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4642293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6-09-19
책 소개
목차
1. 혁명이란 무엇인가?
2. 혁명은 왜 일어나는가?
3. 혁명의 과정, 지도자, 결과
4. 고대의 혁명
5.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의 혁명
6. 입헌 혁명: 미국, 프랑스, 유럽(1830년, 1848년), 메이지 일본
7. 공산혁명: 러시아, 중국, 쿠바
8. 독재자에게 저항한 혁명: 멕시코, 니카라과, 이란
9. 색깔 혁명: 필리핀, 동유럽, 소련, 우크라이나
10. 2011년 아랍 혁명: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
11. 혁명의 미래
감사의 말/ 참고문헌/ 독서안내/ 역자 후기/ 도판 목록
책속에서
혁명이 역사와 대중적 상상력에서 고유한 역할을 하는 것은 오로지 혁명만이 정부의 강제적 전복, 대중 동원, 사회 정의라는 이상의 추구, 새로운 정치제도의 창조 등의 요소를 모두 조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조합이야말로, 선지자적 지도자가 군중의 힘에 의지하여 새로운 정치 질서를 강제로 성립시키는 과정을 우리가 혁명으로 인식하는 이유다.
혁명은 영웅주의뿐 아니라 공포로도 이름값을 한다.
혁명이 과거와의 근본적 단절이고 혁명가들이 의지의 힘으로 전혀 새로운 것을 만들고 (관습도 종교도 아닌) 이성의 원리로 정부를 구성할 수 있다는 관념은 명백히 근대적인 것이었다. 17세기와 18세기를 거치면서 사람들이 과학적 발견 덕에 종교적 권위의 진실성에 의심을 품고 이성과 현실 경험을 더 신뢰함에 따라 통치 체제에 대한 관념도 달라졌으며, 여기에는 혁명적 함의가 있었다. 사람들은 통치자가 신에게서 통치권을 받았다는 주장을 의심하기 시작했으며 군주제를 한낱 낡은 관습으로 치부하고 근대적 인간은 군주제에 구속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