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54923927
· 쪽수 : 525쪽
· 출판일 : 2015-10-14
목차
1부 영어교육의 이해
1장 뇌와 언어능력
I. 뇌에 관한 이해
1.1 뇌의 구조 개관 022
1) 신경세포와 시냅스 022
2) 뇌의 발달 024
1.2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026
1) 대뇌(大腦) 026
2) 소뇌(小腦) 031
3) 뇌간(腦幹) 032
II. 언어능력의 발달
2.1 언어중추
1) 브로카 영역 034
2) 베르니케 영역 035
3) 보조운동 영역과 개념 영역 036
2.2 기억, 망각, 학습의 과정 037
1) 기억 037
2) 망각 040
3) 학습 042
2.3 뇌와 언어 발달 044
1) 뇌의 언어처리 작용 044
2) 언어의 기원 045
3) 언어와 사고의 발달 046
2장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
I. 모국어 습득
1.1 모국어 습득 단계 051
1) 본능적 반사행동 시기 051
2) 옹알이 시기 052
3) 초기 개념 형성 시기 053
4) 낱말 문장 사용 시기 053
5) 언어습득 시기 054
1.2 모국어 습득의 과정 054
1) 모국어 습득의 일반적 모습 054
2) 모국어 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 055
3) 모국어 습득 단계 및 환경적 특징 059
1.3 모국어 습득에 관한 학술적 견해 061
1) 경험주의 견해 061
2) 생득론적 견해 062
3) 상호주의적 견해 064
II. 외국어 학습
2.1. 2개 언어를 배우는 경우 066
1) 국제결혼 가정 067
2) 복수언어 사용 사회에서의 생활 067
3) 학교에서 교과목으로 학습 067
2.2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 068
1) 교육 정책 요인 068
2) 모국어 요인 069
3) 언어 환경 요인 071
4) 언어 간 차이 요인 072
2.3 외국어 학습에 관한 학술적 견해 075
1) 행동주의 견해 076
2) 인지주의 견해 077
3) 상호작용주의 견해 078
3장 영어교육의 환경
I. 언어환경의 종류
1.1 제2언어 환경 083
1) 제2언어 환경의 특성 083
2) 제2언어 환경의 교육목표 085
1.2 외국어 환경 086
1) 외국어 환경의 특성 086
2) 외국어 환경의 교육목표 088
1.3 국제어 환경 089
1) 국제어 환경의 특성 090
2) 국제어 환경에서 문화와 발음 092
II. 한국의 영어교육 환경
2.1 역사적 · 사회적 여건 098
2.2 외국어 환경으로서의 특성 101
1) 노출과 사용의 기회 102
2) 영어의 지위와 성격 102
3) 수업용어 103
4) 학급규모 104
5) 교사의 영어 구사력 105
6) 영어수업의 강조점 106
7) 학생의 태도 106
8) 모국어 간섭 107
9) 언어 간의 차이 108
10) 사회적 분위기 109
2.3 불충분한 교사교육 110
1) 교사교육의 부실 110
2) 교사 양성 및 연수 시스템 개선 필요성 111
4장 영어교육의 목표
I. 영어교육의 목적과 목표
1. 사고의 지평 확대 115
2. 다른 것에 대한 관용성 함양 115
3.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개발 116
II. 의사소통능력
2.1 의사소통의 개념 118
2.2 의사소통의 성격 120
2.3 의사소통능력의 구성요소 122
1. Hymes(1972)의 모형에 대한 평가 123
2. Canale & Swain(1980)의 모형에 대한 평가 124
3. Bachman(1990)의 모형에 대한 평가 126
4. Widdowson(2001)의 결론 127
III. 유럽과 미국의 의사소통능력 기준
3.1 유럽연합(EU)의 의사소통능력 기준 131
3.2 미국 ACTFL의 언어 능숙도 지침 134
