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57337011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20-10-28
책 소개
목차
서문
감사의 글
서론
제1부 화폐와 경제
제1장 화폐적 생산경제
1. 실물적 분석과 화폐적 분석
2. 일반균형이론과 화폐
3. 화폐적 생산경제와 화폐적 분석
제2장 화폐 내생성의 의미
1.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
2. 내생성과 외생성의 의미론적 구분
3. 화폐 내생성의 종류
4. 경제의 작동방식과 화폐의 외생성/내생성
5. 주류경제학과 외생적/내생적 화폐
제3장 화폐 내생성 분석의 역사
1. 지금 논쟁
2. 통화학파-은행학파 논쟁
3. 마르크스
4. 빅셀: 순수신용경제
5. 케인즈: 『화폐론』
제2부 포스트케인지언 내생화폐이론
제4장 포트폴리오 접근법
1. 『래드클리프 보고서』: 실패한 반란
2. 민스키: 월스트리트의 고슴도치
제5장 본원화폐 접근법
1. 로빈슨: 내생화폐이론의 숨겨진 보석
2. 칼도: 통화주의자와의 전쟁
3. 무어: 급진적 내생화폐이론의 정점
제6장 수용주의와 구조주의
1. 수용주의의 전형화된 주장과 구조주의의 비판
2. 은행제도의 진화
3. 은행의 지급준비금 수요와 중앙은행의 수용
4. 대부 수요와 은행의 수용
5. 대부 이자율의 결정
6. 채무관리
7. 수용주의와 구조주의의 공통 명제
제7장 여러 가지 논점들
1. 유동성 선호이론
2. ‘금융동기’
3. 승수이론
4. 화폐수요
제3부 비(非)포스트케인지언 접근법:
비교와 비판
제8장 새케인지언 대 포스트케인지언
1. 새케인지언과 화폐 내생성: 신용관점
2. 수용주의와 구조주의
3. 화폐 내생성 접근방식: 둘 혹은 셋?
4. 대부의 변화와 ‘통화량’의 변화
5. 결론
제9장 새합의 모형 대 포스트케인지언
1. 새합의 모형, 내생화폐, 화폐정책
2. 새합의 모형 비판
3. 포스트케인지언, 이자율, 인플레인션
제10장 화폐 내생성의 여러 경로: 모형 분석
1. 외생성과 내생성의 구분
2. 모형
3. 화폐 내생성 경로 분류
4. 결론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포스트케인지언 내생화폐이론’이 상정하는 화폐의 내생성은 주류 경제학에서 상정하는 것과 그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포스트케인지언 이론에서 화폐는 ‘아무것도 없는 데서 만들어지는(made out of nothing)’ 것으로 이해된다. 화폐의 사용은 사전에 존재하는 ‘기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화폐는 경제단위의 경제활동 필요에 따라 ‘무(無)’에서 창출되고 필요가 충족되면 ‘무(無)’로 돌아간다. 화폐에 대한 이런 이해는 자본주의 경제의 기본 작동방식에 대한 이해에서 기원한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경제활동의 시작은 상품의 생산이다. 그런데 애초에 화폐가 없으면 생산을 시작할 수조차 없다. 이런 의미에서 화폐는 경제활동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 중의 하나다.
― 「서문」
내생화폐이론은 전통적인 주류 거시경제학의 기초를 와해한다. 기초가 와해되면 그 위에 서 있는 건물도 붕괴될 수밖에 없다. 이 책에서 지금까지 논의해 온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트케인지언 내생화폐이론이 경제이론에 대해 함축하는 바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화폐-본원화폐 인과관계의 역전 (2) 대부-예금 인과관계의 역전 (3) 투자-저축 인과관계의 역전 (4) 화폐-(명목)소득 인과관계의 역전 (5) 실물적 현상으로서 인플레이션 (6) 소득(재)분배 정책으로서 이자율 정책 (7) 유효수요이론 (8) 화폐적 분석이다.
― 「결론」
1960년대에 뉴욕연방준비은행 부총재를 역임하던 홈스는 시중은행들의 행태를 “대부 먼저, 지급준비금은 그다음에(loans first, reserves later)”라는 경구로 표현했다. 홈스는 화폐량이 내생적으로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중앙은행 실무자 중 한 명일 뿐이다. … 지금까지도 많은 전문 경제학 논문들과 거의 모든 경제학 교과서들은 화폐량을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것으로 다룬다. 중앙은행 실무자이면서 또한 학계 경제학자인 굿하트는 화폐경제학자들과 중앙은행 현장 실무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이상한 이분(二分) 현상’을 기회 있을 때마다 개탄했다.
―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