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8895659195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2-08-16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5
추천사 6
머리말―무슨 사람이 남의 말을 안 들어요! 11
맺는 글―고집에 대한 고민을 끝내라 232
Part 1 통桶 크게 통通하라
01 카리스마와 고집 사이
직장상사와 부하직원, 그 평행선의 원인은? 27
고집의 두 가지 얼굴 29
고집이란 무엇인가: 이중적 입장 34
구성원의 눈에 비친 고집형 리더 38
복지부동의 리더, 변해가는 조직 40
무엇이 문제인가 43
카리스마의 인식을 바꿔라 45
02 리더는 왜 고집을 버리지 못하나
고집형 리더에 대한 4차원적 분석 52
무엇이 고집을 만드는가 59
어떤 상황에서 고집을 부리는가 63
Think&Check! 나는 어떤 권력형 인간인가? 69
03 말을 듣지 않는 리더, 입을 열지 않는 부하
부하직원들이 점점 조용해진다면 72
입을 다문 부하직원, 그 결과는? 75
리더는 억울하다?! 77
리더의 공격성이 불러오는 결과 81
Think&Check! 나는 공격적인 리더인가? 85
Part 2 프로 커뮤니베이터
01 프로 커뮤니베이터의 조건
자부심: 있는 그대로 인식하라 90
확신: 제대로 된 목표를 조준하라 91
공식적 권력: 힘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92
의사소통: 대화가 통하는 조직을 만들어라 93
02 진정한 카리스마를 만드는 자부심
자부심으로 무장했던 영웅, 항우 97
고집이 가져온 성공, 고집이 불러온 실패 103
과거의 성공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라 106
Think&Check! 나와 항우를 비교해보자 111
03 자신과 조직의 에너지를 끌어내는 자기확신
알렉산더의 자기확신 113
21세기형 리더를 위한 세 가지 질문 115
헨리 포드에게 배워라 128
구성원들의 믿음이 리더십의 원천 130
제대로 된 목표 달성에 대한 확신 134
자기확신의 조건: 이순신의 리더십 137
Think&Check! 자신의 비전을 점검해보자 143
04 신뢰와 유연성의 권력
권력에 대한 자기인식 진단 147
권력이란 무엇인가 151
자리 자체가 권력이다: 직위적 권력 153
직위적 권력의 전제: 개인적 권력 175
부하직원을 좀비로 만들고 있지 않은가? 181
Think&Check! 나는 어떤 권력형 인간인가? 186
05 시너지와 성과를 높이는 피아불이 소통
소통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189
존중이 바탕이다 193
소통의 전제는 상대방 198
사람을 제대로 이해하는 방법 202
피아불이의 자세로 소통하라! 213
Think&Check! 당신은 지금 소통하고 있습니까? 215
Part 3 커뮤니베이터로 가는 길
01 아집의 감옥에 갇힌 사람들
자신의 고집을 인식조차 못 하는 리더 220
자신의 고집에 대해 알고 있는 리더 223
고집을 승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리더 224
02 이런 상사와 통하고 싶다!
고집을 카리스마로 바꾸는 핵심행동 228
고집을 승화한 진정한 리더로 거듭나라 230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일조했다고 할 수 있는 현재 한국의 리더 세대 중 상당수가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고집의 함정에 빠져있다. 변화혁신활동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완고한 에고를 버리고 적극적으로 상하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앞장서야 한다. 의사소통에 능한 유연성의 리더십, 더 나아가 동기부여를 통해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내는 리더십이야말로 변화혁신의 성공열쇠이다. 이 책은 리더가 조직의 생존에 필수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주위의 이해관계자들, 특히 구성원들에게 효과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구체적인 사례와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자신의 리더십의 효용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싶은 리더와 지금 진행되는 변화혁신활동의 성과에 대해서 고민하는 리더들에게는 반드시 일독을 권하고 싶다.
우상룡 (GS건설 해외사업총괄 사장) 추천사 中
현재 리더 계층 대부분을 형성하는 40~50대들은 기본적으로 소년기에는 유교적, 그리고 청년 시절에는 군사 문화권에서 자라고 생활했다. 반면, 20~30대의 젊은 구성원들은 윗세대와 비교하면 훨씬 더 자유롭고 통제라곤 모르며, 경제적으로도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다. 특히 의사소통이 대단히 활성화된 IT 시대에 자라나다 보니 두 계층 간에‘ 고집’이라는 현상을 가지고 발생하는 갈등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세대적 특성 외에도, 리더로서 고집을 부릴 수밖에 없는 기본적 이유가 있다. ‘ 리더는 구성원들과 조직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라는 리더 고유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하는 것이 첫 번째 이유이다. 또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때 혹시 구성원들이나 주변 사람들이 이견을 제시하면 ‘하면 된다’ 또는‘ 사람이 노력하면 하지 못할 것은 없다’라는 신념에 충실하려다 보니 고집이 드러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Part1 ‘02 리더는 왜 고집을 버리지 못하나’ 中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리더가 실생활에서 자주 잊어버리는 사실이 있다‘. 우리가 처한 환경은 항상 변한다’는 것이다. 어제나 작년과 달리 우리가 처한 경제환경은 계속 변하고 있고, 우리의 경쟁상대가 변하고 있고, 우리와 같이 일하는 동료가 변하고 있다. 이렇게 계속 변하는 현실에서 과거에 자부심을 품고, 그 시절의 방식이 내일도 당신을 성공으로 이끌리라 생각하지 말자. 만약 정말로 그러한 자부심을 도저히 못 버리겠거든 예전 방식 자체에 애착을 둘 것이 아니라 그 성공을 거둘 수 있게 했던 핵심 요소를 제대로 파악하라. 그리고 그 핵심 성공요소를 어떻게 하면 변화하는 상황에 맞추어 적용할 것인가에 더 신경 써야 할 것이다.
Part2 ‘02 진정한 카리스마를 만드는 자부심’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