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변환의 세계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기타
· ISBN : 978893247126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07-08-15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기타
· ISBN : 978893247126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07-08-15
책 소개
세계정치의 역사, 이론, 쟁점을 한국 시각에서 망라한 한국형 국제정치학 교과서.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의 만남, 세계정치 이론의 변환과 한국, 안보, 경제, 문화, 정보화, 지구 거버넌스 등 세계정치의 주요 의제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목차
서장 세계정치의 변환과 한반도
제1부|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
제1장 근대 국제정치질서와 한국의 만남
제2장 국제냉전질서와 한국의 분단
제3장 현대세계정치의 변환과 한국의 외교 선택
제2부|세계정치 이론의 변환과 한국
제4장 근대 국제정치질서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제5장 국제냉전질서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제6장 현대세계정치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제3부|현대 세계정치질서의 변환과 한국
제7장 현대 세계안보질서의 변환과 동아시아
제8장 한반도 안보질서의 변환과 한국 안보
제9장 세계정치경제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번영
제10장 세계문화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매력
제11장 정보화의 세계정치: 세계지식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IT전략
제12장 세계정치 운영방식의 변환과 한국의 참여
책속에서
유럽의 국제정치적 근대는 중세적 군사력이 화약혁명을 거치면서 오늘날 군사혁명에 해당하는 급격한 변화를 겪는 과정에 힘입은 바 크다. 또한 경제적으로는 지리상의 발견과 유럽대륙 내 생산력의 발전에 힘입어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시장의 발전과 자본가 계급의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p165 중에서
발전국가라는 개념은 우리의 현실을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한국의 정치경제를 분석하는 외국의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어 우리가 수용한 개념이기도 하다. 발전국가 이후 새로운 한국 정치 경제모델을 모색하는 것은 한국 국제정치경제학의 주요한 과제이고, 이는 한국 지식인들이 말아야 할 몫이다.-p296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