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포브스 100대 기업] > 토요타
· ISBN : 9788956011301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06-01-30
목차
머리말
제1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목적과 이익 확보 방법
1. 도요타 생산방식의 목적은 무엇이며, 그 목적은 어떻게 실현되나?
2. 도요타는 이익 확보 방법이 특별하다는데?
3. 도요타 생산방식은 노동을 강화해서 인간을 혹사하는 시스템이 아닌지?
제2장 도요타 자동차의 창업정신과 이를 계승한 도요타 웨이의 핵심
4. 도요타 자동차가 탄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은?
5. 도요타 생산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창업정신을 알아야 한다고 하는데…….
6. 도요타 웨이는 왜 만들게 되었는지?
7. 도요타 웨이 5가지 중 처음에 나오는 도전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8. 도요타 웨이 5가지 중 두 번째에 나오는 개선이란?
9. 도요타 웨이 5가지 중 세 번째에 나오는 현지현물주의는 무슨 뜻인지?
10. 도요타 웨이 5가지 중 네 번째 나오는 존경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11. 도요타 웨이 5가지 중 마지막에 강조하는 팀워크란 무슨 의미인지?
제3장 도요타 자동차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잦은 질문에 대한 답변
12. 도요타 생산방식을 구미에서는 왜 '린 생산방식'이라고 하며, 도요타 생산방식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13. 렉서스라는 브랜드는 어떻게 해서 탄생되었으며 왜 도요타 마크가 붙지 않았는지?
14. 도요타는 일본 내에서 직판이 아니라 딜러 제도를 운영한다는데?
15. 도요타는 자동차 판매회사를 별도로 설립했다가 다시 합병하였는데 그 이유는?
제4장 도요타 자동차의 경의적인 수익창출의 현황과 그 활용
16. 도요타는 세계 최고의 수익을 내는 회사로 알고 있는데 어느 정도 수익이 나며, 그 수익은 어디에 사용하고 있는지?
17.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생산비용의 30%를 절감한다는 CCC 21프로젝트란?
18. 도요타는 1950년대의 위기를 겪은 후 무차입 경영을 주창하였는데 그 배경은?
제5장 도요타 자동차의 낭비 절감 활동의 출발점과 그 배경
19. 도요타 생산방식의 큰 장점은 철저하게 낭비를 제거한다는 것인데 왜 여기에 초점을 맞추었는지?
20. 도요타 생산방식의 출발점인 식객추방운동을 실천한 초기의 구체적인 사례가 있다면?
제6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인적낭비 배제 활동을 위한 인변이 붙은 자동화
21.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인변이 붙은 자동화라는 개념은 어떻게 탄생되었으며 그 의미는?
22. 다능공화라는 개념의 탄생 배경과 필요성, 목적은?
23. 다기능화 제도를 도입하면 기업에서는 어떤 좋은 점이 있는지?
24. 전자조립업체에서 도입하고 있는 셀 생산방식과 U라인과의 차이와 그 유래는?
25. 생력화와 생인화, 소인화는 어떻게 구별되는지, 또 소인화의 의미는?
26. 소인화를 추진하기 위해서 택트가 동일하거나 그렇지 않은 라인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제7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물적낭비 배제 활동을 위한 Just In Time
27. 도요타 생산방식의 완성은 평준화 생산의 수준에 의해 평가된다고 하는데 평준화 생산이란?
28. 평준화 생산을 하는데 가장 네크가 되는 것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극복하는지?
29. 오노 다이이치 선생이 싫어한 데칸쇼 생산방식은 무엇이며, 그 방식은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30. 평준화 생산에서 필요한 택트 타임 계산법과 물건 흘리는 방법, 계획의 평준화 등은?
31. 준비교체 작업을 개선하려면 어떤 순서로 어떻게 개선하면 좋은지?
32. 도요타는 생산을 Push방식에서 Pull방식으로 전환해 도요타 방식을 정착시켰는데 Pull방식이란?
33. 도요타 외의 회사가 Pull방식을 적용해서 성공한 사례가 있는지?
제8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개선훈련 첫 단계인 5S 활동 핵심과 실천방법
34.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강조하는 5S 활동과 도요타 생산방식과의 관계는?
35. 5S 활동은 왜 해야하고 그 전개 방법은?
36. 도요타 생산방식의 기본이 되는 5S의 첫 번째 '정리 활동'에 대해?
37. 도요타 생산방식의 기본이 되는 5S의 두 번째 '정돈 활동'에 대해?
38. 도요타 생산방식의 기본이 되는 5S의 세 번째 '청소 활동'에 대해?
39. 도요타 생산방식의 기본이 되는 5S의 네 번째 '청결 활동'에 대해?
40. 도요타 생산방식의 기본이 되는 5S의 마지막 S인 '마음가짐(습관화) 활동'에 대해?
제9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실천 사상인 7대 낭비와 그 제거 방안
41. 도요타 생산방식의 기본 사상인 7대 낭비의 개념이 탄생하게 된 배경은?
42.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7대 낭비 중 '과잉생산의 낭비'란?
43.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7대 낭비 중 '불량의 낭비'란?
44.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7대 낭비 중 '운반의 낭비'란?
45.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7대 낭비 중 '재고의 낭비'란?
46.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7대 낭비 중 '가공 그 자체의 낭비'란?
47.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7대 낭비 중 '대기의 낭비'란?
48. 도요타 생산방식에서 7대 낭비 중 '동작의 낭비'란?
49. 과잉생산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풀워크 시스템이란?
제10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룰 지키기의 틀인 표준작업 작성 및 활용법
50. 제조현장에서 생산의 기준이 되는 표준작업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51. 표준작업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 작업조합이라고 하는데 작업조합은 어떻게 변천돼 왔는지?
