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53149595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4-10-3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앞서가지 말고 함께 갑시다
# 하나님을 위해 뭘 하냐고요 # 욕심과 질투에서 자유하십시오 # 광야도 끝은 옵니다 # 좋아합니까, 사랑합니까 # 동행이란 그에 관해 알아가는 것입니다 # 소통이 안 된다고요 # 고약한 사람을 가졌습니까 # 억지로라도 화목을 이루세요 # 때로는 미련해도 좋습니다
2 완벽하지 않아도 되니 행복합시다
# 너로 충분하단다 # 사랑하기 힘들다면 사랑받을 때입니다 # 아파도 괜찮습니다 # 한계를 마주하는 것도 신앙입니다 # 두려움이 용기가 되는 건 찰나입니다 # 짐이 없다면 성장도 없습니다 # 고통 속에서 자유하십시오 # 왜 접니까 # 뭘 위해 열심히 삽니까
3 힘자랑 그만하고 복음 자랑합시다
# 폭로하는 정의 vs. 덮어 주는 은혜 # 옳은 일이라고 다 정의가 아닙니다 # 자꾸 지적만 한다고 권위가 생깁니까 # 술 마셔도 올 수 있는 교회 어떤까요 # 십자가를 이용하고 있진 않습니까 # 개혁은 처음 마음으로 돌이키는 것입니다 # 복음은 불편한 게 맞습니다 # 세상을 바꾸는 것은 권력이 아닙니다 # 지는 것도 은혜입니다
4 해결할 생각 말고 기도합시다
# 기도한다면서 떼쓰고 있지는 않습니까 # 기도는 요술봉이 아닙니다 # 누가 환난에 맞설 수 있겠습니까 # 기도는 액세서리가 아닙니다 # 때로는 침묵해야 합니다 # 용서 못하는 마음이 독입니다 # 용서란 매일 죽는 것입니다 # 기도하면 하나님의 뜻을 알게 됩니다 # 기복이라 욕해도 축복은 해야겠습니다
5 가식 떨지 말고 충성합시다
# 경건하려면 허세부터 벗으세요 # 과거를 드러내면 자유롭습니다 # 삶이 과장되지 않기를 # 하나님의 ‘좋아요’가 중요합니다 # 성령님을 잃어버리진 않았습니까 # 내일의 기름부으심을 준비합시다 # 겸손하고 싶은데 겸손이 안 된다고요 # 은혜는 순종의 영역입니다 # 명확한 선이 필요합니다 # 대충 살지 맙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억지로라도 화목을 이루세요” 중에서
화목제물은 감사제, 낙헌제, 혹은 서원제를 드리며 소를 잡아 제물로 드리는 것입니다. 화목제물은 유일하게 제사를 드린 후 사람들이 함께 나누어 먹습니다.
그런데 조금 이상한 규정이 있습니다. 화목제물은 제사를 드리고 난 후 하루 혹은 이틀이 가기 전에 모두 먹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소를 한 마리 잡으면 그 양이 대단합니다. 그것을 나눠 먹으려면 몇 사람으로는 안 됩니다.
가만히 보니 화목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억지로라도 원수와 음식을 나눠 먹어야 합니다. 아마도 하나님이 우리를 화목하게 하시려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자발적인 예배만 받으시는 것 같지 않습니다. 때로는 억지로 하는 순종을 통해서도 화목을 이루십니다.
우리 주님이 화목제물이 되셨다는 말이 참 깊게 다가옵니다.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화목과 사람과 사람 사이의 화목은 그렇게 낭만적이거나 자발적이 아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순종의 제물이 화목을 만들었습니다.
어떻습니까? 아직도 예배를 억지로 드린다는 말이 부정적으로 들립니까? 억지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을 떠올려 봅시다. 그리고 그것이 예배라고 생각해 봅시다. 어쩌면 예배의 혁명이 억지로 시작될지도 모릅니다.
“너로 충분하단다” 중에서
우리는 뭔가 굉장한 은사로 하나님의 일을 해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니 현실은 ‘늘 부족한 나’ 앞에서 좌절하죠. 열심히 살아도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이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 아버지는 그런 우리 모습 그대로도 괜찮다고 말씀하십니다! 우리 모두가 참 부족한 사람들이기에 그 간증이 가슴에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하나님을 위해 삶을 내어드리며 애쓴 모든 사람에게 이렇게 말해 주고 싶습니다.
“괜찮아, 괜찮아. 너는 충분한 하나님의 아들이고 딸이야.”
“지는 것도 은혜입니다” 중에서
하나님의 은혜는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덕을 세우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 가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하나님을 적대하는 악한 자들과 싸우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아픈 마음, 그분의 눈물을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일을 하며 손해보는 억울함이 아니라 깊은 곳에서 샘솟는 기쁨과 감사를 고백하는 것이 은혜입니다.
우리가 오늘도 하나님의 진정한 은혜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은 말로 할 수 없는 커다란 특권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은 의무를 다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특권을 누리는 사람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