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발해
· ISBN : 9788954410984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06-08-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편 대조영은 발해국의 건국 시조
1. 고구려의 옛 장수 대조영
출생
청년 장수로 성장
2. 발해국 창건
고구려의 종말과 유민들의 항전
진국의 성립
영주 민란과 대조영의 호라약
698년, 발해국의 선포
3. 나라의 위력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
첫 수도 오동성
영토의 급속한 확대
당나라와 관계사에서의 주도적 지위
대조영의 사망과 그의 아들
제2편 해동성국 발해
1. 정치
독자적인 정치제도
발해국의 주민 구성
같은 민족 통일신라와의 관계
활발한 대외 관계
대조영 이후의 14대왕
2. 경제
농업과 목축업
수공업
사냥과 어업
3. 문화
도시 유적
무덤
공예와 조각
문학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옛 고구려 영역에서 투쟁하고 있는 항전 세력들이 통일된 강력한 고구려의 재건을 갈망하고 있다는 사실은 발해국에 있어서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할 수 있는 더없이 유리한 조건이었다.
이와 함께 고구려의 옛 땅을 차지하려고 필사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던 당나라 세력이 옛 고구려 지역에서 완전히 쫓겨남으로써 발해국의 영역 확대를 반대하는 장애물이 제거되었다. 이것은 발해국이 외부로부터의 그 어떤 방해 없이 영역 확대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수 있게 한 도 다른 계기였다.
특히 발해 건국 초기의 강한 군사력은 발해의 영역 확대를 믿음직하게 담보해 주고 있었다. 발해 건국 후 대조영은 산하에 모여든 40만 대군과 그들의 충천한 기세는 실로 발해 건국을 공고히 하고, 앞으로 고구려의 옛 땅을 완전히 회복할 수 있게 하는 든든한 군사적 담보였다. - 본문 67~6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