52. 표준작업에서 꼭 필요한 3요소인 택트 타임, 작업순서, 표준재공이란?
53. 표준작업표를 만드는 방법은?
제11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핵심 도구인 눈으로 보는 관리의 적용
54. 도요타 생산방식의 '눈으로 보는 관리'란?
55. 보카요케, 즉 Fool-Proof 장치(착각 예방 및 불량품 방지 장치)란?
56. 이상을 바로 알 수 있게 하는 안돈 시스템이란?
57. 도요타에서는 이상관리를 카우보이식으로 하라고 하는데 어떤 의미인지?
58. 도요타의 라인 스톱제 방식은?
59. 눈으로 보는 관리를 실시하기 위해 어떤 내용을 알 수 있게 해야 하는지?
60. 눈으로 보는 관리 시스템이 잘 정착되기 위한 도입순서는?
제12장 간판운용의 룰과 그 활용법 및 후공정 인수방식의 이해
61. 간판방식은 미국의 슈퍼마켓에서 배워왔다고 하는데 간판은 무엇이며 왜 만들어졌는지?
62. 간판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간판운영의 6가지 룰이 있다는데?
63. 간판을 주고받는 방법은?
64. 사용량이 불안정하여 도무지 관리가 되지 않아 보이는 특수전용부품의 관리에도 간판이 유효한 도구가 될 수 있는지?
65. 간판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으며, 운용의 원칙과 주의사항은?
66. 도요타의 후공정 인수 방식은 생산계획이 필요 없는지?
67. 도요타의 생산부서는 변화하는 고객의 니즈에 어떻게 신속하고 차질 없이 대응하는지?
제13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에 대한 알기 쉬운 해석
68. 도요타에서는 능률과 효율을 명확하게 구분한다고 하는데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69. 도요타 생산방식은 기업에 사람처럼 자율신경계를 만들어 넣는 것이라고 하는데 이것의 의미는?
70. 도요타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해 5Why 기법을 적용한다는데 5Why란?
71. 도요타에서는 5Why 방식을 생산현장의 문제해결에만 사용하는지?
72. 낭비 작업, 부수 작업, 부가가치 작업의 개념은?
73. 도요타에서는 움직이는 것과 일하는 것을 엄격하게 구분하는데 그 뜻은 어떻게 다른지?
74. 도요타에서는 3종류의 가동률이 있다는데 그 차이점은?
75. 물매암이 운반방식은 어떻게 운반하는 것을 말하는지?
제14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진화를 위한 인재육성과 인재경영
76. 도요타에서는 요코텐으로 협력 업체를 포함한 그룹의 수준을 올린다고 하는데 요코텐이란?
77. '마른 수건도 짠다'는 개선을 통한 도요타의 혹독한 인재육성 방법은?
78. 도요타 인재의 DNA는 무엇이며, TPS를 도입하면 저절로 인재육성이 되는지?
제15장 도요타 생산방식이 탄생하고 발전하는데 공헌한 인물들과 교훈
79. 도요타 자동직기회사를 설립하고 자동차 설립의 자금원을 제공한 도요타 사키치는 누구인지?
80. 도요타 자동차의 창업자이고 JIT사상을 창안한 도요타 기이치로는 누구인지?
81. 도요타 생산방식의 체계를 확립한 오노 다이이치 선생은 누구인지?
82. TPS사상의 체계를 잡고 적용에 성공한 오노 선생이 강조한 말은?
83. 오노 선생이 TPS를 처음 실시할 때의 배경과 후 공정 인수 방식을 현장에 적용한 과정은?
제16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출발을 도운 과학적 관리 기법들과 그 의미
84. 도요타 생산방식은 IE기법에서 출발한다고 하는데 IE란?
85. 도요타 생산방식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를 발전시킨 것인데 테일러는 어떤 사람인지?
86. 주먹구구식 관리에서 탈피하여 과학적 관리법의 출발이 된 테일러리즘과 과업관리란?
87. 도요타 자동차의 Just In Time 사상에 영향을 준 미국 포드 자동차의 포드주의란?
88. 도요타 생산방식은 포드 생산방식을 어떻게 변형 발전시켰으며 그 차이는?
89. 도요타의 동작낭비 개선의 기본 원리를 제공한 길브레스는 누구인지?
90. 동작연구의 창시자인 길브레스의 아들이 '한 다스면 더 싸진다'고 했는데 그 의미는?
91. 동작 낭비를 없애기 위한 길브레스의 연구 실적과 서블릭 기호는 무엇인지?
제17장 도요타 생산방식의 도입에 따른 주의점과 그 성과 사례
92. TPS를 도입한 기업은 어떤 회사이며, 어떤 목적으로 도입했는지?
93. 도요타 생산방식을 도입하기 위한 전제 조건과 경영진이 해야 할 역할은?
94. 도요타 협력 회사에서 TPS를 도입한 사례를 보면?
95. 한국 기업이 TPS를 도입하고 원활하게 전개하는데 주의해야 할 내용은?
96. 도요타 생산방식을 자동차업체가 아닌 타 업종에서 도입하여 성과를 올린 예가 있다면?
제18장 진화하는 도요타 생산방식의 현 주소와 미래구상
97. 도요타 CEO에 지난 6월 정식 취임한 와타나베 사장이 최근 시도하는 경영 방식은?
98. 도요타가 가이젠(개선)에서 가이가쿠(개혁)으로 새로운 깃발을 들었다고 하는데 그 차이는?
99. 도요타는 나이키 생산방식으로 변형을 시도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100. 도요타 생산방식을 간단하게 총정리한다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