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학의 세월

교학의 세월

박효종, 우한용, 이경식, 이애주 (지은이)
지식과교양(지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학의 세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학의 세월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67640163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3-03-19

책 소개

박효종 교수, 우한용 교수, 이경식 교수, 이애주 교수가 풀어놓는 배움과 가르침의 이야기. 교육에 대한 무게있는 에세이, 생애사, 예술적 실천 등 교육과 삶이 분리되지 않은 이야기를 담아냈다.

목차

머리말

박효종 편 | 나의 삶, 나의 사랑, 나의 이야기
시작하는 글
하나 ● 결핍과 그리움이 사무쳤던 유년 시절
둘 ● 신부의 꿈을 불살랐던 기숙사 시절
셋 ● 정훈이와의 우정
넷 ● 탄약고 열쇠를 맡았던 ‘신부님’
다섯 ● 불성실했던 구도자의 삶과 어머니의 죽음
여섯 ● 사랑과 파계
일곱 ● 덕성여고의 ‘못난이 선생님’
여덟 ● 정치학에 눈을 뜨게 해준 선생님
아홉 ● 유학생으로 살다
열 ● ‘칼’을 갈았던 연단의 시절과 아버지의 죽음
열하나 ● 나는 차고 넘치는 잔
덧붙이는 글

우한용 편 | 세 갈래 길이 만나는 자리
시작하는 글 기억과 기억을 서술하는 방법
하나 ● 길 위의 아침 햇살
둘 ● 물에 빠진 베레모
셋 ● 무서운 버선코
넷 ● 의상철학
다섯 ● 목련꽃 그늘 아래
여섯 ● 도서관과 관음보살
일곱 ● 나그네 설움
여덟 ● 돈 버세요, 여러분
아홉 ● 임이 오시는지
열 ● 다마스커스 가는 길
덧붙이는 글

이경식 편 | 사범師範 그리고 역사교학歷史敎學
시작하는 글 사범師範 그리고 역사교학歷史敎學
하나 ● 한국교육의 전통과 ‘사범師範’
1 ● 서언
2● 학문 수행 도덕 일체의 교육전통
3 ● 사범과 교학敎學의 표상表象
4 ● 사범교육과 사범의 계승
5 ● 결어
둘 ● 한국 근현대 사회와 국사교과國史敎科의 부침浮沈
1 ● 서언
2● 근대개혁기 국사교과의 제정과 왜소화
3 ● 일제강점과 국사의 압살
4 ● 신국가재건과정과 국사교과의 회생 및 홀대
5 ● 개발지상과 국사교과의 험로
6 ● 결어
셋 ● 역사교재 찬술撰述에서 용어用語 선정의 문제
1 ● 서언
2● 역사용어의 음미吟味와 국사의 처지
3 ● 한국역사학과 용어선정의 경향
4 ● 사례로 본 용어논의의 허실
5 ● 결어

이애주 편 | 춤이란, 삶이란, 배움이란
시작하는 글
하나 ● 배움과 가르침
둘 ● 춤이란
셋 ● 춤의 정신과 철학
넷 ● 우리의 정체성은 살아있는가
다섯 ● 춤은 시대정신과 함께
여섯 ● 인류문명사 속에서 보는 한국춤
일곱 ● 춤의 속성으로서 大同4무―無 巫 武 舞
여덟 ● 한국춤은 한밝춤
덧붙이는 글

저자소개

박효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가톨릭대학 신학부를 졸업하고 신학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땄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 재직중이다.『국가와 권위(2001)』라는 책으로 제42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했으며, 대표저서로『민주주의와 권위(2005)』가 있다. 오랫동안 시민단체 활동을 해왔으며, 학교에서는 ‘국가와 시민’이라는 핵심교양강좌를 통해 학생들과 만나왔다.
펼치기
우한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아산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현대소설학회 회장, 한국작가교수회 회장,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장편소설 『생명의 노래 1, 2』 『시칠리아의 도마뱀』 『악어』 『심복사』 『소리 숲』 등, 소설집 『초연기-파초의 사랑』 『도도니의 참나무』 『사랑의 고고학』 『붉은 열매』 『아무도, 그가 살아 돌아오리라고 기대하지 않았다』 『수상한 나무』 『시인의 강』 『왕의 손님』 등, 시집 『청명시집』 『낙타의 길』 『검은 소』 『내 마음의 식민지』 『만화시초』 『나는, 나에게 시를 가르친다』 등, 픽션 에세이 『떠돌며 사랑하며』가 있다. 저서로 『한국근대작가연구』(공저) 『문학교육론』(공저) 『한국현대장편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구조연구』 『채만식소설 담론의 시학』 『문학교육과 문화론』 『창작교육론』 『한국 근대문학교육사 연구』 『소설장르의 역동학』 등을 간행했다.
펼치기
이경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국사전공)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국사전공) 박사 2012년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 저서: <朝鮮前期 土地制度硏究―土地分給制와 農民支配> <朝鮮前期 土地制度硏究―農業經營과 地主制> <韓國 古代·中世初期 土地制度史―古朝鮮~新羅·渤海> <韓國 中世 土地制度史―朝鮮前期> <高麗前期의 田柴科> <韓國 中世 土地制度史―高麗>
펼치기
이애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 서울대학교 교수, 명예교수. 이애주 선생은 어린 시절 ‘이왕직 아악부(국립국악원의 전신)’의 수장(首長) 김보남으로부터 춤을 익혔다. 서울대학교 진학 후‘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보유자인 벽사(碧史) 한영숙을 사사(師事)했으며, 1996년에는 스승에 이어 2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87년 6월항쟁의 한복판에서 온몸으로 시대를 가르는 춤을 춤으로써 춤의 사회적 과제를 부각시켰다. 이후 전통춤 정립과 후진 교육에 매진하는 한편, 대학교 교수, 경기아트센터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2021년 이애주문화재단을 설립한 후 같은 해 5월 10일 타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공부하고 같은 대학에서 가르쳤다는 경험은 생애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개인들 자신에게는 물론 역사적 공통경험으로 뒤에 남겨 다른 사람들이 사범대학의 지난날을 돌아보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같은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몫이라는 공감이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각자 자유로운 양식으로, 자신의 취향과 공부 방법과 어울리는 스타일로 사범대학에서 공부하고 가르친 체험을 서술하여 책으로 묶자는 의견이 모아졌다.
같은 일을 하는 이들은 삶의 패턴과 사유방식과 지향에서 유사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유사성은 때로 직업의식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때는 행동으로 구체화되기도 한다. 우리 네 사람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전반에 대해, 그리고 특히 사범대학의 교육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교육이 삶과 괴리될 수 없다는 공통된 생각을 발견하게 되었다. 삶과 학문과 교육이 융합되어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 공감의 핵심이다. 이는 삶과 교육의 비분리원칙이라 할 만하다. 교수가 연구하는 과정과 그 결과가 삶의 실상이다. 교육과 삶은 동일선상에 놓인다. 교육의 과정은 그 자체가 삶의 과정이다. 삶에 유예가 없듯이 교육에도 유예가 있을 수 없다. 삶으로서의 학문과 삶으로서의 교육을 동시에 생각하게 되는 것은 이러한 까닭이다.
-머리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