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56025773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05-03-16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 남궁 곤
서언 '미국 신보수주의의 정의와 정치적 의의 : 연구방법과 연구현황' - 남궁 곤
제1부 미국 신보수주의 역사적.사상적 배경의 탐구
제1장 미국 신보수주의의 역사적 배경 : 1930년대에서 레이건 행정부 시기까지 - 손병권
1. 들어가는 말
2. 신보수주의의 원류
3.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의 등장
4. 자유주의의 분열과 신보수주의의 등장
5. 신보수주의의 분열과 약화
6. 결론에 대신하여
제2장 미국 신보수주의의 역사적 배경 : 탈냉전에서 이라크전쟁까지 - 마상윤
1. 서론
2. 조지 부시 행정부(1989-1992)의 신보수주의
3. 클린턴 행정부 시기(1993-2000)의 신보수주의
4. 조지 W.부시 행정부 시기(2001-)의 신보수주의
5. 결론
제3장 미국 신보수주의의 사성적 배경 : 레오 스트라우스를 중심으로 - 안병진
1. 서문
2. 스트라우스주의의 기본 이념 및 계보
3. 스트라우스주의의 4가지 이념적 특성과 부시 행정부의 신보수주의 정치
4. 결론
제2부 미국 신보수주의 이념체계의 구성과 주장
제4장 미국 신보수주의 저치이념의 구성과 주장 - 오경택
1. 서론
2. 신보수주의 정치이념의 구성과 주장
3. 신보수주의 정치이념의 평가 및 결론
제5장 미국 신보수주의 사회.경제이념의 구성과 주장 - 신유섭
1. 서론
2. 신보수주의의 기원
3. 신보수주의의 관점
4. 신보수주의와 국내정책
5. 결론
제6장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이념의 구성과 주장 - 김성한
1. 부시 독트린의 등장
2. 신보수주의 외교이념의 역사적 연원
3. 신보수주의 외교이념의 구성과 주장
4. 신보수주의 외교이념의 균열?
제3부 미국 신보수주의 흐름과 현대 미국 정치와 외교
제7장 신보수주의 싱크탱크의 발전과 이념적 네트워크 - 박인휘
1. 머리말
2. 미국 정치의 제5부 : 싱크탱크의 성장과 그 배경
3. 신보수주의와 싱크탱크
4. 부시 행정부와 네오콘의 전파 : 주요 정책결정을 중심으로
4. 맺음말 : 신보수주의 싱크탱크와 한국적 교훈
제8장 미국 정당정치의 변동과 신보수주의 - 장훈
1. 서론 : 미국 외교저책의 새로운 수렴과 정당정치
2. 공화당 부시 독트린의 등장과 신보수주의
3. 가교로서의 신보수주의 : 공화-민주당의 외교안보정책의 수렴
4. 분열된 사회 위에 서 있는 외교안보정책의 수렴 :
공화당과 민주당의 밖으로의 수렴과 안에서의 대립
5. 새로운 수렴의 전사(前史):
미국 외교정책의 합의와 분열의 이중주, 그리고 정당정치
6. 결론
제9장 미국의 외교저책에 대한 여론과 신보수주의 - 서현진
1. 서론
2. 신보수주의 외교정책과 여론
3. 미국 외교정책에 대한 오피니언 리더와 일반 대중의 여론 비교
4. 결론
제10장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정책과 사회세력의 정치적 영향력 - 이정희
1. 들어가며
2. 여론과 매스미디어
3. 사회집단의 잠재적 영향력과 외교정책결정과정
4. 결론
제4부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전략의 실제와 세계
제11장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전략의 실제 - 김영호
1. 서론
2. 신보수주의 외교전략의 특징
3. 신보수주의 외교정책의 사례
4. 결 론 : 신보수주의 외교전략의 미래
제12장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에 대한 세계 여론의 대응 - 주미영
1. 머리말
2. 국제사회 내의 미국에 대한 태도 변화 요인
3. 미국에 대한 국제 여론조사 자료
4. 미국의 신보수주의에 대한 국제적 여론 변화
5. 맺음말
제13장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와 한반도 - 백창제
1. 부시 시대의 신보수주의와 신보수주의자
2. 신보수주의적 시각의 처방
3. 신보수주의와 한반도
미주
필자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9.11 테러 이후 신보수주의자들의 초점은 당연히 '불량국가'에 집중되었다. 특히 부시가 2002년 국정연설에서 '악의 축'으로 지목한 이라크, 이란, 북한은 '독재와 테러 및 대량살상무기'를 함께 하면서 미국 단극질서와 미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최악의 적이자 타도의 대상이 되었다. 이들은 군사력의 사용을 통해 '끝장내야'하는 불량국가로 판정된 것이다. -본문 37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