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55333787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11-06-23
책 소개
목차
1장. 거래처 신용조사
1. 신용조사는 언제 하는가
2. 공적장부의 열람을 통한 신용조사
3. 비재무적 요인에 대한 신용조사
4. 재무적 요인에 대한 신용조사
5. 거래처 부실화 징후 파악 및 대처방법
2장. 매출채권 회수기법
1. 회수기법의 활용
2. 최고장의 활용
3. 제3자에 대한 채권의 확보
4. 재고의 회수
5. 상계의 활용
6. 소멸시효의 관리
3장. 계약서 작성과 계약관리
1. 계약서 작성과 체결
2. 계약의 무효와 취소
3. 공증으로 증거력 확보
4. 계약ㆍ계약서의 변경 및 수정
5. 계약의 해제와 해지
4장. 어음ㆍ수표 관리
1. 어음ㆍ수표를 받을 때 유의사항
2. 어음ㆍ수표의 배서와 할인
3. 어음ㆍ수표의 지급제시
4. 어음ㆍ수표의 분실ㆍ도난
5. 부도 가능성이 높은 어음
6. 부도의 발생
7. 어음제도를 보완하는 각종 제도
5장. 담보의 설정과 관리
1. 담보의 종류
2. 근저당권의 설정
3. 부동산의 권리관계 파악
4. 근저당권의 설정시 확인사항
5. 근저당권 설정 후 관리
6. 보증의 효력
7. 지급보증과 지급보증보험
6장. 채권의 보전방법
1. 채무자 변경시 조치
2. 채권자 취소권의 행사
3. 가압류의 신청방법
4.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
5. 유체동산에 대한 가압류
6. 금전채권에 대한 가압류
7. 가압류에 대한 이의와 취소
8. 공탁금의 회수
7장. 집행권원의 획득방법
1. 민사소송의 신청과 절차
2. 증거신청의 방법
3. 판결의 선고와 판결문 송달
4. 소액사건 심판의 진행
5. 지급명령의 활용
6. 민사조정의 활용
8장. 강제집행 및 회생절차
1. 부동산경매의 절차
2. 유체동산의 강제집행
3. 채무자가 받을 채권의 강제집행
4. 채무불이행자 명부제도의 활용
5. 재산명시신청의 활용
6. 회생절차와 파산, 면책, 신용회복
7. 대손처리를 통한 절세
저자소개
책속에서
매출채권을 관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기업이 적정한 판매규모를 유지하는 동시에 매출채권 및 부실채권의 규모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채권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중에서도 회수활동을 어떻게 잘 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제때에 회수를 못하고 매출채권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채권회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며, 그나마도 법적 절차에 의해 회수할 수 있는 회수율은 10∼20% 수준이 고작이기 때문이다.
① 채무이행심리를 항상 염두에 둔다 ② 적절한 채권회수가 판매확대에 도움이 된다 ③ 변제약정일을 명확히 지킨다 ④ 워크시트(Work Sheet)를 활용한다 ⑤ 최후의 방법도 고려한다.
채무자에게 채무를 변제할 것을 요구할 경우 채무자 자신도 받을 채권을 변제받지 못하여 지급할 수 없다는 얘기를 종종 듣게 된다. 이럴 때 제3자가 변제할 능력이 있다면 채무자의 제3자에 대한 채권을 양도받아 채권을 확보할 수도 있다. 채권양도란 채권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채권양도계약에 의해 채권을 이전하는 것이다. 즉, 채권자와 채무자 간의 채권양도계약에 의해 채무자가 제3자로부터 받을 채권이, 채권자가 제3자로부터 받을 채권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거래처가 부실화되거나 부실화될 징후를 보일 경우에는 채권을 양도받거나 재고를 회수하는 것이 유용한 채권확보 방법이다. 경매 등을 통해 회수하게 되면 배당이라는 절차를 밟아서 자사가 받을 부분만큼만 회수할 수 있지만, 채권양도나 재고회수는 환가한 전 금액으로 채권을 변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채권자가 납품한 물품이나 채무자 소유의 물품을 채무자의 동의를 받아 회수함으로써 채권보전이나 채권회수에 활용하면 유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