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67640163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3-03-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박효종 편 | 나의 삶, 나의 사랑, 나의 이야기
시작하는 글
하나 ● 결핍과 그리움이 사무쳤던 유년 시절
둘 ● 신부의 꿈을 불살랐던 기숙사 시절
셋 ● 정훈이와의 우정
넷 ● 탄약고 열쇠를 맡았던 ‘신부님’
다섯 ● 불성실했던 구도자의 삶과 어머니의 죽음
여섯 ● 사랑과 파계
일곱 ● 덕성여고의 ‘못난이 선생님’
여덟 ● 정치학에 눈을 뜨게 해준 선생님
아홉 ● 유학생으로 살다
열 ● ‘칼’을 갈았던 연단의 시절과 아버지의 죽음
열하나 ● 나는 차고 넘치는 잔
덧붙이는 글
우한용 편 | 세 갈래 길이 만나는 자리
시작하는 글 기억과 기억을 서술하는 방법
하나 ● 길 위의 아침 햇살
둘 ● 물에 빠진 베레모
셋 ● 무서운 버선코
넷 ● 의상철학
다섯 ● 목련꽃 그늘 아래
여섯 ● 도서관과 관음보살
일곱 ● 나그네 설움
여덟 ● 돈 버세요, 여러분
아홉 ● 임이 오시는지
열 ● 다마스커스 가는 길
덧붙이는 글
이경식 편 | 사범師範 그리고 역사교학歷史敎學
시작하는 글 사범師範 그리고 역사교학歷史敎學
하나 ● 한국교육의 전통과 ‘사범師範’
1 ● 서언
2● 학문 수행 도덕 일체의 교육전통
3 ● 사범과 교학敎學의 표상表象
4 ● 사범교육과 사범의 계승
5 ● 결어
둘 ● 한국 근현대 사회와 국사교과國史敎科의 부침浮沈
1 ● 서언
2● 근대개혁기 국사교과의 제정과 왜소화
3 ● 일제강점과 국사의 압살
4 ● 신국가재건과정과 국사교과의 회생 및 홀대
5 ● 개발지상과 국사교과의 험로
6 ● 결어
셋 ● 역사교재 찬술撰述에서 용어用語 선정의 문제
1 ● 서언
2● 역사용어의 음미吟味와 국사의 처지
3 ● 한국역사학과 용어선정의 경향
4 ● 사례로 본 용어논의의 허실
5 ● 결어
이애주 편 | 춤이란, 삶이란, 배움이란
시작하는 글
하나 ● 배움과 가르침
둘 ● 춤이란
셋 ● 춤의 정신과 철학
넷 ● 우리의 정체성은 살아있는가
다섯 ● 춤은 시대정신과 함께
여섯 ● 인류문명사 속에서 보는 한국춤
일곱 ● 춤의 속성으로서 大同4무―無 巫 武 舞
여덟 ● 한국춤은 한밝춤
덧붙이는 글
책속에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공부하고 같은 대학에서 가르쳤다는 경험은 생애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개인들 자신에게는 물론 역사적 공통경험으로 뒤에 남겨 다른 사람들이 사범대학의 지난날을 돌아보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같은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몫이라는 공감이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각자 자유로운 양식으로, 자신의 취향과 공부 방법과 어울리는 스타일로 사범대학에서 공부하고 가르친 체험을 서술하여 책으로 묶자는 의견이 모아졌다.
같은 일을 하는 이들은 삶의 패턴과 사유방식과 지향에서 유사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유사성은 때로 직업의식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때는 행동으로 구체화되기도 한다. 우리 네 사람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전반에 대해, 그리고 특히 사범대학의 교육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교육이 삶과 괴리될 수 없다는 공통된 생각을 발견하게 되었다. 삶과 학문과 교육이 융합되어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 공감의 핵심이다. 이는 삶과 교육의 비분리원칙이라 할 만하다. 교수가 연구하는 과정과 그 결과가 삶의 실상이다. 교육과 삶은 동일선상에 놓인다. 교육의 과정은 그 자체가 삶의 과정이다. 삶에 유예가 없듯이 교육에도 유예가 있을 수 없다. 삶으로서의 학문과 삶으로서의 교육을 동시에 생각하게 되는 것은 이러한 까닭이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