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55501825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6-10-20
책 소개
목차
· 간행사 ∙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 이 책을 내면서
· 최한기의 가계와 연표 -이우성
1. 최한기의 가계
2. 최한기의 연표
· 최한기의 생애와 사상 -이우성
1. 실학의 전회(轉回)
2. 양한정(養閒亭)
3. 개화사상의 가교(架橋)
· 최한기 기학(氣瘧)의 학문체계 탐구 -손병욱
1. 머리말
2. 기학의 학문적 성격
3. 과학으로 본 기학
4. 기학의 학문적 독창성
5. 맺음말
· 최한기의 기학과 경험적 인식론 -허남진
1. 기학(氣學)
2. 전통 학문―성리학(性理學), 노장(老莊), 불교(佛敎), 서교(西敎)
3. 신기(神氣)
4. 천지(天地)의 기(氣)
5. 형체(形體)의 기(氣)와 수(數)
6. 추측(推測)
7. 경험(經驗)과 윤리(倫理)
8. 맺음말
· 최한기 정치사상의 재조명 -백민정
1. 들어가는 말
2. 최한기 철학에서 통민운화(統民運化)와 정치의 위상
3. 민원(民願)에 기반한 국인공치(國人共治)의 정치적 함의
4. 정치 공공성의 의미와 공론(公論)의 수렴 과정
5. 나가는 말
· 최한기의 기화론(氣化論)과 세계인식 -권오영
1. 머리말
2. 기화와 운화 개념의 연원과 변모
3. 세계인식의 방법론과 범주
4. 기화와 인도 중심의 세계인식
5. 맺음말
· 최한기의 중력이론에 나타난 동서의 자연철학 -전용훈
1. 머리말
2. 서양 중세의 자연철학과 중력이론의 전래
3. 기 중심적 자연철학과 중력이론의 탐색
4. 기학적 중력이론의 확립
5. 기륜설의 고안과 뉴턴 역학 비판
6. 맺음말
·'혜강 최한기 연구' 집담회
· 혜강 연구논저 목록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한기는 선현들의 기철학(氣哲學)을 계승하여 고도로 발전시킨 동시에 실학파 학자들이 도입해 놓은 서양의 과학지식을 극대화시킨 인물이다. 독창적인 ‘운화기(運化氣)’의 이론 위에 자연과학적 세계상을 이룩해 놓았으며, 자연과학을 구체적으로 ‘역산물리(曆算物理)’라고 표현하면서, 이에 대한 학문적 천명이 인류의 의식에 한 신기원을 그은 것으로 생각했다. 말하자면 종래의 실학이 유교 경전의 연역(演繹)을 바탕으로 한 ‘경학(經學)의 실학’이었다면, 최한기의 실학은 역산물리에 바탕을 둔 ‘과학의 실학’이라고 하겠다. 이는 실학사상의 큰 전회(轉廻)가 아닐 수 없다.
또한 그의 학문은 시민적 입장에 한 걸음 더 다가선 실학이었다. 다산을 마지막으로 한 선행 실학자들의 사상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더욱 전진적으로 전개시켜 다음에 올 개화사상에 연결시키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했다.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가교자(架橋者)’, 이것이 최한기의 사상사적 위치인 것이다.
|‘최한기의 생애와 사상’ 중에서
최한기는 당시의 절망적인 상황에 대한 진단을 통해서 현실타개의 대안으로서 기의 철학인 기학을 제시했다. 그리하여 성리학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유교적인 대동일통의 이상세계 구현을 목표로 삼아서 그 구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런 측면에서 기학은 또 다른 기의 철학이었던 동학(東學)과 그 맥을 통하고 있다고 하겠다.
|‘최한기의 기학(氣?)의 학문체계 탐구’ 중에서
최한기는 자신의 기학이 기존의 유·불·도 삼교를 포괄할 뿐 아니라 서구의 자연과학과도 무리 없이 접합되는 통교(通敎), 천하지교(天下之敎)라고 자신한다. 이처럼 보편성을 추구하는 최한기 사상의 전모와 대응되는 개념으로서의 기는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의미와 구조를 계승하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서구의 과학사상을 수용하는 매개 개념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최한기의 기학은 유학의 강상윤리(綱常倫理)와 자연과학적 세계관을 신기의 추측에 의해 얻어지는 동일한 차원의 진리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서는 천도(天道)는 인도(人道)의 준적이 된다고 하여 기존 성리학의 도덕형이상학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있었다. 여기서 최한기의 기학은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된다.
|‘최한기의 기학과 경험적 인식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