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시론
· ISBN : 978895628087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3-11-28
목차
1부 바람의 현상학, 존재의 슬픔 자기회귀적인 언어와 영웅적인 자아 어둠을 지나온 내면의 고요한 풍경 해원과 신명불림의 위한 씻김굿 형식의 실천적 가능성과 자기 부정 2부 말, 시간이 빚어낸 능청스러운 - 이향지의 시 추억을 마주하는 방식, 뽀송뽀송함에 대해 - 한혜영의 시 빤따날, 제주, 모노톤의 이미지 - 황운헌의 시 칼집에 들어있는 칼날 세우기 - 최종천의 시 사랑을 주제로 한 두 개의 변주 - 정채원의 시 혼돈과 통합, 겹쳐져 있는 죽음과 삶 - 배용제의 시 한 낭만주의자의 꿈 - 정해종의 시 나에게로 돌아감과 너에게로 돌아감 - 권혁웅과 이대흠의 시 김장배추와 차나무에 얹혀있는 시 두 편 - 김기택과 김선우의 시 3부 기억과 관조 사이, 적소에서의 기록 - 강연호,『세상의 모든 뿌리는 젖어있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 - 정태일,『달과 수은등』 이 땅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 전영주『붉은닭이 내려오다』, 김정란『용연향』 비천한 세상을 끌어안는 비천의 시 - 한영옥,『비천한 빠름이여』 순진함의 오만과 오만한 순진함 - 김용택『나무』,김중『거미는 이제 영영 돼지를 만나지 못한다』 건조한 시선과 넘치는 시선 - 강신애『서랍이 있는 두 겹의 방』, 이은봉『내 몸에는 달이 살고 있다』 유폐된 날들의 기록 - 배문성,『노을의 집』 육화된 시간과 추상적인 시간 - 이사라『시간이 지나간 시간』, 백미혜『별의 집』 말의 추상성과 몸의 육체성 - 채호기,『수련』 4부 우리 시에서의 종교성 조향 시의 세계 인식과 형태 실험 현 시점에서 비평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진정한 남녀평등에 대한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