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금융 지식 7일 만에 끝내기

금융 지식 7일 만에 끝내기

박유연 (지은이)
살림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원 -10% 2,500원
490원
10,830원 >
8,820원 -10% 2,500원
0원
11,3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4,9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2,7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금융 지식 7일 만에 끝내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금융 지식 7일 만에 끝내기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88952215680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1-05-16

책 소개

금융시장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를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본적인 개념 정리, 제도 및 시장 참여자들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해서 금융시장을 움직이는 금리에 대해 풀어냈다. 또 금융시장의 가장 기본적인 상품인 채권을 별도의 장을 통해 자세히 설명했고, MBS, ABS, CDO, 선물, 스왑, 옵션 등 신문지상에 자주 소개되지만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웠던 용어들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목차

프롤로그 _ 금융 흐름의 맥을 짚는 금융 지식의 모든 것
step 1. 금융의 개념과 제도
계주와 자산운용사는 알고 보면 한뿌리? - 금융의 종류, 지급준비제도, 지급결제제도
금융 최후의 보루, 예금보험제도 - 도덕적 해이, 저축은행 문제
금융시장에 누가 참여하나 - 금융시장의 참가자들

step 2. 금융시장을 움직이는 힘, 금리
기준 금리를 내렸는데 대출금리가 오른다? - 가산금리, CD금리
은행들이 ‘코픽스’ 도입을 꺼린 까닭 - 가중평균금리, 예금 대출금리 조정 원리
대부업체가 30일 이자면제를 해주는 이유 - 금리 규제와 신용할당

step 3. 금융상품의 기본, 채권
채권은 한 마디로 돈을 빌려줬다는 증서 - 채권의 개념과 종류
채권가격은 어떻게 움직일까? - 금리와 채권가격의 상관관계
채권 부도 위험 덜어주는 CDS가 금융위기의 주범? - CDS

step 4. 금융상품의 응용과 진화
돼지고기 미리 사두는 게 첨단 금융상품? - 선물, 선도, 스왑
스톡옵션에 숨겨진 비밀 - 옵션, 어음
채권의 진화가 금융위기를 불러온 이유 - MBS, ABS, CDO, 대출·예금의 진화

step 5. 금융과 규제
금융 관련 부처는 왜 항상 싸울까? - 금융 규제 맡는 기관들
골드만삭스의 투자자 모집이 사기? - 금융사고와 징계
금융 규제 어떻게 변화할까? - 서비스업의 비전과 금융 규제

step 6. 금융안정과 구조조정
은행은 알고보면 지상 최대의 빚쟁이 - 자기자본, 자기자본비율
은행이 정부 돈을 거부하려 했던 까닭 - 대손충당금, 프리워크아웃
시장안정펀드의 탈을 쓴 공적자금 - 공적자금, 유사공적자금

step 7. 금융의 미래
한국 금융 왜 약한가? - 한국 금융의 구조적 문제
빅뱅 한국 금융 - 은행 민영화 이슈
3세대 금융 패러다임의 별 ‘Bi-star’에서 나온다 - 세계 금융 발전의 조류

저자소개

박유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 관련 주요 부서만 두루 거쳐온 15년 차 경제전문기자 출신이다.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조선일보〉 경제부에서 경제부처와 금융업계를 주로 취재했다. 2008년, 2011년, 2015년에 씨티그룹 대한민국 언론인상을 받았고 사내 특종상과 기사상을 수십 회 받았다. 2014년에는 〈조선일보〉 편집국에서 가장 많은 상을 받은 기자가 되기도 했다. 2014년 ‘대한민국 재테크 박람회’ 출범과, 2016년 〈조선일보〉와 네이버의 조인트벤처 ‘잡스엔’ 출범을 기획했다. 2018년 디캠프(은행권청년창업재단)에서 1년간 연수를 받으면서 스타트업과 인연을 맺었다. 연수 종료 후 새로운 콘텐츠를 실험하는 〈조선일보〉 사내벤처 ‘비비드콘텐츠’를 만들어 대표를 맡고 있다.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지금 당장 세계경제 공부하라』를 비롯해 『월급의 비밀(공저)』 『난생 처음 경제 공부』 『나는 오늘부터 경제기사를 읽기로 했다』 등의 저서를 집필했다. 옮긴 책으로 『부자들의 냅킨 재테크』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은행을 파산시킬 경우, 5,000만 원 이상 예·적금이나 후순위채 투자자들은 가교은행으로 넘어가는 경우와 같다. 5,000만 원 이하 예·적금 투자자들은 보험금 지급을 통해 원금뿐 아니라 이자까지 보장해 주되 가입 당시 이자율이 적용되지 않고 시중 은행 평균 이자율이 적용된다. 이처럼 5,000만 원 이하에 대해 이자까지 보장해 주는 것은 저축은행 등 서민금융기관에도 예금자들이 떼일 두려움 없이 안심하고 예금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은행이 판매하는 모든 상품이 예금 보호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생소한 상품에 가입할 때는 예금 보호가 되는지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한다.


채권을 거래할 때 가장 염려되는 것이 채권을 발행한 국가, 기업, 금융사가 파산하는 일이다. 그러면 돈을 빌려줬다가 떼이는 것처럼, 채권을 상환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금융시장은 이에 대한 안전장치를 만들어 놨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된 ‘신용파산스왑(Credit Default Swap; CDS)’란 상품이 그것이다.



어음 자체는 사용이 줄고 있지만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면서 사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기업어음(Commercial Paper; CP)이다. 보통 어음은 특정 거래 관계를 기반으로 발행되지만 순수하게 자금 조달 목적으로 발행되기도 한다. 이를 기업어음이라 한다. 앞서 거래 대금 지급 용도로 발행되는 보통의 어음은 ‘진성어음’으로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 기업어음의 기본 개념은 회사채와 비슷하다. 다만 기업어음은 회사채보다 만기가 짧다. 이에 회사채가 장기로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되는 반면 기업어음은 단기로 소액의 자금을 조달하는 목적으로 발행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