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52136626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보편원리와 자기이해
1. 특수한 보편원리들
2. 근대 한국의 보편원리의 전환과 특별한 ‘도덕’
3. 보편적 보편원리와 지역적 보편원리들
4. 범위와 의의
제2장 유학적 보편원리와 이익 추구의 공존: 유길준의 『서유견문』을 중심으로
1. 문명과 욕망
2. 문명과 정치체제
3. 정당한 생업으로서의 상업
4. 실정법상의 권리
5. 상인의 직분
6. 변화는 어디에서 오는가: 상인의 선비화
제3장 박은식의 새로운 지고선 찾기
1. 문제 제기: 민족주의를 넘어서
2. 유학과 신학문
3. 보편원리로서의 사회진화론
4. 흔들리는 지고선
5. 양명학이 줄 수 있는 것
6. 양명학이 줄 수 없는 것
7. 무엇에 의지해야 하는가
제4장 종교와 도덕에 실은 이돈화의 꿈
1. ‘종교’에 의지해 식민지에서 미래를 내다보기
2.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현상즉실재론’
3. 현상즉실재론과 이돈화의 수운주의
4. 수운주의는 어떻게 현실을 설명하고 돌파하는가
5. 문화개조와 신사회 건설의 비전
6. 용과 절연된 체, 현실과 절연된 보편
7. 바탕 없는 자기중심주의
제5장 국권상실이라는 장벽과 신채호의 지고선
1. 격동의 정점에서
2. 국권상실이라는 변수와 자아
3. 자연으로서의 민족주의, 가치로서의 자유주의
4. 갈등하는 가치들
5. 현실을 지도할 지고선이 있는가
6. 신채호의 해방: 지고선과 민족의 운명
제6장 중화의 주체와 지고선의 향방: 량치차오를 중심으로
1. 비교지표로서 량치차오의 의미
2. 유길준과 량치차오: 개혁도 의무로 수용하는 유학자의 길
3. 박은식과 량치차오의 차이: 보편이념으로서 유학의 위상
4. 이돈화와 량치차오의 차이: 문화주의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배경
5. 신채호와 량치차오의 차이: 제국주의에 대한 평가
6. 량치차오와 중화, 진정한 보편주의에 대한 반성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문명총서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