아메리카나이제이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전규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영어영문학과(학사) University of Illinois 커뮤니케이션(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 커뮤니케이션(박사) 경력: 한국방송개발원 선임연구원, 강원대학교 부교수, MBC 평가원, EBS 시청자위원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교수 저서: 『다큐멘터리의 역사』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 창작론』 『TV 이후의 텔레비전』 등
펼치기
마동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리즈대(The University of Leeds) 커뮤니케이션학과와 사회학과에서 문화생산 실증연구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03년부터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디어 문화와 역사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고려대에서 〈고대신문〉 주간, 대외협력처장, 미디어학부장 겸 미디어대학원장, 미래전략실장으로 일했다. 2005년에는 미국언론학회(ICA)의 영상연구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영국 맨체스터대와 미국 텍사스대(Austin) 방문교수로 강의했으며, 우간다크리스찬대 초빙교수로 강의와 학과 설립 일을 맡았다. 터키,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정부의 미디어 교육과 문화 다양성 분야 컨설턴트로도 초청되어 일했다. 국내 주요 학회의 학술저널인 〈한국언론학보〉, 〈한국방송학보〉, 〈언론과사회〉 편집장을 역임했다. 2011년부터 중앙일간지에 고정필진으로 대학∙교육∙미디어∙정치 분야를 중심으로 평론을 써왔다. 2022년 고려대에서 대학과사회 연구회를 만들어 대표를 맡고 있다.
펼치기
박근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이다. 텔레비전 코미디에 대한 사회적 담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중문화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전규찬과 공동 저술한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2003)은 이러한 주제에 천착한 결실이었다. 이후 비디오게임을 중요한 대중문화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에 적극 개입할 것을 주장했다. 게임을 텍스트의 관점이 아닌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의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한 『게임하기』(2009)는 이러한 관심의 산물이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복잡계이론, 포퓰리즘 등에 관심을 가지며, 그동안 대학에서 가르쳐왔던 내용들을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고 친근하게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펼치기
김훈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펼치기
박동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신문방송학을 부전공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에서 석사학위를, 텍사스대학에서 1990년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미국에서 교수로 일했고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을 지냈다. 저서로는 『디지털/미디어/문화』(공저, 2005)와 『디지털 수용자』(공저, 2003) 등이 있고, 최근 논문으로는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공저, 2018), “내가 좋아하는 먹방 BJ는요: 먹방시청 경험에 대한 해석적 연구”(공저, 2017),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중심으로”(공저, 2016), “끝나지 않는 기억전쟁(mnemonic battle): 제주 4.3을 둘러싼 뉴스미디어의 기억지형을 중심으로”(공저,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윤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양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공 분야는 문화연구, 영상커뮤니케이션, 비판이론이다. 미국 오리건 대학에서 문화연구, 정치경제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방송, 영화,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에 대한 문화적 분석과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는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저자의 연구는 디지털 게임 수용자 연구, 북한의 한류 연구의 효시가 되었으며, 세계적으로 인용이 많이 되고 있다. 국내 학술지뿐 아니라 국제 저명 학술지에 관련 연구 20여 편을 출간한 바 있고, 새로운 관점에서 미디어의 변화를 조망하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를 통해 연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저서로는 <글로벌 미디어와 아시아 정체성> <영상산업과 문화 연구> <사이버 문화와 여성>이 있다. 현재 세계언론학회(IAMCR,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영상문화 세션 회장을 맡고 있고, ISMCR(International Society for Media, Culture and Religion) 학술대회 디렉터,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편집장을 역임한 바 있다. 미국 예일대,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등 세계 여러 유수 대학에 방문 교수로 있으면서 글로벌한 연구와 국제 교류로 학문 발전에 공헌하였다.
펼치기
이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라디오·텔레비전·영화과에서 석사학위,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라디오·텔레비전·영화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텔레비전과 영화 같은 영상 미디어가 주 관심 분야이며 이와 관련하여 비평과 정책연구를 수행해 왔다. 특히 미디어의 여성 재현 문제와 여성의 미디어 이용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방법론의 하나로 라깡의 정신분석학을 이용하고 있다. 저서로는 <메두사의 웃음: 한국 페미니즘 영화와 섹슈얼리티>(1998)가 있고 이외에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 언론정보대학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이후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해왔다. 한국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장, 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장, <미디어, 젠더 & 문화>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TV 리얼리티 :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쇼의 현실구성』 『포스트텔레비전 시대의 다큐멘터리 트렌드』 『텔레비전과 시청자』(공저) 『매체미학』(공저)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대중문화・TV 드라마・다큐멘터리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홍석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한국 대중문화 및 미디어 문화에 대해 연구하며, 특히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현상으로서 한류에 대해 집중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신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 보르도 3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를 지냈다. 책으로는 《BTS 길 위에서》,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드라마의 모든 것》(공저), 《영상학개론》(공저) 등이 있으며, 텔레비전 드라마, 한류, 디지털 문화, 영상방법론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Professor of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ince 2013. She worked at the Korean Broadcasting Commission as a Chief Researcher (1996-1999), and wa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s at the University of Bordeaux 3 (2000-2013). She is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Hallyu Studies, Asia Cen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ince March 2022. Her main research and teaching interests include Cultural Studies, media culture and transnational and global popular culture, as well as visual methods and qualitative research design. She has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on Korean television dramas, Hallyu as a cultural consequence of globalization and digital culture, and various digital cultural forms and practices such as Mukbang (food broadcasting). She has written columns on Hallyu and cultural issues for national newspapers. Her rec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impact of global OTT on Hallyu and Korean creative industries, and the political potential of fandom activism.
펼치기
황인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커뮤니케이션학부장과 언론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웨인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애인: TV 드라마, 문화 그리고 사회》(공편저), 《텔레비전 문화 연구》(편저), 《커뮤니케이션 다시 읽기》(공저), 《아시아의 텔레비전》(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