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야기가 있는 나무백과 3

이야기가 있는 나무백과 3

임경빈 (지은이), 이경준, 박상진 (엮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2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90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이야기가 있는 나무백과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야기가 있는 나무백과 3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8895212900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04-30

책 소개

고 임경빈 교수가 1976~2002년 일지사에서 출간한 총 6권의 <나무백과>를 모태로 한 책이다. 기본적인 식물학적 정보 외에 나무와 관련된 신화, 전설, 한시, 추억담 등 재미있는 이야기와 임경빈 교수의 스케치, 이와 관련된 사진들이 다수 들어가 있다.

목차

소나무3
소나무4
솔송나무
쉬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시로미
시무나무
신나무
아카시아(아까시나무)
오동나무
옻나무
왕버들
위성류
은행나무
음나무
잎갈나무
자귀나무
자작나무
잣나무
전나무
주목
진달래
차나무
참나무
참죽나무
철쭉
청미래덩굴

팥배나무
팽나무
포플러
피나무
해당화
해송(곰솔)
향나무
호두나무
호랑가시나무
황벽나무
회화나무
히말라야시더(개잎갈나무)

저자소개

임경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수원농림전문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이학 석사, 1964년 서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임학과 교수, 원광대학교 임학과 교수, 한국임학회장, 문화체육부 문화재위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과학상(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나무백과 1-6권』(1977-2002, 일지사), 『우리 숲의 문화』(1993, 광림공사), 『천연기념물: 식물편』(1993, 대원사), 『소나무』(1995, 대원사), 『세계의 숲과 나무를 찾아』(1998, 광일문화사), 『자연 속의 인간: 푸른 마을을 꿈꾸는 나무(상·하)』(1998, 중앙M&B), 『솟아라 나무야』(다른 세상, 2001)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서울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림과학원 연구원, 전남대학교 및 경북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목재공학회 회장, 대구시청 및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했다. 2002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 2014년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 포상 대통령표창, 2018년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청와대의 나무들》, 《청와대의 나무와 풀꽃》, 《우리 나무 이름 사전》, 《궁궐의 우리 나무》, 《나무탐독》, 《우리 나무의 세계》Ⅰ·Ⅱ, 《우리 문화재 나무 답사기》,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를 비롯하여 아동서 《오자마자 가래나무 방귀 뀌어 뽕나무》, 《내가 좋아하는 나무》가 있다. 해외 출간 도서로는 《朝鮮王宮の樹木》, 《木刻八万大藏经的秘密》, 《Under the Microscope: The Secrets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산림녹화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 위원장이자,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임학(수목생리학) 석사 학위를,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에서 전문직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미국 워싱턴대학교 국비 파견 연구교수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1999년 서울대학교 식물병원을 설립한 후 초대 원장 및 외래 임상의를 지냈으며, 한국산림과학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는 『수목생리학』, 『수목의학』, 『산림과학개론』(대표 저자), 『한국의 산림녹화 70년』(대표 저자), 『산림생태학』(공저), 『조경수 병해충 도감』(공저), 『조경수 식재관리기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지형이 생기生氣를 가질 때 그것은 길지吉地로 여겨졌고, 그 생기가 흐르는 맥은 산맥이라고 해석했다. 이러한 생기가 축적되는 곳이 진산鎭山이며, 각 도읍은 진산을 가지고 있었다. 진산에 나무가 없으면 생기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해석했는데, 고려사高麗史에서는 개성의 진산 송악松嶽에 대해 금벌禁伐하였고 나아가 소나무를 심게 했다고 전한다.


스트로브잣나무는 미국 개척사開拓史와 관련이 깊다. 유럽에서 새로운 땅 미국으로 건너온 사람들은 대부분 미국 동북부에 상륙했는데, 이때 그들은 이곳이 스트로브잣나무로 덮여 있는 것을 목격하였다. 그래서 미국 개척의 첫 작업은 스트로브잣나무를 잘라서 다리를 놓고 집을 짓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처음 수출한 물품이 스트로브잣나무 목재였다. 다시 말해서 미국 해외 교역의 첫 테이프를 끊은 것이 바로 이 나무의 목재였다는 것이다.


은행나무는 한자로는 ‘銀杏’이라고 쓰는데 은빛 나는 살구 씨와 닮아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서양 사람들도 은빛 나는 살구라 하여 이를 그대로 번역, 실버 어프리코트Silver apricot(은빛 살구)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영어 이름은 메이든헤어 트리Maidenhair tree(처녀 머리 나무)라고 한다. 은빛 나는 윤기 있는 처녀의 머리카락, 이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가? 은행나무는 아름다운 나무인 것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