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54687720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22-07-2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7
고대 이스라엘 역사의 주요 사건 연표 13
1. 고대 이스라엘의 유산 17
2. 구약성경의 유일신 이해하기 38
3. 천지창조 이야기: 창세기 1~3장 59
4. 중복과 상충 82
5. 근현대의 구약성경 비평 연구 104
6. 이스라엘 조상들 이야기: 창세기 12~36장 133
7.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모세 그리고 야훼 신앙의 시작 162
8. 애굽에서 시내로 185
9. 율법 210
10. 제사장적 유산: 제사 의식과 희생 제물, 정결과 거룩 242
11. 모압 평지에서: 신명기와 모세 269
12. 신명기적 역사서 I: 여호수아 301
13. 신명기적 역사서 II: 사사, 선지자, 왕 320
14.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 349
15. 이스라엘의 예언 376
16.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선지자들의 반응: 전형적인 예 아모스 396
17. 앗수르 위기에 관한 예언: 호세아와 이사야 1서 418
18. 유대의 선지자들: 미가, 스바냐, 나훔, 하박국, 예레미야 441
19. 성전 파괴에 대한 반응: 에스겔과 제2, 제3 이사야 468
20. 성전 파괴에 대한 반응: 예레미야 애가, 잠언, 욥기 494
21. 정경 비평: 전도서, 시편, 아가 530
22. 성전 복원: 에스라, 느헤미야, 룻 563
23. 유배 이후의 선지자들과 종말론의 등장 5 90
24. 이스라엘과 이방 민족들: 에스더와 요나 607
나가며 622
주 628
옮긴이의 말 645
찾아보기 648
책속에서
이 고대의 책 묶음은 여느 문집이 그렇듯이 여러 저자가 여러 상황에서, 여러 위기와 문제—정치적, 역사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철학적, 종교적, 도덕적—에 대응하기 위해 쓴 책들로, 조화를 이루지 않는 다양한 목소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세심하게, 또 심사숙고하며 읽을 필요가 있다.
구약성경과 고대 근동 지방의 문서를 비교해보면 공통의 문화적·문학적 유산이 발견되는 동시에 엄청난 사상적 차이가 드러난다. 구약성경의 저자들은 그 이야기들을 도구로 사용하여 새롭고 급진적인 개념을 표현하고자 했다.
역사에서 가장 경이롭고도 우연한 사실 중 하나는 후대의 유대인들이 이 다양한 자료들로 우리가 지금 구약성경이라고 부르는 선집을 만들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 모든 조화롭지 않은 목소리들을 한데 아우르기로 결정했고, 상충되는 것들을 애써 조정하지 않으려 했다. 이처럼 구약성경은 한 권의 책이 아니라 문집이므로, 현대의 독자들도 그렇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