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8895533369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1-03-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인생 2막, 독립 컨설턴트로 시작하라
1장 컨설팅 비즈니스 환경이 변하고 있다
01 새로운 선택, 1인 비즈니스 / 02 ‘커리니어’가 움직인다 / 03 네트워크에 주목하라
<인터뷰 1> 대기업을 퇴직하고 독립 컨설턴트로 정착하다
2장 컨설팅 비즈니스의 트렌드를 살펴라
01 시장을 읽어라 / 02 왜 컨설턴트를 선택하는가 / 03 컨설턴트의 역량을 갖춰라
<인터뷰 2> 공무원을 그만두고 컨설턴트에 도전하다
3장 컨설팅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하여
01 성패의 두 가지 모습 / 02 컨설팅 비즈니스의 성공요인 / 03 이렇게 하면 실패한다
<인터뷰 3> 사업에 실패한 경험을 딛고 컨설팅으로 성공하다
4장 컨설팅 비즈니스, 시작이 반이다
01 창업을 하면서 챙겨야 할 것들 / 02 컨설턴시의 설립과 세금, 동시에 검토하라
2부. 컨설팅 고객, 이렇게 확보하라
5장 컨설팅 고객을 파악하라
01 고객 구분, 어떻게 할 것인가 / 02 컨설팅하기 좋은 고객 / 03 컨설팅하기 어려운 고객 /
04 원만한 고객관계를 유지하라
6장 컨설팅은 마케팅이다
01 서비스 마케팅을 하라 / 02 고객을 탐색하는 다양한 방법 / 03 네트워크를 구축하라
7장 프로젝트 소개가 핵심이다
01 주변인물을 소개자로 만들어라 / 02 프로젝트 소개를 부탁하라 / 03 소개자에게 반드시 보상하라
3부. 성공한 프로젝트, 널리 알려라
8장 컨설팅 가격, 어떻게 정하나
01 고객과 비용정하기 / 02 적절한 서비스 가격 책정 / 03 무료서비스 요구에 대응하기
9장 프로젝트 제안, 계약으로 유도하라
01 제안서는 고객눈높이에 맞춰라 / 02 성공하는 프레젠테이션 / 03 계약의 장애를 제거하라
10장 컨설팅 서비스를 홍보하라
01 컨설팅 홍보수단 11가지 / 02 기사제공과 관리는 이렇게 하라 / 03 컨설턴트의 강의는 일석이조다
부록. 공공프로젝트 활용하기
1. 정부의 컨설팅지원사업 / 2.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활용 / 3. 종합적인 지원정보의 탐색
에필로그
리뷰
책속에서
컨설팅으로 인한 수입과 예전 직장에서의 수입을 비교해달라고 하자, 김 사장은 “아유, 먼저 직장보다 좋지요”라며 손사래를 쳤다. 의외였다. 정말 일류기업보다 수입이 좋으냐고 되물었다. 그러자 박 사장은 이렇게 답했다. “절대금액으로 따지면 아마 대기업에서 받던 금액이 많겠지요. 하지만 일하는 강도나 스트레스 이런 거를 따지면 저는 지금이 더 많이 받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 이 분들 나이가 60이 넘었는데 50세 정도의 대기업 간부의 연봉과 비슷하다면 내용상 더 많이 받는 것이다.
박 사장은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를 해주었다. “제가 기업체 진단 한번하면 2~3천만원 받아요. 저하고 동료하고 둘이 달라붙어서 1주일 정도 작업하지요. 그리고 보고서 쓰고 브리핑해주고 하면 2주 정도 소요됩니다. 저한테 7~8백은 떨어져요.” 연속해서 그런 프로젝트가 있느냐는 질문에 박 사장은 자랑스럽게 말했다. “제가 교육을 하면 보통 3시간짜리를 하는데, 100만원 정도 받아요.” 그리고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았다. 대충 계산해도 매월 약 1,000만원은 가져가는 것 아니냐고 물으니 그냥 웃기만 했다.
컨설팅 분야와 프로젝트의 내용에 따라 다르지만 장기 프로젝트는 하루 평균금액이 국내는 100만원, 외국계는 150~300만원 수준이다. 그러나 컨설팅 수임료는 매우 유동적인 가격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사례별로 차이를 보인다.
독립 컨설턴트는 연봉 개념이 아닌 프로젝트 건수와 개별금액을 근거로 수입을 산출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인건비 개념의 비용을 계산한다. 컨설턴트의 일당 계산방법은 8장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정부의 컨설팅실태조사(2008)에 따르면 독립 컨설턴트가 수주하는 프로젝트의 금액과 건수는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프로젝트 수주 건수는 최근 5년간 20~50건에 이르는 경우가 약 30%를 차지했다. 전체적으로는 10건 이상이 63%로 나타났다. 프로젝트의 수주금액도 다양한 분포를 보였는데 프로젝트 당 5,000만원 이상의 경우가 23.5%였고 2,000만원 이하의 소규모 프로젝트가 47.5%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