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2207074
· 쪽수 : 341쪽
· 출판일 : 2007-08-20
책 소개
목차
서론 인간이라는 자연
1부 권력 대 역능
1장 사회동학: 권력과 역능 그리고 폭력
권력과 전체주의적 폭력
역능: (창건적 혹은 일상적) 폭력과 ‘일상’
(창건적 혹은 일상적) 폭력
역능의 구조화 혹은 일상
2장 일상
사회적인 것의 무의미
의례와 근거와 형식들
2부 문화의 자연화, 자연의 문화화
3장 부족의 시대
책의 구성: 생기론적 형상주의
감싸는 토대로서의 ‘분위기’
지하의 역능
사회성 대 사회적인 것
부족주의
다문화주의
4장 미학의 윤리
‘미학의 윤리’
감각의 기쁨
외양의 지배
문화의 자연화
정체성으로부터 동일시로
5장 노마디즘
방황의 충동
창건적 노마디즘
부유하는 영토
모험의 사회학
6장 비극
목적 없는 삶
부동의 시간
세계의 즐거움
가상의 세계
사물의 유기성
사회적 침착성
결론 헤르메스의 정신을 향한 여정
저자소개
책속에서
삶은 그것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설명을 항상 앞서 간다. 분석이 가능한 것은 항상 그다음이고, 나아가서 이 간극은 우리가 사는 것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p96 중에서
...우리가 앞서 살핀 '문화'와 '문명'의 이분법을 다시 사용한다면, 이 '제3'혹은 '이방인'의 통합은 특히 '문화'와 관련이 있다. 즉 '문화'는 그 창건의 역동주의 안에서 특히 '이방인'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히려 외부로 오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갱신하기 위한 힘을 얻게 되지만, 동시에 자기 자신에 여전히 머물러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p173-17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