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럽의 주택

유럽의 주택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 교수의 건축문화사)

임석재 (지은이)
북하우스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990원
32,010원 >
31,350원 -5% 0원
0원
31,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18,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럽의 주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럽의 주택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 교수의 건축문화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6057231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4-03-03

책 소개

서양주택의 뿌리가 형성된 고대 그리스 시대 이후 서양건축의 ‘기본’을 발견하는 여정이자, 유럽 주택의 양식사를 정리한 유일한 책이다. 공공건물 중심으로 기술하는 기존의 일반 건축사에선 접할 수 없는 내용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유례없는 접근법을 보여준다.

목차

서문- 주택으로 읽는 유럽의 건축문화사

Ⅰ. 그리스의 주거
1. 에게 해 문명의 주거
미노아와 미케네의 주택
메가론과 사회위계의 성립
2. 그리스 주거의 형성과 특징
폴리스와 그리스 주거의 형성
그리스의 일상생활과 여성 영역
아테네의 생활상과 도시주거
3. 중정 형 주택: 올린토스
중정 형 주택의 형성
올린토스: 중정 형 주택의 보고
중정 형 주택의 구성
4. 열주랑 주택: 델로스와 프리에네
델로스와 열주랑 주택의 형성
델로스와 프리에네의 열주랑 주택

Ⅱ. 로마의 주거
1. 로마 주거의 형성과 특징
아트리움의 기원 | 로마 주거의 형성
비트루비우스의 아트리움 다섯 유형
아트리움 vs. 열주랑
가족의 변화와 ‘아트리움 vs. 열주랑’
2. 아트리움 주택의 구성과 로마의 일상생활
트리클리니움과 부엌
아트리움 영역(공적 영역)의 요소들
열주랑과 후원(사적 영역)의 요소들
일직선 경치와 축 구성
도무스, 인슐라, 빌라
로마의 도시와 주거생활
3. 폼페이의 도무스 변천사 6단계
폼페이와 로마 주거
1단계: 폼페이 주거의 형성(기원전 8세기~기원전 4세기)
2단계: 아트리움 주택의 등장(기원전 3세기)
3단계: 헬레니즘화와 아트리움-열주랑 주택의 등장(기원전 2세기)
4단계: 반란의 실패와 로마에의 종속(기원전 1세기)
5단계: 제정기의 도무스
6단계: 제정기의 도무스 임대주택
4. 도무스의 대표작들
판사 주택: ‘단위 아파트먼트의 등장’
목신 주택: 로마 도무스의 이상향
살루스티우스 주택: 다섯 개의 식당, 원예, 집필
로레이우스 티부르티누스 주택, 루크레티우스 프론토 주택, 베티 주택

Ⅲ. 중세의 주거
1. 중세 주거의 형성과 특징
중세의 성립과 주거건축 | 농촌과 도시 | 중세 주거의 특징
2. 농촌주거와 장원 주택
봉건제와 농촌주거 | 장원 주택 1: 기본형 | 장원 주택 2: 복합형
3. 성채주거 1: 주거용 본성
주거건축으로서의 성채 | 주거용 본성(11~14세기): 성채 내 주거시설
주거용 본성의 특징과 구성 | 노르망디의 목조 탑과 루아르의 석조 홀
주거용 본성의 대표작들
4. 성채주거 2: 탑 형 본성과 안마당-탑 형 본성
탑 형 본성(14세기): 과시 기능+주거 기능
안마당-탑 형 본성(14세기 후반~15세기): 지배층 욕망의 집약판
안마당-탑 형 본성의 구성과 대표작들
5. 중세 도시와 도시주거
중세 도시의 형성 | 중세 도시주거의 형성
확장된 가족과 상가 주택 | 도시생활과 주거
6. 중세 도시주거의 세 가지 유형
박공 주택 | 석조 박공 주택의 예들 | 탑 주택 | 탑 도시
아케이드 주택 | 볼로냐의 아치 길과 영국의 더 로우스

