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억 憶

억 憶

이우성 (지은이)
푸른사상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000원 -10% 1100원 18,700원 >

책 이미지

억 憶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억 憶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56409641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12-11-20

책 소개

벽사 이우성 선생은 우리나라 한국학의 대표적 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벽사 선생의 작품은 그 의식의 진취성, 혹은 현실성이 뛰어난 작품들이 많다. 이 책은 벽사 선생의 한시와 함께 김용직 서울대 명예교수의 번역과 주석을 곁들여 한시의 이해를 돕고 있다.

목차

碧史 詞華集 <憶>에 부쳐

1. 洛東江(낙동강)
2. 海(바다)
3. 登嶺南樓(영남루에 오르다)
4. 過宣城縣衙門(선성현 아문을 지나다)
5. 遊華岳山(화악산에 노닐다)
6. 陶山書院(도산서원)
7. 七夕(칠석)
8. 農村卽事(농촌에 부쳐)
9. 極樂庵(극락암)
10. 凝川渡(응천강 나루에서)
11. 同淵民友蓮 陪山康卞榮晩翁 往東萊 訪權晩惺校長宅(연민·우련과 함께 산강 변영만 선생을 모시고 동래로 가서 권만성 교장 댁을 방문하다)
12. 秋日 暫歸退里 登西山 偶見杜鵑花 感賦 二絶(가을날 잠시 퇴로에 돌아와서 서산에 올랐는데 우연히 진달래꽃을 보고는 그 느낌을 읊어 절구 2수를 지었다)
13. 鳥嶺 安東 丹陽有感(조령 안동 단양에서 느낀 바를 읊다)
14. 移就江南新居 戱題(강남 새 거처로 이사하고 장난삼아 지어보다)
15. 東萊懷舊(동래에서 옛일을 생각하며)
16. 懷鄕(고향 생각)
17. 乙丑元朝(을축년 설날 아침)
18. 題農家圖(농가도에 적다)
19. 明倫洞有感(명륜동에서 느낀 바가 있어)
20. 晉州咸陽紀行(진주 함양 기행_
21. 土曜午後(토요일 오후)
22. 狎鷗亭(압구정)
23. 獨坐書齋述懷(홀로 서재에 앉아 회포를 읊다)
24. 萬德蘭(만덕란)
25. 蔚州開雲浦 登處容巖(울주 개운포에서 처용암을 오르다)
26. 望海寺(망해사)
27. 伯兄喪 返葬于故山 卒哭 翌日 發京行(큰형님의 상을 고향에서 치루고 그 다음날 서울로 출발하다)
28. 龍仁 拜圃隱墓(용인에서 포은의 묘에 절하다)
29. 登水原城 懷正宗朝事(수원성에 올라 정조 때의 일을 생각하다)
30. 北漢山(북한산)
31. 暴風大雨 全國被水害甚大(폭풍과 큰비로 전국의 수해가 심하기에)
32. 遊利見臺(이견대에 노닐며)
33. 郊外閒步(교외에서 한가로이 산보하며)
34. 聽鶯(꾀꼬리 소리를 들으며)
35. 題渤海史(발해사에 대해 쓰다)
36. 遊通度寺 回路 又入梵魚寺(통도사에 노닐고 돌아오는 길에 다시 범어사에 들르다)
37. 太宗臺(태종대)
38. 己巳元朝(기사년 설날 아침)
39. 遊春川昭陽亭 路過柳毅庵銅像(춘천 소양정에 노닐고 지나가는 길에 의암 유인석 동상에 절하다)
40. 早登大母山(아침에 대모산에 오르다)
41. 蘇聯紀行(소련 기행)
42. 甫吉島 訪孤山洗然亭(보길도에서 고산 세연정을 방문하고)
43. 公州甲寺(공주 갑사)
44. 潢池(황지)
45. 寧越(영월)
46. 渼沙里道中(미사리로 가는 길에)
47. 茶山丁先生墓(다산 정약용 선생의 묘)
48. 四月三十日 聞芝軒急逝 慟傷之餘 作一絶 以代輓歌(4월 30일 지헌이 급서했다는 소식을 듣고 애통해 한 끝에 절구 한 수를 지어 만가에 대신한다)
49. 歷觀李月沙墓 晋庵古家及朝宗巖午飮于達朗溪谷(월사 이정귀의 묘와 진암 이천보의 옛집 및 조종암을 둘러보고 오후에 달랑계곡에서 술잔을 들다)
50. 憶中國舊遊(지난날 중국에 노닌 것을 추억하며)
51. 漢陽定都六百年(한양 정도 600년)
52. 追悼禪明上人(선명 스님을 추억하며)
53. 病起開門 見雪景甚佳(병이 나았기에 문을 열고 설경을 바라보니 매우 아름다워서)
54. 宿神勒寺(신륵사에서 묵으며)
55. 獨島(독도)
56. 歐洲紀行詩註(유럽 기행시와 주석)
57. 七佛寺(칠불사)
58. 飛仙杖(비선장)
59. 向川 展示書藝 余未及參觀而期間已過 以詩自嘆 兼寄向川謝過(향천의 서예 전시회에 내가 참관하지 못하고 때를 놓쳤기에 시로써 스스로를 탄식하고 아울러 향천에게 부쳐 사과한다)
60. 湖南紀行(호남 기행)
61. 洪城 訪萬海遺居(홍성에서 만해의 옛집을 찾아보고)
62. 靑陽 拜蔡文肅公祠 有感(청양에서 채문숙공 사당에 참배하고 느낌이 있어)
63. 芝軒墓(지헌의 묘)
64. 寒棲庵 詠白松(한서암에서 백송을 읊다)
65. 宿淸平湖畔(청평호반에 묵으며)
66. 哭經洲(경주를 곡하며)
