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2221049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2-10-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고대 알렉산드리아도서관
고대 그리스의 도서관
로마의 도서관
터키 에베소의 켈수스도서관
중세 수도원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국립도서관
우리의 도서관 건축, 무엇이 필요한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서관의 역사는 인류문명의 역사와 같은 수레바퀴로 굴러왔다. 도서관이 인류의 가장 빛나는 문화유산의 하나라는 것은 5천 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그 역사만 보아도 짐작이 간다. 기원전 3,000년 인류문명의 발원지 메소포타미아 부근 고대 수메르인들이 쓴 점토판 목록에서부터 이집트의 파라오 람세스와 아시리아의 왕 아슈르바니팔이 만든 고대 도서관은 인류역사와 같은 끈으로 엮어져 있다.
로마 최초의 도서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기원전 450년경 신전에 책을 모아 의식에 사용한 일이라고 하는 의견도 있고, 12개의 점토판에 로마법을 새겨 대중에게 공개한 것을 가지고 추정하는 사람도 있지만 정설은 아니다. 문헌에 나타난 최초의 도서관은 기원전 168년 군대 지휘관이었던 파울루스 애밀리우스(Paulus Aemilius)가 마케도니아를 정복한 후 전리품인 책으로 도서관을 만든 것이다. 정복자들은 약탈한 희귀 서적과 값비싼 보물, 각종 조각품 등 움직일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로마로 운반했다. 병사들이 값비싼 보물을 취하고 있을 때 애밀리우스 자신은 “자식을 위해서는 황금보다 책이 더 귀하다!”고 하여 오직 책만을 모았다는 이야기가 지금까지 금언(金言)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12세기 유럽에서 근대적 의미의 대학이 출현했다는 사실은 인류문명의 위대한 전환점이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문명의 혜택은 대학에서 출발한 학문의 결실이 한 매듭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 축적되어왔기에 가능했다. 초기 대학에서 과연 어떤 학문이 잉태되었기에 오늘날 이렇게 다양하고 화려하게 성장했을까? 이를 휴머니즘 성격에서 한번 찾아보자. 우리 인류가 태어나 평생 겪는 정신적 고통을 신의 힘으로 구제받기 위해 신학(theology)이 탄생하지 않았을까. 그다음 인간이 공동생활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고통을 공정한 규칙으로 해결하기 위해 법학(law)이 나왔다면 사람이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육체적 고통을 의술로 해결하기 위해 의학(medicine)이 태어났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