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위장병
· ISBN : 9788956991078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0-10-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장이 건강해야 몸이 건강하다
1장. ‘따뜻한 장 건강법’으로 뱃속 건강부터 챙겨라
변비의 원인은 냉증
따뜻한 물이 장을 편안하게 한다
따뜻한 물로 변비를 해소한다
몸이 따뜻해야 장운동이 좋아진다
변비 해소에서 체중 감량까지
계피생강차로 몸이 정말 따뜻해질까
2장 당신의 장 건강을 체크한다
배변 시스템과 대장 운동
장은 제2의 뇌
냉증을 일으키는 요인
냉증과 변비의 관계
냉증 체크리스트
냉증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장
대장암을 일으키는 스트레스 장
스트레스 장 체크리스트
변의를 상실한 내장감각 장애
내장감각 장애와 과민성대장증후군
변비와 내장감각 장애의 관계
내장감각을 회복하는 방법
3장 냉증이란 무엇인가
냉증은 만병의 근원
냉증은 병인가
냉증은 몸의 방어 반응
냉증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대인
여성은 왜 냉증에 약한가
냉증을 호소하는 남성이 늘고 있다
냉증은 면역력을 떨어뜨린다
저체온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온열요법의 효과
4장 ‘따뜻한 장내 리셋’ 실천하기
가벼운 변비라면 혼자서도 고칠 수 있다
장을 따뜻하게 하는 식재료
계피 | 생강 | 페퍼민트 |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 | 글루타
민산 | 식이섬유 | 식물성 유산균 | 올리고당 | 마그네슘
따뜻한 장내 리셋
외식을 할 때는 어떻게 실천할까
변비약 의존증에 효과적인 식이요법
카레는 장을 따뜻하게 하는 대표적인 음식
몸 상태에 맞게 향신료를 조절한다
건강 야채카레 만들기
올리브오일은 살찌지 않을까
매크로바이오틱의 문제점
5장 몸이 따뜻하고, 장이 건강해지는 음식
과일, 야채
귤 | 살구 | 당근 | 양파 | 부추 | 차조기 | 대추 | 호두 | 밤 |
마늘 | 파 | 대두 | 고추냉이
음료
홍차 | 술
허브류
산초
6장 따뜻한 장을 위한 레시피
단호박 카레
무나물 비빔밥
뿌리채소를 듬뿍 넣은 된장국
굴소스 야채볶음
부추전
고구마 샐러드
떡 구이
당근 양파 수프
단호박 요구르트
따끈한 와인, 뱅쇼
7장 따뜻한 장을 만드는 보조요법
아로마 테라피
가장 추천하는 정유는 계피 | 계피와 궁합이 맞는 향 |
자몽 다이어트 | 민트 핫 찜질
두한족열법
족욕 | 반신욕 | 탕파
따뜻한 장을 만드는 운동법
걷기 | 스탭업다운 운동
장 마사지
옆으로 누워서 장 마사지하기 | 반신욕 하면서 장 마사지하기
마치는 글 | 따뜻한 장 건강법으로
만병의 근원인 ‘냉증’에서 벗어나자
리뷰
책속에서
변비는 약으로 해결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이것은 매우 위험한 생각이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변비약 가운데는 부작용으로 오히려 장 기능이 악화되어 복용하면 할수록 변비를 악화시키는 것도 있기 때문이다. 또 변비약으로 장을 강하게 자극하면 배변에 관여하는 근육을 약하게 하여 끝내 자력으로는 배변이 어려워진다. 변비약에 의존하게 되면 자연 변의를 전혀 느끼지 못한다. 변이 직장까지 내려와 있는데도 그 감각을 느낄 수 없는 것이다. 결국엔 변이 쌓여 배가 터질 듯 아파오면 그때야 고통을 호소한다. 이렇듯 변의를 상실한 증상을 전문 용어로 ‘내장감각 장애’라 한다.
추운 겨울날 자신은 열이 많아 오히려 얼굴이 후끈거린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전형적인 냉증에 의한 증상이다. 몸의 열이 말초신경까지 전해지지 못하고 상반신으로 올라와 얼굴에는 열이 나는데 손발은 차갑다.……냉증이 원인이 되어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데도 대부분은 자신이 냉증임을 쉽게 자각하지 못한다. 오히려 더위를 잘 타는 타입이라고 오해하며 얼음물 같은 찬 음료를 마시면서 냉증을 더욱 조장한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해보면 연동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 있다. 그 가운데는 장운동이 너무 둔해서 마치 정지된 것처럼 보이는 사람도 있다. 이처럼 연동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장을 ‘스트레스 장’이라 부른다.…… 스트레스 장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대장은 연동운동을 통해 몸속 노폐물의 약 70퍼센트를 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하므로 해독기관이라도 말할 수도 있다. 24시간 연동운동을 하는 장은 매우 리드미컬한데, 이 기능이 쇠퇴하면 전신에 노폐물이 정체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대장암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