Ⅳ.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주거
1. 이탈리아 르네상스 팔라초(15~16세기)의 형성과 특징
르네상스 주거 개요 | 르네상스 팔라초의 형성: 15세기 피렌체
메디치 팔라초와 15세기 피렌체 유형: 중세 성채 전통을 이어받다
15세기 로마 팔라초와 로마 전통의 부활
카프리니 팔라초와 16세기 로마 유형: ‘도시 예술 공공재’로서의 주거
2. 르네상스 팔라초 유형
피티 팔라초: 거대 팔라초의 대명사 | 라파엘과 팔라체토: 주거와 예술 권력
브레시아의 야고보 팔라초와 아쿠일리아의 브란코니오 팔라초
예술가 주택: 주택의 예술성과 예술가의 정체성
줄리오 로마노: 예술가 주택+매너리즘
3. 프랑스 르네상스 오텔(16세기)의 형성과 특징
르네상스 오텔의 역사
프랑수아 1세와 파리 ‘로티스망’ 개발사업 | 오텔의 건축주
오텔 건설과 상류층의 질투와 경쟁-리네리 오텔과 느베르 오텔
퀼튀르 성 카테린 교회의 로티스망 개발사업 | 오텔의 구성
유기적 외파 구성: 안락함의 추구와 계급 위계의 표현
4. 바로크 오텔(17세기)의 특징과 건축적 주제들
바로크 오텔 개요 | 바로크 오텔의 구성과 특징
랑베르 오텔-장경주의와 연속 공간
보베 오텔과 자르 오텔-비정형 구성과 자유 구성
리앙쿠르 오텔과 라브릴리에르 오텔-중심축의 불일치 문제
5. 튜더 영국의 주거
튜더 영국(1485~1603)과 르네상스 주거의 등장
엘리자베스 1세의 행렬과 ‘충성의 상징으로서의 컨트리 하우스’
시어볼즈 하우스, 홀던비 홀, 케닐워스 성채
귀족의 과시욕과 주거건축의 역할 | 대형 컨트리 하우스와 중정 형
‘엘리자베스 시대의 기발한 착상’-알파벳 평면과 기하 유형
6. 스튜어트 영국의 주거
스튜어트 영국(1603~1707) 주거의 개요
자코뱅 양식-정리된 평면과 덩어리 실루엣
장식 혼성과 패턴 북의 인기 | 디털린의 장식과 오들리 엔드
햇필드 하우스와 여러 건축가의 협업

Ⅴ. 17~19세기 도시주거 개발사업
1. 파리의 17세기 광장주거
앙리 4세와 바로크 광장주거-파리 개선사업과 부르주아 정신의 표현
왕립 광장 주거-도시 공공성과 광장주거의 정착
도핀 광장 주거-파리 도심에 공간적 풍부함을 더하다
승리의 광장 주거-루이 14세의 기마상을 향하여
방돔 광장 주거-루이 14세를 황제로
광장주거의 양면-도시 공공성 vs. 상류층의 부동산 개발
2. 19세기 파리 부르주아와 아파트
아파트의 역사와 19세기 파리 | 인구 증가와 아파트의 전성시대
파리의 도시주거 전통 | 파리의 19세기 도시상황
도시공간과 ‘스펙터클의 상품화’ | 방사선 도로와 아파트 입면
도시와의 연관성 전통 | 투명성의 미학과 계급분리
근대성의 상징과 새로운 도시적 가치 | 부동산 개발과 ‘신뢰의 주택’
3. 19세기 파리 아파트의 구성과 특징
임대방식과 층별 계층혼합 | 실내 구성-영역 구성과 수직 구성
외관 특징과 3종류의 등급
4. 런던의 17세기 광장주거
링컨스 인 필즈와 17세기 광장주거의 시작 | 인(Inn)의 전통과 광장주거의 개발
윌리엄 뉴턴과 영국의 부동산 개발사업 | 고전주의: 영국 도시주거의 대표 양식
코벤트 가든의 성공과 광장주거의 전성기
17세기 런던의 광장주거들
5. 18세기 바스 개발사업
우드 부자와 18세기 바스 개발
퀸 스퀘어와 더 서커스: 팔라디오 양식과 로마 고전주의
로열 크레센트: 열주 효과와 픽처레스크
바스 개발의 성공과 테라스 하우스의 전성기
6. 영국의 19세기 테라스 하우스와 런던 리젠트 파크
19세기 런던과 테라스 하우스 | 테라스 하우스 vs. 파리의 아파트
테라스 하우스 개발사업
리젠트 파크와 리젠트 스트리트 개발사업
리젠트 파크와 픽처레스크의 미학
테라스 하우스와 낭만적 풍경의 가능성

