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사회 빈부의식은 어떻게 변했는가

한국 사회 빈부의식은 어떻게 변했는가

(부와 빈의 정신분석)

김용신 (지은이)
살림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원 -10% 2,500원
490원
10,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800원 -10% 240원 4,080원 >

책 이미지

한국 사회 빈부의식은 어떻게 변했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사회 빈부의식은 어떻게 변했는가 (부와 빈의 정신분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2231130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15-04-20

책 소개

급속한 경제발전 이후의 각종 사회·경제적 문제들로 몸살을 앓고 있는 한국 사회의 어두운 이면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 시대의 빈부의식은 대체 언제,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가. 저자는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교에서 ‘정신분석적 정치·사회이론’을 전공한 이력을 살렸다.

목차

들어가며
우리는 지금 어떤 시대에 살고 있는가
부와 빈의 구조적 변화
부와 빈의 심리적 변화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심리적 대응
우리는 이제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가
나가며
참고자료

저자소개

김용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GWU)에서 공산주의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정신분석학적 정치·사회이론’을 전공하여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교(UMD)에서 정치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8년 현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좌교수, 사단법인 한국일용근로자복지협회 회장, 비영리 민간단체 ‘청년의 힘’ 자문위원장이다. [주요저서] - The Ego Ideal, Ideology, and Hallucination (영문) - The Letters Between Toegye and Gobong on Four Virtues and Seven Passions (退溪, 高峰 四七理氣 往復書: 영역) - 문명비판 (I): 정치철학과 정신분석학의 만남 - 문명비판 (II): 한국인의 잠재의식과 정치병리 - 성리학자 기대승 프로이트를 만나다 - 보수와 진보의 정신분석 - 예술의 정신분석학적 해석 - 書의 美學 - 심리학 한국인을 만나다 - 나는 누구인가: 일반인을 위한 정신분석학 - 한국사회 빈부의식은 어떻게 변했는가 - 지도력의 허상 - Salpuri-Chum, A Korean Dance for Expelling Evil Spirits (영문, 공저)
펼치기

책속에서

가난 탈피의 욕구야말로 우리의 자아이상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신의 욕구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면 현실을 원망하게 되고, 그러면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현실의 원리를 무시하고 탈법과 불법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한 가지 걸리는 것이 있다. 그것은 불법적인 행위로 법의 제재를 받는 일이다. 운 좋게 법망을 피할 수 있다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감옥에 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피하려면 이 사회 자체의 변화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어떤 경우에는 이 사회 전체를 바꿔보려는 혁명정신이 싹트기도 한다. 사회가 변하면 적어도 지금보다는 자신의 처지가 나아 질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에 희망이 없어지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나타낸다. 이것은 스스로의 목숨을 버리는 일은 잘못된 것이라는 도덕적 교화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누구나 성공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이 널리 퍼지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은 자연히 줄어들 것이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저승보다는 낫다는 속담도 있듯, 살기 좋은 세상이라면 도대체 누가 세상을 떠나려고 하겠는가?
그런데 현실적인 희망의 끈이 없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죽음을 선택한다. 따라서 지금 우리의 자아이상은 타협의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열려 있는 현실을 갈망하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현실의 벽이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우리의 자아이상은 현실을 무시한 급진적 길을 택함으로써 그 퇴행성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될 것이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지금 다수의 사람들이 당면한 문제를 풀 수 있는 이론부터 먼저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쿤의 독점 이론이란 그 시대 다수의 사람들이 지지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를 받았다 함은, 정신분석학적으로는 다수가 원하는 바를 단 일부라도 충족시켰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 이론은 그제야 비로소 현실적 유효성을 인정받은 것이다.
앞서 지적했듯 개인의 권리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와, 공익을 강조하는 공동체주의, 이와 연결된 시장경제 이론과 계획경제 이론, 나아가 혼합경제 이론은 현실적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돼 왔다. 그렇다면 현재 다수의 사람들은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 그것을 먼저 알아야 오늘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23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