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56592152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3-11-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육군 이야기
지상군 페스티벌 / 널문리 / JSA 부대원의 자격
러시아 훈련장 / DMZ의 힐링캠프
해군·해병대 이야기
한국 해군에도 탑건이 있다 / 해군의 계급장
독도함의 숨은 1인치‘ 캣 워크’ / 해병대가 강한 이유
공군 이야기
공군 1호기 / 공군의 우주인 프로젝트
공군의 영웅이 된 일본 항공학교 출신들 / 소음과 전투하는 군용기
비상활주로 / 우주군
공군에는‘ 릴리프 투수’가 아닌‘ 릴리프 백’이 있다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좌석의 비밀
미군 이야기
한국군과 미국군 / 펜타곤과 화장실의 공통점
한반도 단골손님‘ 조지 워싱턴’함 / 미군의 무기 개발
미군 병장은‘ 6대 장성’ / 역할이 3개인 주한미군 사령관
북한군 이야기
북한은 왜 하드 타깃인가 / 대통령 전용기 탄 북한 VIP
북한군 인민무력부장과 감귤 / 북한 최고지도자의 사진
독도함 남북 국방장관 회담 / 통일 후 북한군
북한군의 계급 / 북한군 특수부대
여군의 세계
한국 여군의 역사 / 최초의 여군 / 최초의 여성 조종사
여군과 전투 / 미스 여군 선발대회 / 여군 브래지어는 국방색인가
세계의 여군 / 북한의 여군 / 해군과 여군 / 여군과 섹스
잠수함의 세계
한국 해군 잠수함에는 ○○가 있다 / 잠수함의 천적은 그물
잠수함에서 생활한다는 것 / 잠수함에서의 식사
잠수정 태운 잠수함 / 209급은 베스트셀러
35조 원대 국방 예산과 무기
돈으로 본 첨단 무기 / ‘질’보다‘ 양’을 내세우는 북한군 무기
국군의 날에 등장한 한국군 무기 / 첨단 무기의 아킬레스건
일본은 왜 문제 많은 F-35를 선택했나 / 한국의 무기 개발
한국군의 저격용 소총 / 한국 방위산업의 수준
작전과 훈련, 그리고 말
아덴만 여명 작전 / ‘키 리졸브’는 무슨 뜻
연어급의 유래 / 엄사리의 유래 / 전쟁이 만든 언어
흑룡사와 백골성당 / 연평도와 원탁의 기사 / 디데이와 C데이
장군 이야기
장군이 되는 길 / 장군은 뭐가 다른 걸까 / 장군의 종류
독일 육사 출신 장군들 / 장군의 배낭
신세대 병영
국방부 시계’는 없다 / 신세대 연예 병사와 신비주의
신세대 전투복의 로열티 / 군대와 돼지 / 신세대 병사와 외국어
다문화 시대의 한국군
한국군에 부는 다문화 물결 / 다문화는 오랜 역사
한국군은 다문화 용광로 / 다문화 가정 출신 장병들
다문화 시대의 국적 문제
한국군의 문화·종교·스포츠
군인과 군복 / 군인 선생님을 아시나요 / 주스와 와인
사라지는‘ 군용 추억’들 / 국방부 컬렉션
군대와 스포츠맨 / 수류탄 던지기도 스포츠
한국군의 체력 / 한국군의 종교
제3의 전쟁
미디어 전쟁 / 담배와의 전쟁
기상 무기의 등장 / 세상을 바꾸는 군
이런저런 군 이야기
군가와 응원가의 공통점 / 전쟁과 트로트 / 군견의 노후
군 출신 국회의원 / 독도함과 백두산 정계비
한반도 비핵화 / 한국전쟁 비사 / 교전규칙
국방부 취재기자
북한의 이상 동향과 기자의 사생활 / 1번 어뢰의 비밀
중국군의 언론플레이 / 블랙이글과의 인연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런데 해군도 매년 탑건을 뽑는다. 해군의 탑건은 포술 최우수 전투함을 말한다. 해군은 지난 1년간 초계함 이상의 전투 함정을 대상으로 대공·대함 평가 사격을 실시해 최고의 점수를 얻은 함정에‘바다의 탑건 함’ 호칭을 부여한다. 잠수함은 어뢰 발사 능력을 기준으로 선발한다.
6·25 전쟁에서는 장렬하게 공중에서 산화한‘하늘의 영웅’들이 많았다. 그 가운데는 고성 상공에서 유성처럼 사라졌다가 나중에 보라매의 요람인 공군사관학교 교정에 동상이 세워져 있는 임택순 중위(전사한 뒤 대위로 추서) 같은 이들도 있지만 일본 항공학교를 졸업한 조종사들이 꽤 있었다.
다문화 출신 군인은 과거에도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임진왜란 당시‘해귀’(海鬼)라는 존재가 왜군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다. 왜장 가토 기요마사는 경주성 공략을 앞두고 해귀에게 수많은 부하를 잃었다고한다. 해귀는 바다 건너에서 온 귀신을 뜻한다. 해귀는 파랑국(현재의 포르투갈) 출신 흑인 노예였다. 이전에 흑인을 본 적도 없는 왜군들은 그를 귀신으로 여겨 해귀로 불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해귀가‘무예가 뛰어나고, 조총과 칼을 자유자재로 다룬다’고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