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이병욱 (지은이)
운주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4571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6-05-04

책 소개

프라즈냐 총서 33권. 오늘날 한국 사회의 지배적 사상인 서구 철학의 관점에서 불교사상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불교사회사상의 이론적 토대, 한국에서의 변천 과정, 그리고 그 구체적 적용으로서 불교의 평화관, 폭력관, 자연관, 문화관, 통일관 등을 고찰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5
서론 15

1부 불교의 사회사상 29

1장 불교사회사상의 현재적 의미·31
1. 서론·31
2. 민주주의 이념·34
1) 나라가 발전하는 방법으로서 민주주의 원리를 제시함·34
2) 승가의 운영원리로서 민주주의·38
3. 평등의 이념·43
1) 초기불교의 평등의 이념·44
2) 한국불교에 나타난 평등의 이념·51
3) 암베드카르의 불교관에 나타난 평등의 이념·54
4) 오노 신조의 불교와 민주적 사회주의의 결합·56
4. 중도와 방편과 조화의 길·59
1) 중도의 길·59
2) 방편의 길·62
(1) 역사에 대한 절대비판과 상대비판의 접목·63
(2) R. 풀리간드라와 K. 프라하의 영구혁명철학·64
(3) 방편을 통한 목적과 수단의 통합·66
(4) 한용운의 종교관: 시대와 근기에 맞추어서 중생을 구원하는 것·68
3) 조화(화쟁)의 길·70
5. 결론·72

2장 근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76
1. 서론·76
2. 근대시기 이전의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의상, 의천, 조선시대 승병활동·80
3. 근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 한용운과 그 계열의 인물·83
4. 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88
1) 1980년대 민중불교운동·88
2) 1990년대 ‘선우도량’과 ‘정토회’의 사회참여사상·93
(1) 도법의 선우도량의 관점·94
(2) 법륜의 ‘정토회’의 관점·97
5. 결론·99

2부 불교의 평화관과 폭력관 105

3장 불교의 평화관·107
1. 서론·107
2. 불교문화 속에 나타난 평화관의 현주소·110
3. 소극적 평화에 대한 불교의 입장·114
1)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불교의 입장·114
2) 불교의 평화관과 전쟁관·118
(1) 불교의 평화관: 전쟁반대 입장·118
(2) 불교의 전쟁관: 방편의 입장·122
4. 적극적 평화에 대한 불교의 입장·131
1) 구조적 폭력에 대한 불교의 입장·131
2) 문화적 폭력에 대한 불교의 입장·135
(1) 이데올로기에 관한 불교의 입장·136
(2) 한국의 사회문화적 재구성에 대한 불교의 입장: 평화실현을 위한 관점에서·141
5. 결론·146

4장 불교의 폭력관·149
1. 서론·149
2. 폭력의 정당성 검토·152
3. 폭력에 대한 불교의 기본적 관점·158
4. 폭력에 대한 불교의 예외적 관점·166
1) 높은 수행 경지의 사람의 폭력은 인정함·167
(1) 원효의 무애행의 근거·168
(2) 선종에 나타난 폭력관·169
2) 폭력이 수용되는 객관적 상황 -「열반경」을 중심으로-·171
5. 결론·177

3부 불교의 자연관과 자본주의 문화 비판 181

5장 불교의 자연관·183
1. 서론·183
2. 한국불교문화의 자연관의 현주소·185
1) 한국사찰의 환경파괴 사례: 부정적 모습·185
2) 자연친화적인 불교전통문화·188
(1) 채식문화: 불살생不殺生의 생명운동·189
(2) 발우공양: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해결·190
(3) 해우소: 생태적 삶의 순환고리·193
(4) 방생법회: 생명살림의 기원·195
3. 불교사상에 나타난 자연관: 허응당 보우의 사상을 중심으로·196
4. 한국전통사찰의 자연조화의 측면·204
1) 전통사찰의 생태계 조화 측면: 경관생태학적 측면·204
2) 전통사찰 건축에 나타난 자연조화의 측면과 상징적 요소·209
(1) 전통사찰과 물의 관계·210
(2) 전통사찰과 산의 관계·212
(3) 전통사찰과 길의 관계·213
3) 전통사찰의 조경문화: 청평산 문수원을 중심으로·214
5. 결론: 근본생태론과 불교자연관의 조화·217

6장 불교의 자본주의 문화 비판·227
1. 무엇을 이야기할 것인가·227
2. 천민자본주의와 가치의 다원화, 불교문화의 현주소·229
3. 즉심즉불卽心卽佛의 해석·234
4. 해석학의 문제: 천 원을 만 원처럼 쓰는 지혜·238
5. 느림의 삶: 일즉일체一卽一切의 원리·243
6. 팔정도의 재해석·248
7. 정리하면서·253

4부 불교의 통일관 257

7장 남북한 사상의 조화·259
1. 서론: 남한과 북한의 문화·사상교류·259
2. 한국불교사상의 전개·265
3. 원효의 화쟁사상-「법화종요」를 중심으로-·272
1)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272
2) 일심이문에 근거한 원효의 회통·274
3)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원효의 회통·275
(1)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에 대한 견해·275
(2)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원효의 회통·277
(3)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구체적 화해방식·278
4. 결론: 남북한 사상의 조화의 근거로서 원효사상·279

8장 북한의 불교학 연구에 대한 재검토·283
1. 서론: 북한의 전통철학 연구의 개관·283
2. 북한 불교계의 모습·287
1) 북한 불교계의 변화과정·287
2) 북한 불교계의 한 단면·289
3. 북한의 불교연구의 원칙에 대한 재검토·291
1) 북한의 불교연구의 3가지 원칙·291
2) 북한의 불교연구 원칙의 타당성 검토·295
4. 북한의 불교 비판에 대한 재검토·297
1) 정치적 측면에서 불교 비판·300
(1) 무아설無我說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0
(2) 인과보응설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3
(3) 천당설과 지옥설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6
2) 경제적 측면에서 불교비판·308
(1) 창조적인 생산활동을 방해했다는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9
(2) 생산발전을 저해하고 나라의 재정을 낭비했다는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11
3) 민족문화의 측면에서 불교비판·314
5. 결론·317

9장 최봉익 불교관의 특징·321
1. 서론·321
2. 중국학계의 불교관 소개: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본 불교연구·323
1) 중국불교의 역사적 위치와 사회적 역할·325
2) 중국불교의 철학적 내용 소개·327
3) 중국학계의 중국불교연구에 대한 평가·331
3. 북한학계의 불교관의 변천·332
1) 「조선철학사연구」(1960)에 나타난 불교관·332
2) 최봉익, 「봉건시기 우리나라에서의 불교철학의 전파와 그 해독성」의 불교관·335
3) 최봉익, 「조선철학사개요」의 불교관·338
4. 결론: 최봉익 불교관의 특징과 의의·344

참고문헌·347 / 논문의 출처·358 / 찾아보기·359

저자소개

이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천태사상연구》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인도철학사》 《천태사상》 《한국불교사상의 전개》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등이 있고, 〈천태지의 철학사상 논구〉 등의 논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승가대학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