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52136770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종교학 강의는 무엇을 다뤘는가? | 이혜경
1. 일본의 첫 ‘종교학’ 강의
2. 교육칙어와 기독교 비판
3. ‘비교종교와 동양철학’ 강좌와 불교
4. ‘충효’를 제공하는 유학
5. 윤리적 종교
6. 신도와 국민도덕
7. 유교, 불교, 신도의 종합으로서 국민도덕
제2장 이노우에 엔료는 불교를 어떻게 개량했는가? | 이혜경
1. 불교 부흥을 위한 엔료의 출사표
2. 순정철학은 어떻게 사회를 안정시키는가?
3. 포괄적 철학으로서 불교
4. ‘공덕 양성’에서 정치에 이르는 불교의 역할
5. 호국과 애리를 양립시키는 원리: 현상즉실재론
6. 불교개량운동은 왜 철학을 필요로 했는가?
7. 불교 개량의 방향
제3장 아네사키 마사하루는 왜 ‘신종교’론을 제창했는가? | 이연승
1. 일본 종교학 초기의 ‘신종교’론
2.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종교 담론: ‘이상교’를 중심으로
3. 아네사키의 ‘신종교’론: 포괄과 융합의 결실로서 새로운 종교
4. ‘신종교’의 이상을 향한 종교학적 실천: 국가주의에 접근한 ‘신종교’ 활동
5. 아네사키 ‘신종교’론의 의미
제4장 가토 겐치의 국가신도는 어떻게 종교가 되었는가? | 이예안
1. 가토 겐치의 국가신도론 등장 배경과 현대적 맥락
2. 신종교 대망과 새로운 국체론
3. 종교학 이론 수용과 종교로서 신도 정의
4. 신도에 대한 정의
5. 국체신도의 의미
6. 국가신도론과 국체론의 공모: 국체신앙의 확립
제5장 가케이 가쓰히코의 신도는 어떻게 생명주의와 만나는가? | 김태진
1. 도쿄대 법학부 괴짜 교수 가케이 가쓰히코
2. 이노우에 데쓰지로와의 비교 속에서: 불교에서 신도로 전회
3. 다이쇼 생명주의의 자장 속에서: 신도와 생명의 만남
4. 천황기관설 논쟁과의 관계 속에서: ‘표현’으로서의 천황
5. ‘우주대생명’으로서 신도의 논리: 신도-생명-표현의 철학
제6장 하타노 세이이치의 기독교는 천황을 어떻게 수용했는가? | 이경미
1. 하타노의 종교철학과 정치성
2. 하타노의 생애와 학문
3. 하타노의 종교철학
4. 상징의 비유로서 천황
5. 하타노의 빛과 그림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