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53148581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4-06-1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Chapter 1 마음이란 무엇인가?
도대체 마음이란 무엇인가? ● 왜 마음은 혼돈과 공허와 흑암으로 가득차 있는가 ● 혼돈과 공허와 흑암을 몰아내려면
Chapter 2 마음의 위치와 다양성
마음이 하나님께 가지 못하는 이유 ● 땅의 것으로 마음을 채우는 사람들 ● 하나님의 특단 조치, 예수님 ● 하나님으로 마음을 채우는 사람들
Chapter 3 마음의 크기와 마음채움
무엇으로도 마음을 채울 수 없다 ● 마음챙김, 불완전한 해결책 ● 마음채움, 이것이 답이다 ● 하나님으로 마음을 채우는 방법
Chapter 4 마음의 구조와 지향점
마음의 구조는 성전의 구조와 같다 ● 성소와 지성소의 관계 ● 영이 선택한 것을 따라 혼이 움직인다 ● 신앙은 마음의 지성소에서 하나님 아닌 것을 빼내는 것이다
Chapter 5 마음의 기능과 상호관계
하늘과 땅이 만나는 곳, 성전 ● 마음의 성전에서 하나님을 만나려면 ● 내 마음과 예수님의 십자가
Chapter 6 천국에서는 무엇을 하는가
‘사이(間)가 좋다’는 뜻 ● ‘가장 중요한 사이’는 ● 하나님과 한 세트가 된다면 ● 왜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이는가 ● 마음을 관리한다는 뜻
저자소개
책속에서
마음이 무엇인지 알고 싶었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입만 열면 ‘마음’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습니까? ‘마음에
안 들어’ ‘마음 가는 대로 해 봐’ ‘마음이 아파.’ 그런데 도대체 마음이 무엇입니까?
‘내 마음 나도 모르게…’라는 노래 가사도 있듯 우리는 수없이 ‘마음’이란 단어를 쓰고 말하면서도 마음의 정체를 모릅니다. 그러나 성경은 말합니다.
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 잠 4:23 |
사실 성경을 읽으면서도 마음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신앙과 마음의 관계는 불가분리의 관계인데, 그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해 주는 내용의 책이나 가르침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뇌 과학이 발달하면서 마음과 뇌의 관계를 설명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기에 집중해서 읽어 보았지만 쉽게 납득되지 않았습니다. 인간의 마음은 뇌 과학이 말하는 것보다 훨씬 깊으며, 우리 존재의 핵심이라고 성경은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마음도 그렇습니다. 마음 자체가 병들어 있으니 행하는 모든 것이 빗나갑니다. 죄가 됩니다. 인간이 스스로 하나님을 영접하기 전까지는,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빛이 우리 마음에 들어와 혼돈과 공허와 흑암을 몰아내기 전까지는 인간의 마음이 완전해지지 않습니다.
이사야는 하나님과 우리 마음의 거리감을 이야기합니다.
… 이 백성이 입으로는 나를 가까이 하며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나 그들의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났나니 … | 사 29:13 |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 말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언제 하나님을 멀리했느냐고, 우리가 그동안 하나님께 얼마나 제사를 많이 드리고 성전 문이 닳도록 드나들었는데 왜 우리 마음이 하나님을 섬기지 않았다고 말하는 거냐면서 선지자들을 때려죽입니다. 인간은 자신을 그렇게 모릅니다. 하나님의 빛이 들어가기 전까지는 자기 마음이 이렇게 혼돈하고 공허하고 어두운지를 모르는 것입니다. 세상이 짐작하는 마음과 하나님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마음의 정의가 이렇게 다릅니다.
우리 마음이 십자가를 따라서 죽고 부활하여 하나님 우편에 가 있습니까? 그렇다면 ‘영 주도적 인간’입니다. 사탄의 속임수에 빠져 오직 세상이 전부인 줄 알고 살아가면서 그 마음을 땅에 두고 있습니까? 세상에 빠져 있습니까? 그렇다면 ‘육체 주도적 인간’입니다. 십자가 앞에서 자기를 죽이지 않았으므로 하늘로 올라가지도 못하고, 이 세상에 속했으면서도 하나님을 부르면서 스스로 하나님께 속했다고 속고 있습니까? 여전히 마음이 공중에 있는 그들을 ‘혼 주도적 인간’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마음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구별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영성을 성장시킬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