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무용
· ISBN : 979119525154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4-30
목차
우리춤의 선구先驅, 한성준韓成俊
16 들어가는 말
I. 한성준의 역사ㆍ문화 인식 20
1. 한성준의 춤 인식|20 2. 정도正道를 밟아가는 역사ㆍ문화 의식|21
II. 한성준 춤의 형성과 기법 23
1. 한성준 춤의 형성|23 2. 한성준 춤의 기본 기법|27
III. 한성준이 정립한 대표적 춤 네 바탕 31
1. 승무|31 2. 살풀이|33 3. 태평춤|34 4. 학춤|37
IV.한성준 춤의 정신과 원리
1. 한성준 춤의 정신|41 2. 한성준 춤의 원리|49
V. 한성준 춤의 가치와 현대적 의의
1. 한성준 춤의 핵심적 가치|53 2.한성준-한영숙-이애주 전승춤의 현대적 의의|59
60 맺음말
우리춤의 정수精髓, 승무僧舞
64 들어가는 말
I. 승무僧舞의 의미 65
1. 춤이름에 나타난 의미|65 2. 춤옷과‘장삼놀림’|67
II. 승무의 형성 과정 69
1. 골격의 형성 : 근원적 기원|69 2. 춤틀의 발전 : 사상ㆍ신앙의 토대|72
3. 불교와의 연관|74 4. 승무의 정착|77
III. 승무의 원리와 구조 80
1. 승무와 유사 춤과의 관계|80 2. 승무 움직임의 원리|82
3. 승무의 전개구조|84
IV. 승무의 구성과 춤사위 분석 87
1. 염불과장|87 2. 타령과장|102 3. 굿거리과장|106 4. 법고·당악과장|112
5. 뒷굿거리과장|115
V. 승무의 미적 구조
121 맺음말
한영숙 류流 이애주 맥脈
승무僧舞 무보舞譜
I. 한영숙 류 승무의 전승傳承 과정 124
1. 들어가는 말|124 2. 승무의 시대 구분|125 3. 맺음말|131
● 깊이 체득한 몸의 발현, 그 기록으로서의 무보舞譜·권효진|134
II.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137
1. 염불 + 잦은염불|139 2. 타령 + 잦은타령|187
3. 굿거리 + 잦은굿거리 + 굿거리|225 4. 법고 + 당악|307
5. 뒷굿거리|327
우리춤의 혼과 맥 그리고 기억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