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596801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7-07-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 우려와 기대가 교차되는 신세계로 진입하다
1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도전
1장. 신기술, 그 파괴적 혁신
인공지능, 인간에 불현듯 도전장을 내밀다 - '알파고'와 '이세돌' 이야기
차량 공유 플랫폼, 무소유를 외치다 - '우버' 이야기
전기자동차, 자동차는 거들 뿐 - '테슬라' 이야기
무인자동차, 자유 그 이상의 추구 - '구글'과 '테슬라' 이야기
무인드론, 공간의 제약을 넘다 - '아마존'과 '구글' 이야기
스마트시티, 똑똑한 미래도시 - '구글' 이야기
2장. 급격히 변화된 비즈니스 환경
삶도 일도 송두리째 바꿀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의 특징 ① - 초연결성 (사물인터넷)
4차 산업혁명의 특징 ② - 초지능화 (빅데이터,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의 특징 ③ - 초자동화 (사이버 물리 시스템)
3장. 앞서가는 자들이 변화에 대처하는 방식
독일의 국가주도형 인더스트리 4.0
무한 멀티의 욕심쟁이 - '구글' 이야기
역발상의 승부사 - '테슬라' 이야기
그들의 공통된 대응 방법 - 프로젝트의 방식
2부. 왜 프로젝트관리인가?
4장. 무엇으로 변화를 주도할 것인가?
인생 만사, 프로젝트
프로젝트 성공의 열쇠 - 프로젝트관리
왜 프로젝트 방식을 경영에 활용하는가?
어떻게 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것인가?
5장. 프로젝트관리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프로젝트의 성공 ≠ 전략의 성공
전략과 프로젝트 모두를 성공으로 이끄는 힘 - '프로젝트 포트폴리오관리' 이야기
누가 창조와 혁신의 아이콘인가?
3부. 어떻게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것인가?
6장 대한민국을 진단하고 처방하다
스타트업, 고속 성장과 파괴적 혁신을 추구하라
한국 기업, 프로젝트관리 체계를 내재화하라
대한민국, 한국형 인터스트리 4.0 전략이 성공하려면
맺음말 - 4차 산업혁명의 도전에 프로젝트관리로 응전하라
참고 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지만 산이 높으면 그만큼 골도 깊은 법. 모든 세상사 이치가 그렇듯 인공지능이 발달할수록 장점 못지않게 단점도 나타날 것이다. 일례로 인간이 점점 더 인공지능에 의지하다 보면 급기야 인공지능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어 결국에는 인공지능의 지배를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이 기업현장에 투입되면 안 그래도 심각한 실업문제가 더 확대될 수 있다. 물론 인간의 단순작업이 인공지능로봇에 의해 대체되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앞으로는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여겨져왔던 고부가가치의 전문 분야(판사, 변호사, 회계사, 통역사, 의사 등)에서도 인공지능이 판을 친다면 그 사회적 파장이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_ Page31~32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군을 살펴보면 생산직 종사자와 운송업자, 텔레마케터, 콜센터 상담원 등이 0순위이며, 놀라운 것은 법률상담사, 기자,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 서비스직까지도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반면에 인공지능이 대체하기 어려운 직종을 살펴보면, 간호와 협상 등 사람을 직접 보면서 해야 하는 직종이 큰 축을 이루고, 예술적 감성적 창조적 사고를 해야 하는 분야는 당분간은 인공지능이 대체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_ Page69
이후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에 경영과학이 도입되었고, 프로젝트 일정관리 분야에서도 큰 발전이 있었다. 1958년에 미국 해군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젝트인 폴라리스(Polaris)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프로젝트 일정 계획 도구인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를 개발했고, 같은 시기에 방산 기업이자 화학 기업인 미국의 듀퐁(Dupont)에서는 CPM(Critical Path Method)이라는 기법을 개발했는데, PERT와 CPM의 영향력이 얼마나 대단했던지 이후 20년 동안은 프로젝트관리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누구나 천편일률적으로 "PERT와 CPM으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라고 대답할 정도로 대표적인 프로젝트관리 기법이 되었다.. _ Page114~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