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벽전

벽전

(우리나라 벽돌건축의 조영원리)

박성형 (지은이)
스페이스타임(시공문화사)
24,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270원 -5% 0원
700원
22,570원 >
22,05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05원
19,84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4,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벽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벽전 (우리나라 벽돌건축의 조영원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5921649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10-06-15

책 소개

심원건축학술상 제1회 당선작. 우리나라 (벽전)벽돌 건축의 조형원리를 각 시대에 나타난 벽전의 특징과 함께 한국건축의 벽전 사용범위를 재조명하고, 고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이어지는 벽전사용의 연속성을 살펴 중국과 구별되는 벽전의 사적 위치와 건축의미를 재조명하였다.

목차

서문 7
제1장 벽전 15
1-1. 옛 문헌을 통한 ‘벽전(??)’ 용어 19
1-2. 벽전의 제작과정과 가마[ ] 25
1. 흙의 채취 27
2. 흙 이기기 29
3. 성형(成形) 31
4. 건조 34
5. 소성 34
6. 가마 형식과 벽전 생산 45
제2장 한국 벽전건축의 형성과 구조 특징 낙랑 53
2-1. 벽전건축의 출현 : 벽전축 무덤 57
2-2. 벽전축 무덤의 발생 과정과 구조 특징 67
1. 귀틀무덤의 벽전사용:벽전의 발생 67
2. 평천장 벽전축 무덤 71
3. 전형적인 벽전축 무덤의 특징 75
2-3. 일반 건축의 벽전 사용 97
제3장 벽전건축과 목조건축의 혼합 고구려 99
3-1. 고구려 무덤의 벽전사용 103
1. 적석무덤과 벽전발생 103
2. 석실무덤 104
3-2. 벽전 구조와 목조의 혼합 벽탑 113
1. 고구려 벽탑의 개요 115
2. 벽전쌓기의 특징 117
3. 홍예 125
4. 옥개와 목조 차양 127
5. 축조 시기의 검토 138
3-3. 목조건축의 벽전사용 바닥 깔기 143
1. 정릉사 10호 건물터 144
2. 절터의 원형벽전시설 149
제4장 벽전건축의 새로운 전개와 목조건축의 벽전사용 일반화 백제 153
4-1. 백제의 석실무덤과 벽전축 무덤 155
1. 석실무덤과 벽전축 무덤 155
2. 공주 송산리 궁륭 석실무덤 162
4-2. 벽전축 무덤의 새로운 전개 :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 무덤 167
1. 벽체와 벽전쌓기 167
2. 볼트천장 181
3. 홍예문과 무덤길 187
4. 바닥과 관대 192
5. 벽전건축의 조영원리 : 저석리 1호 무덤 195
4-3. 목조 건축의 벽전사용 일반화 197
1. 벽전축 기단 198
2. 석조 가구식 기단과 벽전 207
3. 벽체 214
제5장 벽전건축의 완성과 그 조영원리 신라 벽탑과 발해 221
5-1. 새로운 벽전건축 : 신라 벽탑 224
1. 신라 벽탑의 발생시기 224
2. 신라 벽탑의 특징 233
5-2. 신라 벽탑의 조영원리 260
1. 탑신의 벽전쌓기 260
2. 옥개의 벽전쌓기 266
5-3. 목조 건축의 벽전사용 274
1. 바닥깔기의 일반화 275
2. 벽전축 기단:??石緣의 발생 283
3. 벽체 291
5-4. 북국 발해의 벽전사용과 벽전건축의 새로운 구조 형식 298
제6장 벽전사용의 확대와 목조건축의 형식 완성 고려 309
6-1. 무덤과 벽탑 313
6-2. 벽전사용의 확대 벽성(?) 321
6-3. 목조건축의 기단과 벽체 형식 완성 325
1. 벽전축 기단 : ??石緣의 완성 325
2. 바닥깔기 329
3. 목조건축의 벽체와 그 형식 336
제7장 벽전 사용의 단절과 연속 조선전기 341
7-1. 조선전기의 벽전사용 343
1. 벽전사용이 급격하게 줄어든 이유 343
2. 지속적인 벽전사용 주장 353
7-2. 벽전을 사용한 건축 특징 고찰 359
1. 목조건축의 벽체와 바닥 359
2. 벽성(?城)의 축조 369
3. 외부공간의 바닥깔기 373
7-3. 벽전사용 목조건축의 정형 동관왕묘 정전 377
1. 평면과 목조가구의 특징 379
2. 벽전으로 축조한 벽체의 특징 389
제8장 벽전사용의 확대와 목조건축의 변화 특징 403
8-1. 벽전사용 주장의 확대와 건축 특징 405
1. 벽전사용 주장의 확대 407
2. 벽전의 축조방법과 건축 특징 414
8-2. 화성을 통한 조선후기의 벽전쌓기 특징 421
1. 화성성역에 사용한 벽전 종류 및 특성 421
2. 벽체 쌓기 427
3. 홍예 쌓기 439
4. 계단[??] 445
5. 눈썹벽전[眉??] 447
6. 이외의 벽전쌓기 452
8-3. 벽전사용 목조건축의 건축형식과 변화특징 457
1. 형식 분류 457
2. 벽전으로 축조한 심벽:Ⅰ형식 461
3. 내심벽 외평벽을 축조한 목조건축 : Ⅱ형식 463
4. 내력벽을 축조한 목조건축 : Ⅳ형식 497
제9장 결론 513
9-1. 한국의 벽전건축 515
9-2. 한국 목조건축의 벽전사용 536
부록 548
【부록 1】 한국 고문헌 중 벽전 용어 정리 548
【부록 2】 華城의 각 시설물에 사용한 벽전 종류와 사용량 555
【부록 3】 서북공심돈 축조에 사용한 각 부재의 치수와 양 557
【부록 4】 남포루 축조에 사용한 각 부재의 치수와 양 559
참고문헌 563
찾아보기 573

저자소개

박성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건축의 벽전(甓甎:벽돌) 사용과 그에 따른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에는 제1회 심원건축학술상을 수상하였고, 저서로는 『벽전(甓甎) : 우리나라 벽돌건축의 조영원리』가 있다. 현재는 대한민국 건축사(建築士)로,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건축실무를 하고 있으며, 대표작으로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본원, 대치동 루첸타워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