IV.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
4.1 교육과정의 구성체계 136
4.2 교육과정 구성 체계상의 특징 140
1.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항의 규정 상세화 140
2. 교육 내용 항에 각 기능별 성취기준 제시 140
4.3 교육과정의 각 과목별 교육목표 141
4.4 교육목표 제시의 특징 146
1. 영어 전 과목 공통의 목표 146
2. 언어적 목표 제시의 방법 146
4.5 교육목표 제시 방법의 개선 필요성 149
1. 4기능 목표의 통합적 서술 필요성 149
2. 조작적, 작위적 목표 서술의 지양(止揚) 150
3. 실현가능한 목표의 설정 필요성 150
4. 교육 효과를 고려한 교육목표의 설정 필요성 151
5장 영어교육의 내용
I. 영어교육 내용의 구성요소
1.1 어휘 175
1. 어휘의 성격 175
2. 어휘의 학습과 사용 176
1.2 문법 178
1. 문법의 성격 178
2. 문법의 위상 180
3. 문자언어 문법과 음성언어 문법 181
1.3 발음 182
1. 발음의 성격 182
2. 음성 체계의 이해 184
1.4 문화 190
1. 문화의 개념 190
2. 문화교육의 필요성 191
3. 문화교육의 내용 193
1.5 담화구조 194
1. 담화구조의 의미 194
2. 담화구조의 차이 195
1.6 언어기능 197
II. 영어교육 내용의 조직 방법
2.1 실러버스의 의미와 종류 198
1. 실러버스의 의미 198
2. 실러버스의 종류 198
2.2 실러버스의 변천과 발달 200
1. 형식중심 실러버스 201
2. 의미중심 실러버스 207
6장 영어교육의 방법
I. 언어학습관
1.1 형식중심 언어학습관 225
1. 분절요소 학습 225
2. 언어형식 학습 225
3. 교사중심 수업 226
1.2 의미중심 언어학습관
1. 총체언어 학습 226
2. 의사소통중심 학습 227
3. 학습자중심 학습 227
1.3 의미중심 언어학습관의 배경
1. 형식중심 언어학습의 한계 228
2. 패러다임의 전환 228
II. 교수방법
2.1 형식중심 교수방법 230
1. 문법?번역식 교수법 230
2. 직접 교수법 231
3. 청각구두 교수법 232
4. 자연적 접근법 233
5. 소집단 언어학습(Community Language Learning) 235
6. 암시적 교수법(Suggestopedia) 236
7. 침묵식 교수법(The Silent Way) 237
8. 전신반응법(Total Physical Response) 239
9. 역할극 240
10. 게임 242
11. 노래와 챈트 244
12. 문자-소리 대응법(phonics) 244
2.2 의미중심 교수방법 246
1. 내용중심 접근법 247
2. 내용-언어 통합 접근법(CLIL) 248
3. 과제중심 접근법 251
III. 영어 교수방법의 원칙과 지향 방향
3.1 영어교수방법의 원칙 257
1. 총체언어 교육 257
2. 노출과 사용중심 교육 260
3. 학습자중심 교육 262
4. 과제중심 교육 262
3.2 영어 교수방법의 지향 방향 263
1. 목표언어가 학습되는 방법 264
2. 목표언어 학습의 목표 264
7장 영어교육의 평가
I. 평가의 성격
1.1 평가의 원리 272
1.2 진정성 273
1. 진정성의 의미 273
2. 진정성의 종류 274
1.3 평가와 교육의 관계 276
1. 세환효과 276
2. 평가와 교육의 비교 278
II. 평가의 필수요서
2.1 타당도(목적부합도) 280
1. 타당도의 종류 280
2. 타당도 저해의 요인 283
2.2 신뢰도(채점일정도) 285
1. 신뢰도의 종류 286
2.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287
3. 신뢰도 저해의 원인과 이유 289
4.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290
2.3 실용도(여건충족도) 291
1. 실용도의 중요성 291
2. 우리나라 교육 여건과 실용도 291
