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5586563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9-12-2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_4
1장 동아시아와 조공질서
화이관, 조공질서를 만들어 내다 _13
한족도 한때는 흉노에 조공하였다 _17
2장 삼국시대의 공녀
고구려 고국원왕, 스스로 신하 됨을 칭하다 _23
벽화로 본 고구려·신라·백제의 조공사절 _26
장수왕의 남진정책과 북위의 공녀 요구 _30
3장 고려시대의 공녀
원나라 사신 저고여의 피살과 공녀 요구의 시작 _35
고려 조정, 공녀 선발을 위해 국가 기구를 설치하다 _38
공녀를 기피하는 그 처절한 모습들 _42
공녀를 바라보던 고려 지식인의 이율배반 _46
공녀를 출세를 위한 뇌물로 바치다 _51
공녀 예방책, 일부다처를 주장하다 _55
고려 공녀, 얼마나 많이 끌려갔을까 _59
몽골에는 ‘고려양’, 고려에는 ‘몽골풍’ _64
원나라 시에 등장하는 고려 공녀의 아름다움 _72
4장 조선시대의 공녀
명 태조 주원장은 왜 조선 왕실과 정략결혼을 추진했을까 _81
1차 공녀, 그녀들은 왜 모두 후궁이 됐을까 _85
2차 공녀 정씨 처녀, 불행을 면하는가 했지만 _98
3차 공녀와 임신 경험이 있던 황씨 _101
1~3차 공녀의 비극적인 죽음과 ‘어여의 난’ _105
4차 공녀, 명나라행 가마에 자물쇠가 채워지다 _112
오라비 출세욕의 희생양(?), 5차 공녀 한계란 _117
6·7차 공녀에는 왜 어린 집찬녀가 많았을까 _121
태종~세종 대의 공녀 일부, 고국으로 돌아오다 _126
공녀 소문에 다시 전국적인 대소동이 일어나다 _129
공녀 차출 소문, 현실이 되다 _133
불쌍한 효종 대 공녀 ‘의순공주’ _138
5장 국내의 「황친」과 그 대우
현인비 오라비 권영균 _148
순비 아버지 임첨년 _151
소의 오라비 이무창 _154
미인 아버지 최득비 _156
정씨 아버지 정윤후 _158
두 한씨의 오라비 한확 _160
오씨의 아버지 오척 _164
나가며 _17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중화민족(한족)은 화이관을 만들었고, 그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에는 조공질서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그 조공질서 아래에서 인간 공물인 공녀(貢女) 제도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고국원왕의 어머니 주씨(周氏)는 고구려로 돌아오지 못하고 인질로 남았다. 고국원왕은 그로부터 2년 후, 어머니를 되찾기 위해 전연에 또다시 비싼 대가를 제공해야 했다. 그는 전연에 조공을 바쳐야 했고, 거기에는 사람도 포함돼 있었다. 사람이 공물에 포함된 것은 이때가 처음으로 이는 다분히 인질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공녀로 선발된다는 것은 태어난 곳을 뒤로 하는 것은 물론, 가족과의 기약 없는 생이별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고려사회에서 공녀라는 말은 공포 그 자체였고, 당연히 누구라도 공녀로 선발되는 것을 피하려 했다. 때문에 고려 조정은 국가 차원의 기구와 제도를 만들어 공녀를 강제적으로 선발할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