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태교신기

태교신기

(조선시대 여성 실학자 사주당 이씨의 태교지침서)

사주당 (지은이)
한국문화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000원 -0% 2,500원
650원
14,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00원 -10% 580원 9,950원 >

책 이미지

태교신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태교신기 (조선시대 여성 실학자 사주당 이씨의 태교지침서)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태교
· ISBN : 9788957268643
· 쪽수 : 215쪽
· 출판일 : 2011-04-20

책 소개

사주당 자신이 네 자녀를 양육하면서 체험을 바탕으로 하고 직접 살핀 바를 징험하여 저술한 것이다. 직접 체험하고 징험한 결과를 정리한 기록이기에 후대 사람들의 각별한 관심을 이끌 수 있는 것이다. 사주당은 이 책을 통해 태교라는 단일한 주제를 인성의 형성과 가르침이라는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목차

간행사
일러두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태교신기서
태교신기음의 서략
태교신기장구대전

제1장
제1절 사람의 기질의 유래
제2절 태교와 스승의 가르침
제3절 자식을 낳는 아버지의 도리
제4절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도리
제5절 현명한 스승의 도리
제6절 가르치지 못함은 스승의 허물이 아니다

제2장
제1절 태는 성품의 근본이다
제2절 군자는 태를 위하여 삼가야 한다

제3장
제1절 사랑하기보다 가르치기를 미리 하여야 한다
제2절 아이가 잘못되어 가문을 떨어뜨린 후에 운명의 탓으로 원망한다
제3절 성인께서 태교의 법을 만드시다

제4장
제1절 태를 기르는 사람은 어머니만이 아니다
제2절 임신부를 대하는 도리
제3절 임신부가 눈으로 보아야 할 것
제4절 임신부가 귀로 들어야 할 것
제5절 임신부의 마음가짐
제6절 임신부의 말하는 도리
제7절 임신부의 거처와 양생
제8절 임신부가 할 일
제9절 임신부의 앉아 움직임의 도리
제10절 임신부가 다니며 서 있을 때의 도리
제11절 임신부의 잠자고 눕는 도리
제12절 임신부의 먹는 도리
제13절 임신부가 해산할 때 할 일
제14절 어머니 된 자는 삼가야 한다

제5장
제1절 태교의 요점은 근신이다
제2절 스스로 태교의 이치를 깨우치게 하다
제3절 태교를 권하는 말

제6장
태교를 행하지 아니한 해로움

제7장
제1절 임신부는 사술邪術을 경계해야 한다
제2절 임신부는 사사로운 마음을 경계해야 한다

제8장
제1절 태아를 잘 길러야 하는 이유
제2절 태교를 행하지 않음을 탄식하다

제9장
옛 사람들은 태교를 충실히 행하였다

제10장
태교의 근본을 거듭 말하다

부록:
사주당 이씨부인 묘지명병서
태교신기 발문

저자소개

사주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천현감(木川縣監) 유한규(柳漢奎)의 아내. 아들 유희(柳僖, 1773~1837)를 비롯하여 자녀 넷을 키우며 여러 문헌에서 발췌하고 체험한 바를 정리하여 조선시대 유일한 태교서적인 『태교신기』(1801)를 저술하였다. 사주당 이씨는 조선시대 현모양처이자 최고 여류 지성으로 꼽혔던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에 버금갈 만큼 학식과 부덕이 뛰어나 여성군자로 불린다. 성리학 수준이 일정한 경지에 올라 영조의 경연관(經筵官)이었던 한원진(韓元震, 1682~1751), 송명흠(宋明欽, 1705~1768) 같은 호서(湖西) 거유(巨儒)의 칭찬을 받았고, 동해모의(東海母儀, 해동 어머니의 모범)라는 호칭을 받기도 했다. 사주당은 경사(經史)를 주로 연구했으며, 결혼 직후에는 당호를 희현당(希賢堂)으로 했다가 ‘주자(朱子)를 배운다’는 뜻인 사주당으로 바꿨다. 아들 유희가 사주당의 사후에 쓴 「선비숙인이씨가장(先?淑人家狀)」가 발견, 번역되어 자세히 알 수 있게 되었다. 저서에는 『태교신기』 이외에 『교자집요(敎子輯要)』, 『가편어집(家編語集)』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4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