2.4 윤리성(공정성) 292
1. 윤리성의 의미 292
2. 윤리성 고려의 영역 293
III. 평가의 지향방향
3.1 선택형(MCQ)평가의 특성 296
1. 선택형 평가의 기원 296
2. 선택형 평가의 이점과 한계 298
3.2 영어 평가의 방향 300
1. 영어 평가의 기본 방향과 원칙 300
2. 선택형 평가의 지양과 수행평가의 지향 303
8장 영어 교사교육
I. 교사교육의 체제
1.1 우리나라의 교사교육 체제 308
1. 교사교육의 방법 308
2. 교사임용의 방법 309
1.2 미국의 교사교육 체제 311
1. 교사교육의 현황 311
2. 교사교육의 체제 312
3. 교사자격의 취득 312
4. 교사임용의 과정 314
1.3 영국의 교사교육 체제 315
1. 교사교육의 현황 315
2. 교사교육의 체제 317
3. 교사자격의 취득 319
4. 교사임용의 과정 320
1.4 프랑스의 교사교육 체제 320
1. 교사교육의 현황 320
2. 교사교육의 체제 321
3. 교사자격의 취득과 임용 과정 322
1.5 일본의 교사교육 체제 324
1. 교사교육의 현황 324
2. 교사교육의 체제 325
3. 교사자격의 취득 326
4. 교사임용의 과정 327
II. 영어 교사교육의 방향
2.1 교사훈련과 교사교육 328
2.2 영어교사의 양성 331
1. 영어교사의 요건 331
2. 영어교사의 양성 프로그램 337
2.3 영어교사의 연수 341
1. 영어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구성 341
2. 영어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343
9장 영어교육의 개선 방향
I. 영어교육의 현안 문제
1.1 입시 중심의 교육 351
1.2 고비용 저효율 구조 352
1.3 창의성 억제 교육 352
1.4 영어교육 격차 문제 353
1.5 영어 학습부진아 문제 354
II. 영어교육의 개선 방향
2.1 영어교육 정책의 개선 방향 355
2.2 영어과 교육과정 구성체계의 개선 방향 359
1. 목표 및 성취기준 구성체계의 개선 방향 359
2. '내용'구성체계의 개선 방향 362
2.3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 및 운영의 방향 366
1. 시행의 결과를 반영한 교육과정의 개정 필요 366
2. '교육목표'의 수준 개선 방향 367
3. '교수' · '학습방법' 개선 방향 370
4. '평가' 개선방향 372
2.4 교사교육 정책의 개선 방향 376
1.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의 접목 필요성 376
2. 필수 과목의 최소화 필요성 377
2.5 교과서 정책의 방향 378
1. 교과서 개발 방법의 종류 378
2. 복수의 국정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379
3. 교과서 단원 내 수준별 자료 제시 380
2.6 사교육 정책의 방향 383
1. 영어 사교육의 특성 383
2. 영어 사교육에 대한 대책 385
2.7 영어 학습부진아 대책 386
1. 학습량의 전반적 축소 경감 387
2. 내용중심 교수법의 신중한 활용 388
3. 다중지능 이론의 적극 활용 388
III. 결어 및 제언
3.1 정치의 교육 지배 현실 직시 389
3.2 국가교육과정체제의 경직성 완화 필요 390
3.3 창의성, 인성 지향의 교육과 평가 391
3.4 이식보다는 접목 지향의 교육과 평가 391
3.5 주입보다는 발현 지향의 교육과 평가 393
3.6 경쟁보다는 협업 지향의 교육과 평가 393
3.7 SMART 교육의 지속적 실천 393
참고문헌 404
2부 영어교육 용어해설
1. 영어교육 일반 영역 418
2. 언어습득 영역 441
3. 교수.학습 영역 451
4. 교수방법 영역 477
5. 교수기법 영역 492
6. 어휘.문법.발음.문화영역 499
7. 평가 영역 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