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5533361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0-12-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주택렌트를 위한 기본절차
01. 주택렌트 스케줄을 만드세요
02. 거주지역을 고를 때 꼭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해 짚어주세요
03. 후보주택을 사전에 정하세요
04. 주택간 기본적인 사항을 비교하세요
05. 주택렌트의 구체적인 절차를 알려주세요
제2장 분쟁방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기초지식
01. 리스의 종류에 대해 알아두세요
02. 주택의 종류별 장단점에 유의하세요
03. 렌트할 만한 주택인지 평가항목을 고려하세요
04. 주택렌트 계약시 대상주택을 법적으로 표시하세요
05. 임대인의 계약능력을 확인하세요
06. 범죄발생률과 학군을 고려하세요
제3장 분쟁방지를 위한 고려대상
01. 기간을 정확하게 관리하세요
02. 수수료의 명목으로 추가 부과금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03. 렌트조건에 유의하세요
04. 렌트 납부절차와 방법을 확인하세요
05. 통지방법과 절차에 관한 합의내용을 살펴보세요
06. 주택을 넘겨받을 때 합의할 사항을 기억하세요
07. 주차와 관련된 사항을 확인하세요
08. 디파짓의 규모와 조건을 명확히 하세요
09. 지불의 적용순서를 확인하세요
10. 비반환 비용에 대해 꼭 합의하세요
11. 인스펙션 결과를 중시하세요
12. 기간시설에 대한 사용규정을 확인하세요
13. 점유에 대한 사항을 확인하세요
14. 주택의 사용과 공유지역의 규정을 확인하세요
15. 청소 및 수리의 책임조항을 명확히 하세요
16. 손실에 대한 책임조항을 따지세요
17. 제공된 가구들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의 수리책임을 명확히 하세요
18. 손해관련 제3자와의 관계규정을 사전에 확인하세요
19. 주택수리 중 입은 손실에 대해 보상조항을 확인하세요
20. 손실 없이 렌트계약을 해지하려면 주택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증명하세요
21. 이웃에 손실을 끼친 경우 계약이 해지될 수 있어요
22. 천재지변이 일어날 경우 손실에 대한 보상조항을 확인하세요
23. 임대인 종업원과 관련된 사고 조항유무를 확인하세요
24. 안전관련 해지 허용조항을 숙지하세요
25. 배달물 수취에 관한 조항을 눈여겨보세요
26. 분쟁관련 비용의 책임조항을 따져보세요
27. 면책사항에는 무엇이 있는지 미리 알아두세요
28. 외부자 출입에 관한 합의사항을 확인하세요
29. 권한부여와 무효시 계약분리 내용을 확인하세요
30. 책임보험 가입여부를 확실히 하세요
31. 계약의 해지절차에 관한 조항을 살펴보세요
부록_ 영어권 주택렌트시 활용자료Book Review
01. 에이전트
02. 해외송금
03. 해외이사 절차
04. 주택렌트시 필요한 영어회화
저자소개
책속에서
해외주택 렌트 계약에서 해지절차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까다롭다. 분쟁상담의 약 20% 정도가 계약해지관련 분쟁일 정도로 많다. 따라서 임차인이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는 가정 아래, 렌트계약시 해지조항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보통 주택계약을 해지하기 위해서는 다음 5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1. 사전문서 통지단계
계약해지여부를 사전에 문서로 통지한다. 문서통지는 반드시 계약서에 정한 ‘기일 이전’에 ‘문서’로써 정확하게 통지하고, ‘수신여부’를 확실하게 증명해야 한다.
2. 인스펙션(주택검사) 스케줄 확인단계
주택에 대한 인스펙션 날짜를 확실히 잡아야 한다. 가능한 한 임대인과 임차인이 함께 입회할 수 있도록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3. 이사 및 원상회복단계
이사는 기간만료일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임대인도 이사날짜에 맞추어 새로운 임차인과 입주기일을 정하기 때문이다. 또 이사 후 시간이 급한 나머지 제대로 청소를 해놓지 않고 가는 경우가 있는데, 자칫 이사 후 클레임을 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4. 인스펙션(주택검사) 및 수리단계
인스펙션은 처음에 이사 올 때 보관해둔 집상태 체크리스트가 기준이 된다. 즉, 이사 올 때부터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표시된 사항은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수리비용을 청구할 수 없다.
5. 디파짓(안전보증금) 반환 또는 추가비용 청구단계
임차인은 디파짓을 돌려받을 권리가 있다. 그러나 임대인이 정당한 근거를 제시할 경우 임차인이 디파짓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추가로 비용을 지급해야 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