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 땅에, 춤이란 무엇인가

이 땅에, 춤이란 무엇인가

(몸·마음·숨·삶)

이애주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이 땅에, 춤이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 땅에, 춤이란 무엇인가 (몸·마음·숨·삶)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무용
· ISBN : 9788952132048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3-05-10

책 소개

시대의 춤꾼이자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인 고 이애주의 춤에 대한 글을 정리한 것이다. 그에게 춤은 삶과 분리되지 않았고, 전통과 현대는 하나로 어우러졌으며, 예술과 현실이 떨어져 있지도 않았다. 그것을 춤의 본질과 논리로 논한 것이 바로 이 책이다.

목차

유고(遺稿)-이애주
발간사. 이 땅에서 춤을 춘다는 것-유홍준

제1부 몸
1장 춤사위 어휘고(語彙考)
2장 한국 민속춤의 역사
3장 신명(神明) 발현(發現)으로서의 굿춤-경기도당굿을 중심으로
4장 평창 둔전평 농악의 춤사위
5장 불교의식 작법(作法)의 미적 특성-영산재 작법을 중심으로
6장 처용 다시 보기-탈과 춤새의 변천에 따른 접근

제2부 마음
1장 움직이는 도(道)
2장 한국춤에 대한 근원적 접근
3장 우리춤의 미의식 체계
4장 춤에서 예(禮)의 정신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예(禮)의 춤’을 중심으로

제3부 숨
1장 주역(周易)을 통해 본 춤, 그 ‘비움’에 대하여
2장 영가무도(詠歌舞蹈)의 생성 원리와 미학적 구조
3장 고대 제천의례(祭天儀禮)에 나타난 우리춤의 특성
4장 배달의 ‘한밝춤’과 대동(大同)4무 巫·武·舞·無
5장 야산(也山)·대산(大山)의 맥으로 이어지는 ‘고지무지이진신(鼓之舞之以盡神)’

제4부 삶
1장 춤이란 무엇인가?
2장 우리춤에 있어 민중성 회복 문제-한판춤 <바람맞이>를 중심으로
3장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우리춤-나라의 몸짓은 있는가
4장 춤이란, 삶이란, 배움이란

미주
추천사 1. 민족춤의 한 생성론을 향한 몸부림-채희완
추천사 2. 시대와 동행하면서도 자기완성을 추구한 구도자, 이애주-김인걸
이애주 약력

저자소개

이애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 서울대학교 교수, 명예교수. 이애주 선생은 어린 시절 ‘이왕직 아악부(국립국악원의 전신)’의 수장(首長) 김보남으로부터 춤을 익혔다. 서울대학교 진학 후‘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보유자인 벽사(碧史) 한영숙을 사사(師事)했으며, 1996년에는 스승에 이어 2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87년 6월항쟁의 한복판에서 온몸으로 시대를 가르는 춤을 춤으로써 춤의 사회적 과제를 부각시켰다. 이후 전통춤 정립과 후진 교육에 매진하는 한편, 대학교 교수, 경기아트센터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2021년 이애주문화재단을 설립한 후 같은 해 5월 10일 타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춤의 근원을 생각하며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춤은 삶의 표현이고 시대의 몸짓이고 역사의 창조적 기운동이다. 그 몸짓은 아마도 은근하게 빛을 발하며 움직이는 ‘흰 그늘’일 수 있고 ‘검은 흐름’일 수도 있다. (...) 진실로 변질 안 된 순수하게 빛을 뿜어내는 아름다운 몸짓은 어떤 것이고 어디 있을까? 그것은 우리가 이미 가졌던 잃어버린 몸짓이고,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몸 우리 의식 어느 구석에 움츠러들어 말라 있을지 모른다.
바로 그 티끌만 하게 굳어 버린 알갱이의 껍질을 녹여 내고 기운을 불어넣어 본래대로 되살려 내는 것이 지금 우리의 몫이다.(이애주, 「유고」 중에서)


만년(晩年)에 이르러 그의 춤에 대한 생각은 더욱 깊어지고 넓어져 춤의 본질을 탐구하는 깊은 예술적 사변으로 나아갔는데, 이는 그가 떠맡았던 춤의 사회적 과제를 자신의 몸뚱이 하나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고뇌와 동행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가 허위허위 찾아간 종착지가 뜻밖에도 영가무도(詠歌舞蹈)였고, 고대 제천의례(祭天儀禮)였으며, 『주역(周易)』과 홍역학(紅易學)이었다. 이애주의 춤에 대한 집념은 탐구(探求)를 넘어 갈구(渴求)였다. 타는 목마름으로 찾아 헤맨 구도(求道)의 여정이었다.(유홍준, 「발간사」 중에서)


현대 사회와 학문이 역사적으로 요청해 마지않는 창조론과 진화론이 화쟁하는 춤 생성론의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춤으로 그리고 춤 생각으로 몸부림쳐 온 그의 자취를 이 책은 증거해 주고 있다.
‘오늘 이 땅의 춤은 무엇인가?’
‘이 땅의 춤, 오늘의 민족춤은 과연 어떠한 춤인가?’
그는 이러한 생각을 춤으로 실천하면서 우리 민족춤의 정통성을 바로 세우는 일과 더불어 노동 가치의 사회적 실현으로서 ‘진실한 춤’을 보여 주었다. “역사가 나를 춤추게 한다”라며 보이지 않는 말씀과 질서를 춤으로 드러내 보여 준 것이다.(채희완, 「추천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3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