67. 金剛山圖(금강산도)
68. 憶昔(옛날 일이 생각나기에)
69. 讀心山先生?翁七十四歲回想記(심산 선생의 ?벽옹 74년 회상기?를 읽고)
70. 電視器中 見獨島風景 聞有日本人移籍於此 惹起外交問題 因復憶安龍福事 三絶(텔레비전에서 독도의 풍경을 본 바 일본인들이 이곳으로 호적을 옮겨 외교문제를 야기시킨 사실을 알게 되어, 안용복의 일을 회상하며 절구 세 수를 짓다)
71. 宣城縣衙門志感(선성현 아문에서 느낌을 적다)
72. 中國東北地方紀行(중국 동북 지방 기행)
73. 廣開土境平安好太王碑(광개토경평안호태왕비)
74. 觀淸太宗陵 因周覽故宮殿閣及所藏文物 二絶(청 태종의 능을 관람하고 고궁의 전각과 소장 문물을 둘러보고 나서 절구 2수를 짓다)
75. 嶺南樓秋眺(영남루에서 가을 경치를 바라보다)
76. 秋晩高陽遣興(늦가을 고양에서 흥취를 적다)
77. 哭淵民兄(연만 형을 곡하다)
78. 暇日?詠(휴일에 한가로이 읊다)
79. 至陶山 與諸生 開講讀會(도산에 도착하여 여러 젊은이들과 강독회를 열다)
80. 過溪南舊墟 志感(계남 옛터를 지나며)
81. 美國都市建物爆破慘事 世界震驚 余爲作地球問答詩(미국 도시 건물 폭파참사로 세계가 경악하였다. 이에 내가 지구와의 문답시를 지어본다)
82. 越南 訪胡志明廟(월남에서 호지명 사당을 방문하고)
83. 高陽 過崔瑩侍中墓(고양에서 최영 시중의 묘를 지나며)
84. 木川 拜湛軒洪大容先生墓(목천에서 담헌 홍대용 선생의 묘를 참배하다)
85. 醴泉 登草澗亭(예천에서 초간정에 오르다)
86. 過英陽注谷 憶趙芝薰(영양 주실을 지나다가 조지훈을 생각하고)
87. 石松靈(석송령)
88. 題高士彈琴圖(고사탄금도에 붙이다)
89. 觀伊拉克戰爭(이라크 전쟁을 보고)
90. 追和向川詩 陸史曠野碑(항천의 ?육사광야비? 시에 화운하다)
91. 遊麗水(여수에 노닐다)
92. 哭鹿邨兄(녹촌 형을 곡하며)
93. 中國東北工程(중국의 동북공정)
94. 自題實是學舍壁(실시학사 벽에 스스로 적다)
95. 忠州 觀中原高句麗碑(충주에서 중원고구려비를 보고)
96. 北京六者會談之後 我南北問題 明暗如前 有賦(북경 육자회담 이후 남북문제의 명암이 바뀌지 않기에 시를 지어 읊다)
97. 母別子(어머니와 아들의 이별)
98. 歲暮郊居述懷(세모에 교외에 머물면서 가슴속 생각을 적다)
99. 示長兒(맏아들에게)
100. 嶺東紀遊(영동 기행)
101. 晩過幸州山城 有懷忠莊公權慄將軍(저녁에 행주산성을 지나다가 충장공 권율 장군을 생각하다)
102. 武漢途中(무한 도중에_
103. 琵琶亭(비파정)
104. 廬山東林寺(여산 동림사)
105. 訪陶淵明紀念館及其墓所(도연명 기념관과 그 묘수를 방문하다)
106. 三疊泉瀑?(삼첩천 폭포)
107. 廬山白鹿洞書院(여산 백록동서원)
108. 歲暮詠懷(세모에 회포를 읊다)
109. 暇日獨行 過仁寺洞(쉬는 날 홀로 인사동에 들르다)
110. 敬順王陵(경순왕릉)
111. 遊開城(개성에 노닐다)
112. 歸鄕第作(고행집에 돌아와서)
113. 宿江華島 記所懷(강화도에서 묵으며 품은 생각을 적다)
114. 安東獨立運動紀念館(안동 독립운동기념관)
115. 秋日(가을날)
116. 新年頌 奉呈蘭社諸公(새해에 읊어, 난사의 여러분에게 드리다)
117. 南楊州(남양주)
118. 公州(공주에서)
119. 扶餘(부여)
120. 哭玄洲兄(현주 형을 곡하며)
121. 憶故友(옛 벗을 추억하며)

詞華集 <憶>의 우리말 번역을 마치고

저자소개

이우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밀양 출생.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졸업. 성균관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석좌교수, 역사학회 및 한국한문학회, 민족문화추진회 회장 등 역임. 국민훈장 동백장, 성곡 학술문화상 수상. 2013년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퇴계학연구원 원장, 재단법인 실시학사 대표. 저서로 <이우성 저작집>(전 8권) 등.
펼치기

책속에서

越南 訪胡志明廟(월남에서 호지명 사당을 방문하고)

一.
勝敗元同一局棋
自由獨立?酸悲
胡公志業終千古
澤被生靈無盡時

승패란 본디부터 한 자리 바둑판을
자유와 독립 위해 갖은 고초 다 겪었지
호공의 뜻과 공덕 천고에 걸치리니
많은 백성 입은 은혜 끊어질 리 없으리라

二.
曾在囚中學奕棋
平生逆境未嘗悲
東韓遠客誠多感
奉置花環致敬時

일찍이 옥중에서 바둑 장기 배웠다니
한평생 거친 역경 슬프지만 않았겠다
동쪽 나라 멀리서 온 나도 또한 느껴워서
삼가 화환 바치고서 정중히 예를 했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806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