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56409832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소설 교육의 문화적 의미망
제1장 다문화 시대의 소설(문학) 교육
1. 머리말
2. 다문화주의, 다문화 교육, 다문화 문학
3. 다문화 소설의 형상화: 소수 이주민의 경우
4. 다문화 시대 소설(문학) 교육의 주체 이념태와 원리
5. 맺음말
제2장 리얼리즘 소설 교육과 방향 탐색
1. 머리말
2. 리얼리즘의 개념과 리얼리즘 소설의 전개
3. 리얼리즘 소설 교육의 탐색
4. 공유경험의 확장과 공감의 가능성
5. 공감의 방법적 원리와 연대성
6. 맺음말
제3장 이광수 자전소설의 특징과 문화적 의미
1. 머리말
2. 자전소설로서의 『나-소년편』, 『나-스무 살 고개』
3. 창작 동기와 형상화의 방법
4. 자전소설의 문화적 의미
5. 맺음말
제4장 고통을 넘어 연대성 모색하기
1. 머리말
2. ‘중국 조선족’과 분단 현실을 넘어서기 위한 고통의 삶
3. 한국전쟁과 분단 현실 인식의 한계와 가능성
4. 분단 현실을 넘는 연대성 모색의 방향
5. 맺음말
제2부 문학의 존재와 문학 교육의 방법
제1장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문학 텍스트 읽기
1. 머리말
2. 구성주의 관점과 맥락적 의미 구성 인식
3. 맥락적 의미 구성으로서의 문학 텍스트 읽기
4. 맺음말
제2장 김사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과 의식
1. 머리말
2. 북경 체험과 대비적 비판의식의 한계
3. 조선 동포들에 대한 관심과 고통 탈출의 허구성
4. 탈출의 여로 체험과 반제투쟁의 낙관성
5. 맺음말
제3장 문학 표현 교육의 기반 탐색
1. 머리말
2. 문학 표현의 의미와 논리
3. 문학 표현의 이유
4. 문학 표현의 내용과 방법
5. 맺음말
제4장 표현 대상에 대한 명명(命名)과 화자의 관념 특성
1. 머리말
2. 대상에 대한 시점 표지로서의 명명(命名)
3. 주인공에 대한 명명과 작가-화자의 관념
4. 맺음말
제5장 문학 수업에서 글쓰기 교육의 유형과 방법
1. 머리말
2. 문학 수업에서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3. 문학 교실에서의 글쓰기 유형과 방법
4. 맺음말
제6장 문학 논술 교육의 이념과 실천 방안
1. 머리말
2. 문학 논술과 문학 논술 교육의 개념
3. 문학 논술 교육의 이념
4. 문학 논술의 유형과 문학 논술 교육의 실천 방향
5. 문학 논술 교육의 실천 전략과 방법
6. 맺음말
제3부 여행의 시대와 기행문학 교육
제1장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1. 머리말
2. 교육과정의 기행문학 교육 현황과 문제점
3. 금강산 기행문의 유형과 여행의 의미
4.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5. 맺음말
제2장 한국 근대 해외 기행문학의 양상과 의미
1. 머리말
2. ‘여행의 시대’와 근대 초기 해외 기행문학
3. 『삼천리』 소재 허헌(許憲)의 구미 기행문의 양상과 의미
4. 맺음말
제4부 비평의 논리와 비평 교육
제1장 해방 후 민족문학론과 비평 교육의 과제
1. 민족문학론의 비평 교육적 인식
2. 해방 후 남한에서의 민족문학론 전개 과정
제2장 비평 행위와 현실 인식의 상관성
1. 머리말
2. 리얼리즘론의 전개 과정
3. 사실주의의 재인식과 방향 모색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근 우리 학계의 다문화 교육 논의는 대체로 국제결혼과 취업 등에 따른 외국인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급속도로 진입해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뿐 아니라 교육 차원에서 자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국어 교육을 넘어 제2언어 교육 혹은 외국어 교육으로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같은 판단은 현실을 사회 문제 차원에서 판단하는 정부 주도의 인식과 정책을 수용한 측면과 학계 내부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문학(국어) 교육 학계 내부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와는 상당한 거리를 보여준다. 다문화 교육이 다문화 가정에만 국한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문학(국어) 교육의 기본 기저로 삼아야 하는가, 과연 문학(국어) 교육이 모국어 차원을 넘어서야 하는가, 아니 넘어선다면 제2언어 혹은 외국어 교육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등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다문화 교육이 다문화 가정에만 한정된다면 그것은 결코 성공할 수 없으며, 문학(국어) 교육에 대한 성공 없이 제2언어 혹은 외국어 교육이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최근 한 연구자가 우리 사회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에는 공감하지만 그 방식이 다문화주의의 수용이어야 하는지를 놓고 비판을 제기한 것도 이 같은 현 상황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