도판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석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사학자이자 건축가인 임석재 교수는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1호 교수로 부임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학 강의뿐 아니라 JTBC <차이나는 클라스>와 tvN <벌거벗은 세계사> 등 TV 강연을 비롯한 다수의 교양 특강을 통해 건축학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으며, 2019년에는 ‛건축으로 읽는 사회문화사’ 강의로 K-MOOC 블루리본(최우수강좌)과 우수강좌에도 선정된 바 있다. 그는 특유의 사고력과 통찰력으로 동양과 서양, 고대와 현대, 분야와 소재를 아우르고 넘나들며 건축을 주제로 한 폭넓고 깊이 있는 연구 및 설계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60여 권의 단독 저작 속에 이러한 그의 독특한 학문 세계가 망라되어 있으며, 주 전공은 건축 역사와 건축 이론이고 현실 문제에 대한 문명 비판도 병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 『파리 도시건축의 역사: 중세와 고전의 시대』(2023) 『서울 건축사: 건축으로 읽는 629년의 사회문화사』(2022) 『아방가르드 회화의 도시 미학』(2021) 『피라미드의 문: 피라미드 공간을 보는 새로운 눈』(2021) 『모든 도시에는 그리스 신전이 있다』(2020) 『집의 정신적 가치, 정주: 집에서 실존을 확보하다』(2019) 『극장의 역사: 건축과 연극의 사회문화사』(2018) 『광야와 도시: 건축가가 본 기독교 미술』(2017) 『시간의 힘: 오래된 건물을 따뜻하게 만나다』(2017) 『한국 건축과 도덕 정신』(2016) 『예(禮)로 지은 경복궁: 동양 미학으로 읽다』(2015) 『건축의 지역성을 다시 생각한다』(2015) 『유럽의 주택: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 교수의 건축문화사』(2014) 『지혜롭고 행복한 집 한옥: 한옥의 과학과 미학』(2013) 『한국 현대건축의 지평』(전 2권, 2013) 『기계가 된 몸과 현대 건축의 탄생』(2012) 『사회미학으로 읽는 개화기-일제강점기 서울 건축』(2011) 『임석재의 생태 건축: 일곱 번의 위기와 일곱 개의 자연』(2011)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의 서양건축사』(2011) 『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2011) 『서울, 건축의 도시를 걷다』(전 2권, 2010) 『계단, 문명을 오르다』(전 2권, 2009) 『건축과 미술이 만나다』(전 2권, 2008)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은 이른바 유럽의 ‘주류 문명’을 이끌어 온, 혹은 ‘주류 문명’에 속하는 주택들이다. 유럽 역사는 ‘이탈리아-프랑스-영국’을 주축으로 삼아 진행되어 왔다. 독일은 강대국에 틀림없으나 유럽 역사를 통틀어 보면 이 세 나라의 주류 문명을 위협한 적은 있으나 그 스스로가 주류 문명을 일군 적은 없었다. …‘유럽 주택의 역사’는 우리에게는 다소 세부적인 주제일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처음 소개되기 때문에 일단 주류 문명에 속하는 예부터 대상으로 삼았다. 가장 중심이 되는 것부터 익숙해진 다음에 다른 주제로 넘어가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유럽의 예술과 건축은 일정한 패턴을 따라 진행되어 온 형식주의 전통이 강하기 때문에 중심이 되는 소재부터 접하고 나면 다른 것들은 이해가 쉬워진다. 형식주의 문명에서는 형식 패턴이 가장 풍부하게 농축, 집약된 것이 주류 문명이기 때문이다. ―서문


에게 해 주택에서는 이상의 기본적 특징 이외에 주거사와 관련된 주제 가운데 하나인 ‘사회위계’가 나타났다. 이 주제는 메가론 주택을 통해서 읽을 수 있는데 디미니 발굴 당시부터 고고학자들 사이에 중요한 해석 대상이었다. …곡창지대를 관리하고 지켜주는 지배세력이 일찍부터 등장했을 것이며 이들은 자신들의 권위를 표시할 건물을 지었을 것인데 그것이 메가론이라는 해석이다. ―Ⅰ. 그리스의 주거, 1. 에게 해 문명의 주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